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1

  • 작성자
    Lv.71 gtx460
    작성일
    17.09.04 19:49
    No. 1

    배그는 보는 재미도 있어서 국제경기로의 발전이 기대되더라구요 다만 옵저버가 열 일 해줘야 재미 있을거란거 ㅎ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정평
    작성일
    17.09.04 19:58
    No. 2

    캬 게임으로 국뽕에 취한 건 정말 오랜만이죠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Meritee
    작성일
    17.09.04 20:05
    No. 3

    창의력은 아니고 H1Z1의 모드 개발자인가 영입한걸로..

    찬성: 6 | 반대: 0

  • 작성자
    Lv.58 왕십리글쟁이
    작성일
    17.09.04 20:29
    No. 4

    아, 배그가 우리나라 게임이었군요....
    구매하러갑니다... ㅎㅎㅎ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82 하늘마루
    작성일
    17.09.04 22:41
    No. 5

    배그가 뭐 하는 게임이길래..

    이젠 1위게임이고 새로운게임이고 체력이 안되서 게임은 게임이구나 하는 게임무감증 상태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09.04 23:37
    No. 6

    전 올초에 오버워치를 재밌게 시작했다가 컨 부족에 시달리면서 점차 접게 되더군요. 몇년만에 무감증 벗어나나 했는데....ㅠㅠ 그래도 얼마 안가 위쳐3를 시작해서 위안을 삼았다가 그것도 클리어 하고...조만간 디스아너드를 해볼 생각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초용운
    작성일
    17.09.04 22:58
    No. 7

    배틀로얄이라는 컨셉의 게임은 이미 시장에 나와있었지만 다들 일정 수준의 인기를 얻는 것에 만족하고 진보가 없었어요. 왜냐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세계에서 몇십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했고, 돈벌이가 잘 됐거든요. 하지만 아직 이 장르에 발전 여지가 남아있다는 걸 눈 여겨 본 블루홀 게임사가 과감하게 시장 진입을 한 거죠. 장르의 창시자를 영입하면서 베낀 게임이라는 지적도 피했고요. 따지고 보면 배틀그라운드는 후발주자인데, 장르의 창시자인 플레이어언노운이라는 이름이 게임 타이틀로 들어가니 오히려 기존의 선발주자들에 비해 더 정통성을 가진 게임이라 느껴지죠. 창의성이라기 보다는 과감한 기획과 투자의 승리에요.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37 샌드박스
    작성일
    17.09.05 08:05
    No. 8

    그 게임이 망해도 되니까 만들어봐. 하고 만든 게임이라는게 참...
    경직된 조직구조가 왜 문제인지 극명하게 드러난 사례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그렇게 성공해놓고 정작 성공하자 삽푸기 시작했죠.

    For Kakao가 정말 기대됩니다 과연 어떻게 될지.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17.09.05 09:11
    No. 9

    게임 배급사 전화 인터뷰를 들었는데.
    한국 겜 배낀 중궈 게임사들 게임을 역수출 한다네요.
    국내 배급사가 중궈 시장에서 십억 정도 수익을 올린 게임을 돈주고 사간데요.
    중궈에서 10억 벌었으니깐 대충 국내에서 1억 벌겠지.
    대부분 겜 원산지 표기 안해놓고 100& 한글 번역으로 하니까는 국내 게이머들은
    대부분 중궈 겜인지 몰라요.
    사태가 이렇다 보니, 가뜩이나 게임 개발자 대우가 박한 개발자들이 더 나은 대우와
    본인의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외국으로 많이 빠져나간데요.
    중궈가 그걸 알고 갈수록 국내 배급사에게 울 사람 이정도로 택도 없대 해~ 돈 더 달라 해~
    가격을 올림.
    그러한 시기에 배그는 참으로 가뭄의 단비임.
    스폰서들에게 배그를 예로 들면 가능성 있다고 설득할 최소한의 여건이 됨.
    배그가 스팀에서 1인 먹던 도타를 앞질렀다네요.
    배그 동시 접속자가 백만을 넘어섰데요. 와우!
    여담이지만 일본 우익 네티즌들이 배그 까던데... 갸들은 왜 그러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二月
    작성일
    17.09.05 11:55
    No. 10

    거의 15년만에 국산게임이 세계 1위 하는거 같네요 :D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로망스.
    작성일
    17.09.05 17:44
    No. 11

    창의력은 아니죠.

    한정된지역에 공중낙하후 총과무기헬맷등을 파밍하고 서로 싸워고, 독가스때문에 갈수록 줄어드는 지역안에서 최후의 1인이 된다는내용은 이미 몇년전에 나왔던 h1z1같은 게임들이 다 해먹은겁니다.

    배틀그라운드는 그래픽과 게임성을 향상시킨거지 딱히 창의력이 돋보이는부분이 없습니다.

    심지어 대기실시스템도 h1z1판박이죠.

    h1z1가 시장을 넓혔고, dayz같은 생존서바이벌게임들이 몇년전부터 시장개척을 많이해논것에 숟가락을 얹었다는 표현이 정확합니다.

    다만, h1z1같은 생존서바이벌이 워낙 마니아들만 하는 게임이란 인식이 많았는데

    배틀그라운드가 대중화에 성공했다는게 평가받을일인거죠.

    쉽게보면 서든어택같은겁니다. 서든 전에 카스나 스페셜포스같은 게임들이 먼저 나와서 시장을 넓혔지만 실상 이득본건 뒤에나온 서든어택이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