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33

  • 작성자
    Lv.53 탈주병
    작성일
    17.10.14 15:23
    No. 1

    IP 저작권이 어떤 개념인지부터 알아보시는게 좋을 거 같네요. 그리고 그 말씀은 제게 할 게 아니라 라이엇에 하시면 됩니다.
    즐거운 장르 생활 하세요.

    찬성: 12 | 반대: 6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32
    No. 2

    당연히 알아봤습니다.
    역시 마지막까지 사과의 말씀은 없네요.
    인터넷 공간이란 곳은 가끔 씁쓸함을 낳습니다.
    자신의 말에 절대 책임을 지지 않고, 나중에 확인이 돼도 모른 척 넘어가는 경우가 부지기수니까요.
    240번 기사님이 이래서 많이 고생을 하셨죠.
    탑 플레이어에 이어 E-스포츠물을 쓰신다면 흥행하시길 바랄게요.

    찬성: 7 | 반대: 12

  • 작성자
    Lv.53 탈주병
    작성일
    17.10.14 15:42
    No. 3

    IP 저작권이라 함은 컨텐츠를 통해 생산되는 지식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겁니다.
    과연 해당 소설에서 사용한 룬, 마스터리, 스펠, 그리고 캐릭터의 특성들이 모두 본인의 창작품이라고 생각하신 건가요?
    저랑 같은 항목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신 게 맞는지 의심스럽네요.
    그리고 자신의 말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의미는 그런 상황에서 사용되는 게 아닙니다만?
    저는 제가 한 말의 책임을 지기 위해 라이엇에 신고를 했고, 라이엇에서 수사하겠다는 답을 받아 제 맡은 바 소임을 다 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제가 한 말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는지 다시 한 번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판타지 갤러리에서 글 지망생들 앞에서 난체하는 식의 말투는 저한테 전혀 통하지 않으니 글을 쓸 때 사용할 언어의 선택은 조금 더 고려해보세요. 하등 도움이 될 게 아니거든요.
    전에도 느꼈지만 요점은 어떻게든 두루뭉실 피해가려고 하고 남을 깎아 내리려는데 집중하는 말투는 여전하네요.

    찬성: 13 | 반대: 5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47
    No. 4

    제가 님을 욕했다면서요?
    전 한 적이 없습니다.
    애초에 그 사이트를 이용 안 해요.
    저작권 관련해서는 인터넷 검색이 아니라 제대로 된 과정을 걸쳤습니다.
    남을 깎아내린다고 생각하시는 건 님이 한 행동에 대해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과정에서 생긴 착오로 보입니다.

    찬성: 6 | 반대: 12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49
    No. 5

    Lv.27 탈주병
    17.10.10 18:54
    No. 9
    해당 작가님과는 사이가 좋지 않아 그냥 무시하는 관계였는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 것(패드립이라고 하죠)에 뚜껑이 열려 터뜨리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라이엇 코리아와 북미에 있는 라이엇 본사에 모두 연락을 넣었고, 조사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쓸 데 없는 행동으로 보였다면 죄송합니다.

    님이 쓴 댓글입니다.

    찬성: 1 | 반대: 12

  • 답글
    작성자
    Lv.53 탈주병
    작성일
    17.10.14 15:49
    No. 6

    이번에도 ip저작권이라는 개념은 싹 피해서 답글 다시죠?
    예상을 전혀 벗어나지 못하시네요

    찬성: 12 | 반대: 4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50
    No. 7

    저작권 그 이전에 님이 제 사칭 관련해서 싸웠다는 부분부터 이야기를 하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저작권 관련해서는 저와 매니지가 짚고 넘어갔습니다.
    굳이 그 이야기를 전문가가 아닌 제가 할 필요는 없다고 보입니다.

    찬성: 4 | 반대: 14

  • 답글
    작성자
    Lv.14 호밀전병
    작성일
    17.10.14 18:54
    No. 8

    안녕한길?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58 이등별
    작성일
    17.10.14 15:47
    No. 9

    추하네요

    찬성: 22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49
    No. 10

    어떤 것이 추한지 정확히 말씀을 해주세요.
    시비를 거시는 게 아니라면요.

    찬성: 1 | 반대: 17

  • 작성자
    Lv.53 탈주병
    작성일
    17.10.14 15:53
    No. 11

    혹시 요점을 아직도 파악하지 못하고 계신 것 같아 추가로 달아드릴게요.

