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4

  • 작성자
    Lv.99 이통천
    작성일
    17.12.25 19:52
    No. 1

    딱 대체역사에 표현되는 유목민들인데요. 북한의 상황이 생각보다 어렵고 통제가 느슨하다면 당연한 현상일겁니다. 미국남부 대가족에도 그런 경향이 있다니까 이상한건 아니라고 봅니다.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75 선비홍빈
    작성일
    17.12.25 20:12
    No. 2

    말 그대로 공공선이라는 개념에 부합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 불순한 의도가 있거나 의도가 좋아도 방법이 잘못된 경우가 있지요. 민주주의가 주권재민이고 개인의 권리는 국가라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대명제를 가지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죠. 인식차이는 사람마다 다 생각이 다르지 생길는 것이 당연하지만 그걸 조화롭게 실행하는 것이 대표자의 역할이 아닌가 싶습니다. 탈북자를 예로 드셨지만 북한 역시 말로는 그 공공선을 내세웁니다. 북의 국가명에는 엄연히 민주주의라는 네 글자가 들어가 있지요. 그래서 민주주의의 전제조건은 국민이 언제나 눈 부릅뜨고 지켜봐야 합니다. 그렇게 자신의 소중한 한 표를 신중하게 행사해야 하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탈퇴계정]
    작성일
    17.12.25 22:08
    No. 3

    북한이 민주주의 어쩌고 저쩌고 하는건 그냥 우리나라는 왕없다라는걸 알리려고 말만 하는거 뿐이고 사실 신정일체 종교국가죠.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96 愛月山人
    작성일
    17.12.25 23:35
    No. 4

    우리가 중고등학교때 배우는 도덕이나 윤리사상은 대한민국 안에서의 도덕이나 윤리입니다. 기본바탕이 다른 저 북한사람들은 우리와 같을 수는 없겠지요. 아마도 생각과 느낌이 상당히 다르리라 봅니다.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