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0

  • 작성자
    Lv.8 보컬라디오
    작성일
    16.08.23 17:37
    No. 1

    패러디 소설 자체가 판단하기 조금 애매한게..., 텍스트 유출본을 살짝 바꿔서 올리는 놈들도 있고 애초부터 2차 창작이라 저작권 개념이 모호합니다. 소설 자체도 원작자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구요.

    표절은 물론 잘못된거지만
    패러디 장르에서 일어난 사안을 문피아로 끌고 온 것은 조금 안 좋게 보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맥시마
    작성일
    16.08.23 17:50
    No. 2

    남의것을 세번이나 베끼고 도망간 보기 드문 사건이라 가지고 왔습니다.
    안좋게 보일 이유는 하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안좋게 보는게 이상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일잠일잠
    작성일
    16.08.24 00:49
    No. 3

    윗분에 공감
    머가 안좋다는 거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보컬라디오
    작성일
    16.08.28 01:43
    No. 4

    어차피 패러디 장르가 원작자의 동이없이 배끼고 비틀면서 시작하는건데, 그걸 가지고 표절이니 뭐니 하면서 문피아까지 끌고 오는게 보기 안좋다는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5 추천요괴
    작성일
    16.08.24 12:42
    No. 5

    문피아나 타싸이트나 패러디가 없는 작품이 얼마나있나요? 요즘 레이드물이 설정이 비슷하고 삼국지는 기존삼국지에서 패러디한거고 무협도 기존에 무협설정을 패러디한거고 얼마든지 모방은할수 있지만 모방이아니라 복사가된게 문제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보컬라디오
    작성일
    16.08.28 01:42
    No. 6

    님, 여기서 말하는 패러디 장르는 그 뜻이 아닌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맥시마
    작성일
    16.08.28 03:41
    No. 7

    패러디같은 2차창작물은 원작자의 동의가 없긴 하지만
    그렇다고 패러디를 무조건 원작을 베꼈다라고 볼 수 없는거죠
    원작의 팬들끼리 서로 창의성을 발휘해서 즐기는 거니까요.
    그리고 상업화하지 않으면 큰 문제는 없지만
    그러나 이게 왜 문제가 되냐하면
    남의것을 그냥 ctrl c v 해놓고 아니라고 발뺌하고
    걸린 후에도 몇차례 반복하니 후안무치도 이런 후안무치가 없는거죠
    도덕성의 문제이기 때문에 충분히 문제삼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윗분이 말씀하신것은
    단순 모방이 아니라 복사로 갖고와서 그게 문제된다는게 주요 취지니까
    충분히 이해갈만한 말이네요 제가 말하는 논지와도 정확히 일치하고.
    어차피 패러디 장르니까 남의 창작물을 그대로 베껴 쓴 다음에
    그걸 자기가 창작했다고 주장해도 상관없다? 이건 아니라고 봐요
    그리고 문피아도 장르계에 속하는 사이트이고
    또한 몇차례 표절문제로 논란의 여지가 있었으므로
    충분히 논의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고,
    불편함을 느끼는것도 님 혼자뿐인듯 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보컬라디오
    작성일
    16.08.28 19:45
    No. 8

    표절은 분명 잘못된 거지만...,
    저는 패러디 자체가 저작권이 성립될 수 없다고 생각해서요.
    패러디 장르 쪽은 불법 텍스트본 천지고, 그걸가지고 누가 누구껄 표절했다니 하는 게 마음에 들지 않아 했던 말입니다.

    정상적인 판무 시장에서 그런 사례가 나오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불편함을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16.08.24 15:33
    No. 9

    본격적인 패러디물은 상업적 판매물로 삼기에는 좀 무리가 있죠.
    (원작자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그게 쉬운 게 아니라서.)

    - 코미디 소재로 영화나 드라마 일부분 패러디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서 -

    다만 아마추어적 작품이라도 해도 표절에 대한 본질이 달라질 것은 없겠죠.
    보통 우리는 표절과 이익을 결합시키고는 하지만,
    꼭 유형의 이익이 없다고 하더라도 남의 작품을 표절해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것
    역시 무형의 이익이라고 볼 수도 있으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보컬라디오
    작성일
    16.08.28 01:44
    No. 10

    패러디라는 장르 자체가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가공해서 올린 거죠. 그건 표절작 아닙니까? 저에게는 표절작을 표절햇다는 걸로 들릴 뿐인데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