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9

  • 작성자
    Lv.64 수로공
    작성일
    17.08.15 09:40
    No. 1

    저도 시점과 표현법 때문에 고민이 많은데, 위의 글에선 '나'라는 단어 자체가 중복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써야 하겠지만, 근래의 저는 해당 표현법을 피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요즘은 아래와 같은 표현을 쓰려고 노력합니다.

    발치에서 꼬리를 살랑거리는 고양이와 눈이 마주쳤다.
    뭘 봐?
    얼라?
    자식에게 간택이 되었는가!
    왜 남의 발목에 붙어 머리를 비비는데!
    냐아아옹~

    둘 중 하나를 고르라면 위의 표현을 고를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기린or
    작성일
    17.08.15 11:58
    No. 2

    위의 원래 문체가 훨씬 낫습니당.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지주안
    작성일
    17.08.15 12:14
    No. 3

    네레이션이 존대말이면 이상할텐데요. 누구한테 편지 쓰는것도 아니고.
    저도 위에 걸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수오
    작성일
    17.08.15 12:53
    No. 4

    일단 존댓말은 윗분 말처럼 청자가 '독자'가 아닌 '소설 속에 등장하는 누군가'에게 보내는 서간문의 느낌이 강해서, 저런 어감이 필요할 때 말고는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덧붙이자면 소설에서의 1인칭은 대명사를 좀 듬뿍 덜어내 줘도 상관 없다고 봅니다. 문맥 상 흐름으로, 행동의 주체가 '나'라는 걸 이미 알 수 있으니까요. 일단 전자가 더 낫다는 전제 하에, 거기서 더 덜어내면 '앞에 있는 고양이를 보았다(바라보았다)'까지 다듬을 수 있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멧산
    작성일
    17.08.15 12:57
    No. 5

    지극히 주관적인 느낌
    1번은 고양이의 존재감이 약함 별 관계아님 나는그냥 고양이를 바라본겁니다.
    2번은 고양이의 존재감이 강함 뭔가 있음 암시 나는 뭔가 있는 고양이를 본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제로비아
    작성일
    17.08.15 13:05
    No. 6

    네가 그 앞에 있는 고양이를 바라보고 있다./바라 보았다./ 쳐다 보고 있다./ 쳐다 보았다.

    쳐다 보았습니다./보고 말랐다. / 봤다./

    나는 그 앞에 고양이가 있는 곳을 바라 보왔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초원의꽃
    작성일
    17.08.15 13:18
    No. 7

    존댓말로 쓴 소설 전범을 원하신다면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을 추천합니다. 작중 인물인 하녀의 입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기 때문에 대부분이 존댓말로 쓰여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08.15 16:15
    No. 8

    무슨 차이가 있나요? ???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99 2019
    작성일
    17.08.16 21:44
    No. 9

    어머니, 어머니, 어머니... 별 헤는 밤이 생각나네요. '그는 내게 힘껏 고함을 치며 주먹을 휘둘렀습니다'라는 식의 활동적이고 급박한 신을 생각한다면 너무 분위기 전달이 안 될 것 같아요 전체적으로 잔잔하고 우울한 글에는 잘 어울릴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