    -해당 소설에 등장한 캐릭터의 스킬들과 특성이 과연 진짜 본인의 창작품인지? (설정을 차용해 글을 쓴다면 그건 2차 생산을 통해 쓰여진 2차 창작물입니다.)
    -해당 소설에 등장한 룬과 마스터리의 시스템이 과연 본인이 짠 것인지?
    -해당 소설에 "우연히" 오타처럼 등장한 롤 캐릭터 명들은 과연 쓰임에 문제가 없을 것인지?
    -해당 소설을 읽은 독자들이 롤과 유사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롤의 캐릭터명을 작성하며 댓글을 달고 있는 현 상황이 과연 오해에서 비롯된 것인지?

    서로 글쓰러 가야 할텐데 오래 끌지 맙시다.

    찬성: 17 | 반대: 4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5:56
    No. 12

    저랑 님이 말을 해서 결론날 부분은 아닙니다.
    저는 법적 조언을 얻은 상태고, 님은 생각을 그냥 말씀하시는 거고요.
    저는 님보다는 법을 제대로 아시는 분의 판단을 귀담아 듣고 싶습니다.

    욕하신 부분에 대한 사과.
    언제나 그러했듯 마지막까지 없는 모습 실망스럽습니다.
    제가 한 번이라도 님을 다시 평가할 기회가 잇었으면 하네요.

    찬성: 4 | 반대: 9

  • 작성자
    Lv.66 배고픈디
    작성일
    17.10.14 16:00
    No. 13

    뭔가 복잡하네. 계속 저작권 이야기로 겉도는 거 같은데 그건 이미 신고했으면 법대로 처리될 문제이고 결국에 패드립을 실제로 했느냐 안했느냐가 관건 아님?
    실제로 패드립을 했다면 욕 바가지로 먹어도 싼 것이고, 패드립을 하지 않았다면 괜히 오해해서 쉐도우복싱 오지게 한 게 잘못이겠죠.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6:01
    No. 14

    네 맞습니다.
    말씀하신 쉐도우 복싱 관련해서 저한테 인신 공격을 한 부분을 사과 받고 싶지만 본인이 기피하시네요.

    찬성: 3 | 반대: 14

  • 작성자
    Lv.11 초보글쟁
    작성일
    17.10.14 16:12
    No. 15
  • 작성자
    Lv.88 홀어스로스
    작성일
    17.10.14 16:13
    No. 16

    죄송한데 표절한게 없다고 주장하시는거에요? 본인 창작물이라고요?

    찬성: 14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6:17
    No. 17

    E-스포츠 소설에서 현실 게임을 모티브 하는 일은 평범합니다.
    굳이 따지고 넘어갈 만한 일이 아니고, 법적 조언도 구했습니다.
    본 글에서 관건은 윗분이 말씀하신 쉐도우 복싱에 대한 겁니다.

    찬성: 1 | 반대: 14

  • 작성자
    Lv.88 홀어스로스
    작성일
    17.10.14 16:41
    No. 18

    네 그러니깐 그게 평범한 표절이라고여. 그리고 양심적으로 그게 모티브 정도에요? 굳이 따지고 안넘어가도 되는건 하도 표절판이라서 그런거지 걸고 넘어가는 순간 1차 창작자가 봐주냐 아니냐고여. 글의 관건이 패드립에 관한거면 그거만 쓰시지 끝에 왜 변명을 쓰셨어요.

    찬성: 13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6:48
    No. 19

    저 말고도 많은 E-스포츠 소설 작가님들이 계시고, 그분들이 실질적인 피해가 아니더라도 신경 쓸 거리가 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한 줄을 붙였습니다.
    전체 글 내용이 너무 길었다면 짧게 줄이지 못한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찬성: 1 | 반대: 15

  • 작성자
    Lv.24 수수깡깡
    작성일
    17.10.14 16:42
    No. 20

    결국 킴스낵 작가님은 잘못이 없는데 탈주병 작가님이 욕하니 억울하다 그거 아닌가요? 그러면 법적 조언 해주신 법조계분 끼고 고소 들어가시면 되겠네요. 말이 기신데 그냥 법으로 끝내세요. 억울하시면 그래야지요 아닌가요? 정말로 킴스낵 작가님이 탈주병 작가님에게 아무런 비난도 하지 않았다면 고소 가능하겠네요. 그리고 저작권 쪽은 라이엇에서 알아서 해결하겠죠. 킴스낵 작가님이 아무리 법적 조언을 받았다 하더라도 위법이 아니라고 확신할만한 일은 아닌거같네요.

