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7

  • 작성자
    Lv.38 매봉옥
    작성일
    05.01.18 20:41
    No. 1

    자주국방.
    스스로 주변국에 맞서 무력으로 이길 수 있는 힘.
    이게 안되면 .. 상대의 종이 되거나 심하면 지상에서 사라짐.
    역사책서 보는 막연한 것이 아님.
    지금도 세계속에서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진행되고 있습니다.

    부수적 효과 중 대표적인 것이라면 조공. 내정간섭.
    약소국이 강국에게 재물을 때마다 가져다 바치는 것이죠.
    그리고 말 안들으면 종살이로 끝내는게 아니라,
    니들 없애버린다 ....

    삑사리 하나 치자면,
    그럼 북한이 받는 것은 물건들은 뭘까요?
    인도적 차원의 지원일까요. 아님 ..................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紅淚
    작성일
    05.01.18 21:51
    No. 2

    간단하게 생각합시다
    지금껏 미국에 우리나라에 간섭했던 명분중에 하나가 무엇일까요?
    미군을 배치해서 전쟁 상황 억제 및 한반도 평화 기여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자주국방이 되면 더이상 그런 명분으로 정치 경제적 간섭이 줄어들겠죠??

    그 다음의 효과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보시는 건 어떠실런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紅淚
    작성일
    05.01.18 21:51
    No. 3

    이런게 바로 국위신장이라는 거죠 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흐린구름
    작성일
    05.01.18 21:58
    No. 4

    어떤 개념의 자주국방을 의미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포괄적인 의미의 자주국방이라는 개념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광범위합니다. 협의의 수준의 자주국방이라는 몰라도, 실제로 광의의 자주국방을 할수있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단 두나라뿐입니다. 미국과 러시아죠.

    참고로, 자주국방이라는 용어는 박정희이후로 현재까지 꾸준히 변천되어 왔습니다.

    한마디만 더하자면 자주국방이란 고전적인 개념입니다. 현재는 점점 사장되는 개념이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7 개고기
    작성일
    05.01.19 00:08
    No. 5

    자주국방?.........................지금은 잘 기억이 안나지만..울나라 국민총생산에서 국방비로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전투기한대가격이...몇백억은 우습고 몇천억까지 가지않나여?그런 상상할수 없는 아주 큰돈이 대부분 외국(특히 미국)으로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작년 총소득이 10조원이라는 소식도 들었고..고속철도프랑스에서 들여올때...몇조가 들어갔으며..새만금사업도 총10조가 넘게 들어갈수도 있다고하는 애기를 얼핏들은거 같은데.............국방비와 비교하면 어떨까여?...얼마전 차세대전투기사업이 미국산으로 최종낙찰됐다는 소식과 함께그에 대한 예산이 약 32조인걸로 대충 기억이 나네여.........자주국방을 싫어하는 나라가 어디있겠습니까?현실이 불가능하니까 그렇지여. 울나라가 미국처럼 군수산업이 발달해서..우리가 미국으로 부터 무기만 수입안해도 엄청난 돈을 경제나 교육.과학..사회전반에 투자할수 있고..그러면 실업문제도 어느정도 해결되고 무기수출로 외화도 벌수있는거 아닌가여?미국이 지금 세계최강이 될수 있었던 가장큰 이유가 바로 군수산업의 발전 때문이 아닌가여?.암튼 온전한 자주국방을 할수만 있다면 울나라 선진국되는건 시간문제지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무념무상
    작성일
    05.01.19 00:56
    No. 6

    개고기// 국방비의 비율이 약 3%정도 입니다. 상당히 낮은 수치입니다.
    옆에 일본도 5%이상이고 세계적으로 평균치가 4%이상입니다.
    분단국가가 3% 상당히 아이러니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흐린구름
    작성일
    05.01.19 06:40
    No. 7

    무념무상//국방비 비율은 3%가 아니고 2,9%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는 5%가 아니고 1,1%입니다. 세계적인 평균은 4%가 아니고 3,2%입니다. 국방비 2,9%가 높은 수치는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적은 수치도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국방비을 올릴는 문제가 중요하게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의 국방비의 경우 불요불급하게 녹아버리는 구조입니다. 그것을 개선하는게 우선이고, 그런 개선이 없어 단지 비율만 높인다고 해서 군의 전력강화가 된다는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밑구녕 뚫인 항아리에 물붓기에 불과한것입니다.

    개고기//군수산업이 발달하여 우리가 만든 제품을 도입한다고 해서 돈이 절약된는 아닙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이번에 도입하는 전투기의 경우 노후화된 팬텀의 대체로 40대에 43억달러가 투입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외국에서 구입하던, 우리나라에서 만들든 ...꼭 필요하죠. 그러나, 이것으 우리나라에서 만든다면 기술의 부족을 제외하고라도 43억달러보다 적게 들수있는 방법은 거의 없습니다.비슷한 성능이라면요.

    또 하나, 미국은 1910년부터 세계에서 톱입니다. 단순히 제2차세계대전후에 미국이 톱인것으로 아시는분들이 많은데..2차세계대전후의 경우는 단지 세계에 확인한 절차에 불과한것입니다. 미국이 최강국이 될수있었던 이유는 군수산업이 아니라 자본과 인구, 그리고 자원으로 구성된 경제력때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