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7

  • 작성자
    Lv.1 적월
    작성일
    04.11.13 23:45
    No. 1

    근데 문제는... 저거 거의다 미국내 한인들이 벌이는 짓입니다;; 요즘은 몇몇 중꿔렌들이 합세했다고는 하지만... 한국 드라마를 제때 못보는 교민사회에서 몇년 전부터 유행이 되가는 사업이라 하더군요.

    물론 미국의 단속부재도 잘못이긴 하지만... 저건 솔직히 한국인들의 이미지만 나쁘게 하는 일 같습니다. 그냥 감추는게 더 나을듯 싶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남궁훈
    작성일
    04.11.14 00:26
    No. 2

    그런가요? 반대로 미제 음반, 영상물의 유포의 시작은 미국이라고 알고 있는데...대부분 뉴스그룹을 통해서 가장먼저 퍼진다죠. 그다지 감추고 말고할 건 아닌거 같은데...어차피 받을 거 받고, 줄거 안주려고 내세운 카드 같은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8 매봉옥
    작성일
    04.11.14 00:32
    No. 3

    그 사람들이 불법을 했다면 당연히 처벌 받아야죠.
    미국, 우리가 여서 박 터지게 고생할 정도로 거기 가서 고생하면 솔직히
    돈은 좀 만집니다. 시작이 허접해 정착동안 고생을 해서 그렇지.
    그런데 그런 곳에서 불법을 자행한다면 당연히 콩밥 먹어야죠.
    감추고 자시고 할 것이 뭐가 있습니까.
    동족이라도 욕먹을 짓했으면 욕먹고 처벌 받아야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임현
    작성일
    04.11.14 07:09
    No. 4

    중요한 사실은 불법복제가 국가에서 막는다고
    막아지는 것이 아니고 지적재산보호라는 것이
    언제나 모호한 부분이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도 이 사실을 알고 있고
    또 그런 의미에서 통상압력의 빌미나 단초로
    사용해 온 부분이 적지않은 것도 현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정부에서 맞대응한 것은
    최소한 미국의 흔들기에 당하고만 있지 않는다는
    매우 통쾌한 대응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속이 다 시원하네요.
    물론 미국재에서 이루어 지는 불법에 대해서
    때론 동포들이 다칠 수도 있으나
    그것은 불법에대한 희생양이고
    마치 마약처럼 근절될 수 없는 것이
    불법 복재나 지적재산권 문제일 것입니다.
    그리고 대량복제같은 불법은 처벌받아야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백면걸인
    작성일
    04.11.14 11:22
    No. 5

    오.... 우리나라 외교가 웬일인가요? (클럭 ;; 좋은소식임에도 전 의혹부터 드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mr*****
    작성일
    04.11.14 20:07
    No. 6

    딱 잘라 말해서.

    따오판, 그러니까 불법복제 DVD는, 중국에서 만들어진다고 보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게 미국 같은데 넘어가거나, 혹은 그걸 갖고 미국에서 프레싱을 또 하는 거겠죠.

    그런데 파일은? P2P니 뭐 그런데서 도는 영화는?

    ... 한국입니다. 적어도 한국 영상물이라면. (한국에서 나온지 1주일도 안된 한국영화 DVD 덴마크에서 파일로 봤다는건, 한국에서 파일이 나왔다는 소리임.)

    그 외에도 미국 등지 교포대상의 비디오가게 등지를 통한 '뿌리깊은 엄한 배급'이 있다고 하더군요. 지금도 그렇게 도는지는 모르겠지만, 한때는 적은 양이 아니었다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九歲美少年
    작성일
    04.11.15 01:16
    No. 7

    ㅡ.ㅡ;; 불법 복제가 없어지면 정말 좋을까 나쁠까??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