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1

  • 작성자
    Lv.75 아르케
    작성일
    17.08.08 13:45
    No. 1

    반인반용과 용흡수도 스카이림에서 나오는 건가요? ㅎㄷㄷ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궤도폭격
    작성일
    17.08.08 13:53
    No. 2

    애초에 스카이림 주인공 핵심 설정부터가 드래곤본에 용언흡수입니다

    거기에 그레이비어드 암살단 처형장 처형장에 용날라와서 깽판치는게 원래 시나리오 기타등등..

    심지어 용언도 푸스로다..
    이건 포켓몬 피카츄급 메인 간판 주문인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4 미스터쿼카
    작성일
    17.08.08 14:00
    No. 3

    스카이림 정말 명작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형이보거든
    작성일
    17.08.08 14:03
    No. 4

    골베1위 작품 말하는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7.08.08 14:08
    No. 5

    안했지만 참 유명한 게임이라고 알고 있는데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08.08 14:21
    No. 6

    스카이림은 수년전 수많은 게임과의 경쟁을 물리치고 완성도와 작품성을 바탕으로 올해의 게임 즉 고티를 수상하였으며 그 뿐만 아니라 GTX5와 더불어 장기간 큰 인기를 누리는 몇 안되는 게임입니다. 즉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즐겼고, 즐기고 있으며, 감탄해 마지 않았던 작품이었죠.

    게다가 스카이림의 본 제목은 엘더스크롤5 : 스카이림 이고, 엘더스크롤 시리즈를 해본 사람들의 수는 더욱 많습니다. 같은 세계관의 시리즈이니 말이죠.

    찬성: 2 | 반대: 2

  • 작성자
    Lv.85 Kaydon
    작성일
    17.08.08 14:22
    No. 7

    안들키는게 아니라 대놓고 특정 작품을 연상하게 유도했다고 생각하고 읽기 시작해서 그런지 지금의 반대파 물결이 이해가 잘은 안되는 1인

    찬성: 6 | 반대: 15

  • 작성자
    Lv.24 이빵인
    작성일
    17.08.08 14:31
    No. 8

    아마 별로 죄의식 같은 것 없이 가볍게 시작한 것 같습니다.
    잘못된 걸 알면서 의도적으로 이익을 취하기 위해 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대응하시는 걸 보면,
    대단히 억울해 하시는 것 같은데 애당초 잘못이라고 생각지도 않았던 거겠죠.

    남들도 다 그러는데 왜 나만 가지고 난리치는가?
    이런 생각까지 이르게 되면 이미 인지의 부조화는 시작되었다고 봐야죠.

    조금 더 일찍 논란이 되었다면 좋았을텐데,
    이제 와서는 걸린 게 너무 많아졌습니다.
    시간도, 권익도 너무 큼지막한 것이 되어버렸죠.

    이해나 공감이 되는 바도 없지는 않지만,
    이번 기회에 표절의 기준이 조금이나마 명확해 지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모호하긴 하거든요. 그 기준이라는 것이

    장르 특성상 순문학과는 조금 다른 표절의 기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순문학은 내면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결국 같은 발상과 소재를 따도 작가마다 전혀 다른 작품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신경숙씨가 우국을 표절할 때처럼 주로 문장과 묘사, 등을 주로 그 기준으로 잡지요.

    장르는 내면은 간소화하고 사건과 개념을 배치합니다. 여기서는 발상, 개념, 세계관 등이 순문학보다 보다 치명적이죠. 물론 이번 사건은 전개와 초반 플롯 자체가 변명이 불가능할 정도로 순문학의 표절 기준에 해당될만큼 명확해 보입니다만.

    해당 작가와 작품에 대한 조치는 제쳐두고라도,
    내친김에, 보다 명확한 기준을 문피아 내부적으로라도 둘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면 좋겠네요. 작가분들 중에 이번에 움찔하거나 찔리시거나, 불안해 하시는 분들도 꽤 있으실 것 같으니까요.

    찬성: 7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17.08.08 14:33
    No. 9

    문제는 일단 패러디물이라고 대놓고 명시하지 않았고, 공모전이란 게 사실 유료화의 의지가 있다고 봐야되는 거라서 그게 더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차라리 패러디물을 명시하고, 공모전에 나가지 않았으면 문제가 크게 불거지지는 않았겠죠.

    찬성: 6 | 반대: 0

  • 작성자
    Lv.81 ㅇ냥코ㅇ
    작성일
    17.08.08 15:15
    No. 10

    조x라 패러디란에 있어야 할 소설이 공모전 그것도 1위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0 굉장해엄청
    작성일
    17.08.08 16:16
    No. 11

    아직도 문피아 운영진들이 가만히 있는 것을 보면.... 이 사이트의 상태가....?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