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8

  •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6.10.11 23:53
    No. 1

    GM 지놈 뮤테이티드인가요?
    GM 하면... 게임 매니저... 가 생각나서
    '야, 지엠 이름 재밌네. 미생물이라니...' 하는 생각이...
    왠지 동일한 이름 가진 GM한 명 정도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
    끙...
    끄응...
    저저저저...
    설탕이라니 ㅠㅠ
    가뜩이나 몸에 안 좋은데 더 안좋아지겠군요...

    찬성: 0 | 반대: 2

  • 작성자
    Lv.78 wwwnnn
    작성일
    16.10.12 00:16
    No. 2

    유럽가셔야져.. 우리나란 기본적으로 미국이랑 같은 노선 가기때문에 gm식품을 안막을겁니다. 후쿠시마산 식품도 잘만 수입해서 쓰는데 유전자 조작이야... 나중에 문제생기면 그때서야 정치권에서 특검하자소리나오겠죠..

    찬성: 0 | 반대: 3

  • 작성자
    Personacon 묘한(妙瀚)
    작성일
    16.10.12 01:45
    No. 3

    GMO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배척은 올바르지 않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고대서부터 해왔던 품종개량이나 종의 접합과 비교해서 GMO가 무작정 해롭기만 한건 아니라고 보는 입장이라...
    보통 반대 입장 보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이기에 결과가 어찌 될지 알수 없다. 라고는 하는게 보통이던데... 글쎄요

    찬성: 7 | 반대: 3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6.10.12 09:11
    No. 4

    모두를 이롭게할 발명를 해야하는데 돈만 쫒다보니 가릴것 안가릴것 구분 못하는 거죠..
    그리고 전 위에 묘한님과 다르게 인류의 가장 큰 위험요소로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이종간의 유전자결합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지식이 없을 때도 근친(4촌 이내)간의 결혼을 지나치게 반복하거나 하면 그에 대한 응분의 댓가가 돌아왔습니다. 즉, 하지 말라는 거죠.

    자연의 질서는 그리 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들이 있죠. 자연적으로 교배가 되지 않는 이유를 자연이 일일이 그때그때 말해주진 않지만 하지 말라고 안되게 해놓은 것을 하다 보면 분명 전 대가를 치루게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찬성: 2 | 반대: 1

  • 작성자
    Lv.99 완장
    작성일
    16.10.12 13:03
    No. 5

    GMO가 있기전에도 이종간 교배는 있어왔습니다. GMO은 과거부터 있어온 육종방법보다는 훨씬 합리적이고 안전합니다. 일단 실험실에서 진행되는데다 결과를 예측할 수 있거든요. 과거 수백년 반복된 육종방법은 결과를 모릅니다. 그냥 인위적으로 돌연변이를 유발해서 아닌건 내버리고 필요한것만 선택하는 방식이죠. 결과를 모르니 훨씬 위험하고 잘못된 결과물이 유전되어 수백년 동안 생태계를 교란시켜왔죠. 반면에 GMO은 개발된이후 수십년동안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 결과가 단 한건도 없습니다. 유럽이건 어디건 GMO를 반대하는 이유는 자국농민을 보호하려는 이기주의가 근거인 경우가 많습니다. 환경이나 인간의 미래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다고 봅니다.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16.10.12 14:42
    No. 6

    gmo의 교배와 기존 과거의 육종과 비교는 무리라고 봅니다. 유전자조작의 방식도 무척 다양하기는 합니다만, 그중에 문제가 되는 것은 이게 자연상에서는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유전자 교배도 가능하기 때문이죠. 가령 극단적으로 보면 동물과 식물 유전자의 교배 같은.

    기존 육종 방식은 어쨌든 자연상에서 쉽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워도 아예 불가능한 유전자변형, 혹은 진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거든요.

    게다가 육종 방식에 걸리는 시간에 비하면 유전자조작은 극단적으로 시간이 짧죠. 이건 반대로 말하면 그로 인한 인체에서의 문제- 먹었을 경우- 자연생태계의 문제에 대해서 검증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그래서 gmo의 생태계 교란 문제는 사실 지금부터 주목하고 관찰해봐야할 문제란 거죠.

    다만 이번 설탕 문제 같은 것은 저도 좀 고개가 갸우뚱거려지는 게, 어떤 방식의 생산인지는 모르지만, 그 생산과정에서 생태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면,
    어차피 만들어진 결과물은 설탕? 아니냐는 거죠.

    물론 비타민 같은 경우 인공합성 비타민과 천연비타민의 차이에 대한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그조차도 이 경우에는 어차피 상관없는 이야기일 테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16.10.12 14:46
    No. 7

    흠 기사를 봤는데, 아무리 봐도 설탕 그 자체를 생산하는 것은 아닌 것 같네요.
    설탕대체 감미료 쪽에 가까워 보이는데, 이건 좀 다른 문제 같기는 하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총려
    작성일
    16.10.14 12:44
    No. 8

    뭐가 문제라는건지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