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9

  • 작성자
    Lv.96
    작성일
    17.12.05 12:35
    No. 1

    그냥 무제한써요.....무제한이 제일 싸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12.05 19:32
    No. 2

    통신사는 이익을 조단위로 얻었다면서 나발을 불지만, 데이터요금이 국제적으로 비교하면 너무 비싸니까 내리라고 하면 아직도 어렵다며, 버티고 있습니다.

    어려우면 이익이 조단위라고 나발을 불지를 말던지, 나발 불꺼면 인하를 하던지 말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내리라고 압박을 하기도 한다는데, 어찌 될지는 알 수 없겠죠.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플라워
    작성일
    17.12.05 20:55
    No. 3

    이런 현실인데도 통신요금 내리라니까 정부 고소할 정도록 빼애액 ㅂㄷㅂ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신승욱
    작성일
    17.12.06 06:08
    No. 4

    한국의 스마트폰 데이터요금이 세계에서 가장 비싸다는 핀란드 컨설팅업체 리휠사의 발표에 아래와 같은 반론 기사들이 대거 떴습니다. 다만 아래 링크한 기사들은 대체로 전자통신과 경제지들이라 업계 쪽 입장이 좀 더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여튼 누구 말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잘 아는 분이 정리해줬으면 좋겠군요.


    ====================


    *2017년 12월 5일 네이버-전자신문 한국 LTE, 41개국 중 가장 비싸 ...비교 잣대가 이상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30&aid=0002664058

    *2017년 12월 5일 네이버-지디넷코리아 [팩트체크]핀란드 회사의 이상한 통신비 비교-특정 요금제로 전체 비교…신뢰도 함량 미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127584

    *2017년 12월 5일 네이버-매일경제신문 [팩트 체크] 통신요금 세계서 제일 비싸 '사실과 달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9&aid=0004061157

    *2017년 12월 5일 네이버-이데일리 한국 스마트폰 데이터요금 제일 비싸다 ..핀란드 업체 조사 엉터리 논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18&aid=0003985481

    *2017년 12월 5일 네이버-연합뉴스 '한국 데이터요금 가장 비싸다' 주장에 통신사들 반박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09731239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12.06 12:43
    No. 5

    제 개인적 견해는 이렇습니다. 핀란드 및 몇몇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신뢰성을 떨어지게 하긴 합니다만 큰 틀에서 바뀌는건 없다고 봅니다.

    국내 통신3사는 지난 몇년간 엄청난 이익을 보았습니다. 단통법 때문도 있겠으나 그것은 겉으로 보이는 부분일 뿐 통신요금 때문이 가장 큽니다.

    유례가 없을 정도의 어마무시한 이익을 내고 있다는 사실은 OECD 평균보다 오히려 저렴하다는 식의 친 기업적인 주장은 전혀 맞질 않습니다.

    기업이 장사를 잘하는건 아무 문제가 없는 일이나 첫째로 통신은 공공재의 성격이 포함되어 있고, 둘째 기존과 다를 바 없는 소비자층 그대로에 영익만 뛰었다는 점.

    예컨데 SK가 해외에 진출해서 엄청난 이익을 가지고 온다던가 하는 식의 변수가 아닌 국내 이용자들만을 대상으로 이익만 폭증했다라는건 요금제를 빼고 생각할 수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5위가 독일이고 그 다음이 일본인데, 그들은 우리의 40%가량 정도 됩니다. 그런데 이 나라들의 물가와 국민소득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물가도 더 비싸고(통신료 대비), 전체 씀씀이도 더 크고, 수입도 두 배 이상이 됩니다. 즉 가계 내에서의 비중도 같이 고려해야 하는데 소득수준이 우리보다 두배는 넘는 곳에서 절반도 안되는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통신요금의 가계 비중은 4~5배 차이가 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5 신승욱
    작성일
    17.12.06 16:32
    No. 6

    답변 감사합니다.

    잘 모르는 분야에서 양 측의 주장이 대립할 때 답답할 때가 많은데 이렇게 여러 의견을 들으면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물론 그렇다 해도 전문 분야가 아니라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긴 합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아그룬타
    작성일
    17.12.06 23:10
    No. 7

    전 저 비교가 잘못됐다고 생각했어요.
    외국 2곳에서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면, 서비스 질(속도)나 가격 면에서 한국이 더 낫더군요.
    다만, 데이터료 정책이 요금제마다 워낙 다른 터라 순위가 저렇게 나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만 해도 44요금제 쓰는데 1GB 더 써도 8천원 밖에 추가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쿠폰을 구매하지 않고 그냥 쓰는게 더 나아요. 통화시간 위주의 요금제는 어르신들이 쓰는거 같던데 통화시간을 길게 주는 대신 데이터료를 비싸게 받습니다. 저는 충분히 논리적인 방식의 요금 책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아그룬타
    작성일
    17.12.06 23:12
    No. 8

    8천원이 아니라 4~5천원인거 같네요. 정정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다운타운
    작성일
    17.12.07 16:44
    No. 9

    그래도 아이폰이 들어오면서 좋아져서 이렇게 된거죠. 아이폰 아니었으면 와이파이도 못쓰고
    패킷요금제사용했을겁니다.

    찬성: 0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