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5

  • 작성자
    Lv.64 나모라
    작성일
    18.03.24 12:05
    No. 1

    표절시비에서 소재나 아이디어 차용은 문제가 잘 되지 않습니다. 다만 독창적인 용어나 이름은 상표권등록으로 보호받을 수 있겠죠. 수많은 드라마에서 재벌 경영권다툼이나 형제간의 싸움같은.. 기타등등의 소재나 기억상실, 출생의 비밀같은 기연등 진부한 설정이 반복되어도 표절시비가 거의 없죠. 다만 창의적으로 설정을 완성할 표현이나 에피소드으 구성과 묘사부문에서 고의적인 의도로 타인의 창작물을 인용했거나 교묘하게 수정해서 사용했을때, 이것이 표절의 시비가 되는 것입니다.

    무슨 표절에 가이드라인이 있겠어요? 상식인데.. 남의 감성을 훔치는건 능력, 남의 창작을 베끼고 위조하는것은 범죄,

    찬성: 3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8.03.24 13:07
    No. 2

    표절과 저작권 침해의 큰 차이는 아이디어가 포함 되냐의 유무입니다. (자세한 건 밑에 제가 쓴 글 읽어보세요.)

    그중에서 문피아가 공지로 알린 건 표절에 대응하겠다는 거고요.

    요컨데 문피아는 저작권 침해인 문장 베끼기 뿐으로 부터만이 아니라 아이디어나 전개방식 까지도 보호하겠다는 한 거고, 온후의 경우 같이 아이디어와 전개가 비슷하다고 문피아가 표절이라 대응한 바가 있습니다. (저는 온후 작가가 표절했다고 봅니다. )

    아이디어와 전개방식의 유사성으로 표절이라 문피아가 대응하고 있으니, 그것에 대한 기준이 뭔가 궁금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쓴 글입니다만.

    아이디어가 저작권으로 보호가 안 된다는걸 몰라서 쓴 글이 아니라;

    찬성: 2 | 반대: 2

  • 작성자
    Lv.79 육감
    작성일
    18.03.24 12:16
    No. 3

    아마 어느정도 내부적으로 기준이 있으니 현재의 처벌이 있을겁니다. 전쟁에서 선두로 돌격 하는 병사는 잠깐 박수를 받을순 있으나 높은 확률로 표적이 되어 죽을수 있죠. 문피아도 같은 고민이 있을거 같습니다. 비겁하다 해도 문피아에겐 생존의 문제니 가이드라인 공개는 먼저 안할거 같네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8.03.24 12:29
    No. 4

    두 소설을 비교했을 때, 어떤 경우일 때 베꼈다고 할 수 있을까요?

    표절의 기준을 이야기할 때, 베끼면 표절이라는 것은, 단순히 베끼는 것의 기준을 묻는 것으로 바꾸는 겁니다.

    찬성: 0 | 반대: 4

  • 답글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8.03.24 13:12
    No. 5

    나모라 님께 쓴 덧글인거 같은데 답덧글로 쓰시지.
    순간 왜 이런 말이 나왔을까? 궁금 했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