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0

  • 작성자
    Lv.66 칸달라스
    작성일
    18.02.27 18:39
    No. 1

    대학교라고 해서 상식을 가르치킨 않죠. 고등학교의 연장선으로 전공과목을 공부할뿐.

    찬성: 7 | 반대: 3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8.02.27 20:01
    No. 2

    상식을 대학교가 가르치면 안되죠. 그래도 대학인데 대학교씩이나 나와서!! <- 뭐 이런 의미 입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9 [탈퇴계정]
    작성일
    18.02.27 19:03
    No. 3

    시사을 외우는 사람은 취준생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그냥 모른채로 살고 있어요.

    몰라서 죄가 아니라, 모르는것을 아는체 하는게 더 큰죄이고, 모른다고 상대를 무시하고 깔보는 차별이 더 큰 죄입니다.

    찬성: 3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8.02.27 20:06
    No. 4

    취준생이 외우는 시사책 말한건 아니구요. 뒷말은 맞습니다. 근데 사실 무시당하게 놔둔 스스로가 제일 큰 잘못입니다. 무지는 죄가 아니만 무지를 알면서도 알려고 하지않는게 죄라고 하잖아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90 슬로피
    작성일
    18.02.27 19:40
    No. 5

    의외로 정치, 시사에 관심1도 없는 사람들 많아요.
    유일한 정보통은 티비라 거기서 나오는 걸 무조건믿는 사람도 많구요.
    사회생활하면서 그걸 느꼇음...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8.02.27 20:05
    No. 6

    저도요. 그런 면에서 쓴 글 입니다. 정치,시사 뿐만 아니라 상식적으로 알아야할 법지식도 없는 사람 많아요. 연말정산 신경쓰라고 해도 읭? 그거 어떤게 해당 되는거지? 하는 사람도 많구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28 별줍는아이
    작성일
    18.02.27 20:42
    No. 7

    대학교때 한 교수님이 말씀 하셨지요 너희들이 비싼 등록금 내고 공부하는건 사회에 나가 예의 있고 상식적인 사람이 되는 수업료 라고 대학교 졸업자와 고등학교 졸업자의 차이는 예의를 얼마나 알고 지키는냐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예의=상식 이지요 상식을 알아야 남을 베려하고 지키려는 생각을 합니다 상식을 모르면 예의도 지키지 않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일민2
    작성일
    18.02.27 22:01
    No. 8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은 유치원때 다 배웁니다.
    나머지는 지식이지요.
    머리에 전공지식 가득찬 사람 중에서도 유치원 빼먹은 넘 많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5 일민2
    작성일
    18.02.27 22:10
    No. 9

    중딩 독서반때 담당 선상님 왈, 너희들은 왜 책을 읽냐?
    책을 읽는 것은 정서를 순화하고 폭넓은 지식(편협한 시각을 벗어난)을 배양하는게다.
    그리니 너희 때는 닥치는대로 읽거라. 훗날 그게 다 너희들 살아가는데 자양분이 될거다.
    하지만 만화는 읽지마라. 그건 시간을 허비하는게다.
    (만화를 더 좋아한게 문제였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1 그런지
    작성일
    18.02.27 22:35
    No. 10

    시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말씀도 실은 동의 합니다.
    주권자가 정치에 관심이 없다는것은
    어찌보면 직무유기라고 생각하거든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