    찬성: 14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6:49
    No. 21

    모든 것을 고소로 해결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미국 사회는 그렇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어요.
    하지만 한국에서 고소는 그렇게 일반적이지 않고, 저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찬성: 1 | 반대: 16

  • 답글
    작성자
    Lv.11 초보글쟁
    작성일
    17.10.14 17:17
    No. 22

    이런 일은 고소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정담에서 인정에 호소하며 무죄를 주장하는 것보단 훨씬이요.
    떳떳하시면 고소하세요. 표절 여부를 가리기 + 그쪽 주장이라면 모욕을 당하신 셈인데
    이걸 법이 아니면 뭐가 해결해줍니까?

    찬성: 16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8 [탈퇴계정]
    작성일
    17.10.14 17:43
    No. 23

    고소 안됩니다 신상에 대한게 하나도 없는 인터넷상이라 이정도로는 김앤장을 통해도 무죄떠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Personacon 메켄로
    작성일
    17.10.14 17:46
    No. 24

    마왕의 게임이야 블리자드 허락까지 받은 경우고, 그 외에는 표절로 알고 있는데....

    글쓴이의 말대로 별 문제가 안 된다면 왜 허락까지 받았을까요.

    찬성: 13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8:48
    No. 25

    해당 글을 담당하셨던 편집자님과 이야기를 해본 결과 조금 다릅니다.
    E-스포츠 소설을 한두 분이 쓰는 게 아닌 만큼 제가 여기서 이렇다저렇다를 따지기에는 말의 무게가 무겁습니다.

    찬성: 1 | 반대: 8

  • 답글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10.14 20:26
    No. 26

    법적 정당성을 주장하고 싶으시면 출판사 편집자나 다른 작가들이 아니라 변호사 자문을 받으셔야 할 것 같은데요.

    찬성: 3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31 가도.
    작성일
    17.10.16 08:26
    No. 27

    저도 받았습니다.
    실제 이름(ex) 마린, 질럿, 저글링) 사용도 가능하다고 했고요. 고유 스토리와 등장인물들 설정이 아니면 괜찮다고 하더군요. 추가로 온게임넷 쪽까지 관련 프로그램 사용 허락을 받았습니다. 엠겜 쪽은 사라져서 어떻게 해보지 못했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일휘(一揮)
    작성일
    17.10.14 17:48
    No. 28

    마왕의 게임도 저작권 허락받고 클리어했는데 참 용감하기도 하네. 집에서 조용하게 발닦고 잠이나 자면서 라이엇 고소나 기다리셈.

    찬성: 12 | 반대: 1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10.14 17:58
    No. 29

    허락 받았다니 써도 되는 거 아님?
    근데 다른 분은 라이엇에서 조사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니
    끝난 얘기 아닌가요?
    이스포츠 글이 문제가 있다면 라이엇에서 처리할 꺼고,
    패드립 한 분이 작가냐 아니냐만 결론나면 될 거 같은데...

    - 패드립한 사람을 문제 제기한 분이 고소하면 신상 나오니까 그걸로 완결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소설올려봄
    작성일
    17.10.14 18:47
    No. 30

    패드립한 사람을 탈주병 작가님이 고소한다면 100% 완벽한 결말입니다.
    그 패드립이 저를 지칭한 게 아니기 때문에 고소는 불가능합니다.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53 청유請誘
    작성일
    17.10.14 18:10
    No. 31

    안한녕길

    찬성: 12 | 반대: 0

  • 작성자
    Lv.14 호밀전병
    작성일
    17.10.14 18:55
    No. 32

    안한녕길?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7.10.14 19:49
    No. 33

    법에서 절대란 없습니다. 대체로 판례를 따라가긴 하지만 뒤집히는 판결도 꽤 나옵니다.

    법적 조언을 받은 건 받은거고, 실제 고소 당하면 어떻게 될지는 가봐야 압니다. 조언과 판결은 별개란 말이죠. 참고는 되겠지만.

    그러니 판결도 나지 않은 일에 당당하게 문제없다고 말하긴 이른거 같습니다.

    찬성: 2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