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8

  • 작성자
    Lv.1 Default
    작성일
    04.02.23 14:40
    No. 1

    저도 올해 고3이 되는데.
    정부 발표를 보고 EBS에 대해 무척 끌리더군요.
    저는 그전에도 EBS방송을 보기위해 문제집을 산적이 있는데.
    방송 보는것이 정말로 안지켜 지더군요. 검마 님께서 자기 관리가 철저 하시다면 EBS가 더 좋을듯 싶은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2 醫龍
    작성일
    04.02.23 14:43
    No. 2

    정부를 믿을수가 없죠....더군다나

    이비에스는 당연히 다 보는것이기때문에

    학원 + EBS 병행해야 합니다!!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뫼비우스
    작성일
    04.02.23 15:24
    No. 3

    학원 선생님이 옛날에도 EBS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고 하더군요.
    그때는 흐지부지하게 끝났다고 했는데...
    음...녹색전차 님 말씀대로 학원과 EBS를 병행해야 할 듯..-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푸른동산
    작성일
    04.02.23 16:23
    No. 4

    97년도에 이런 얘기가 있었다고 하더군요
    저는 재수생(혹, 고3? 정보를 보니까 86년 생이던데..)인데...
    흠...중앙대가기가 무지 어려운데...언사외 몇점이시길래...;
    병행이 좋을꺼같고요 독학도 좋을듯...독학은 이비에스와 병행이고요
    어쨋든 이번에는 이비에스를 무시할 수는 없을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검마
    작성일
    04.02.23 16:39
    No. 5

    학원과 EBS를 병행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 합니다.
    정부에서 빌어먹을 보충학습을 부활시켜서, 저희 학교 야자 하기 때문에 학교만 해도 오후 10시에 끝납니다. 그거 끝나고 학원가면...(물론 10시 이후엔 학원 수업 금지지만, 유명 무실한 법이죠.) 그래서 결국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저는 외국어는 반 정도, 언어와 사회는 거의 만점에 가깝습니다. 근데 수리는...ㅡ,ㅡ;; 이러니 문과는 수리를 반영시키지 않는 중대에 끌리죠...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운산
    작성일
    04.02.23 17:11
    No. 6

    이제부터 교육부에서 수능 문제를 이비에스 강의 중심으로 낸다고 한걸로 아는데,. 제가 신문을 쫌 많이 봅니다;; 애늙은이;;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달에게묻다
    작성일
    04.02.23 18:16
    No. 7

    둘다~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파천러브
    작성일
    04.02.23 18:40
    No. 8

    ebs~~~~~~~~~~~만 들으면 수능 무난하다는 정부의 말을...믿을까 말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4.02.23 18:54
    No. 9

    걍 수시로 가세요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강달봉
    작성일
    04.02.23 18:55
    No. 10

    선생님曰 나빋따비 EBS해서 성공한 학교 못봤다.고 하시더군요.
    그리고 요즘 학교에서 EBS를 듣고있는데 그렇게 큰 도움은 안되는것 같아서(그리고 티비만 보고있으니 지겹기도 하고)....걍 학원이 쿨럭....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백적(白迹)
    작성일
    04.02.23 19:32
    No. 11

    제동생은 요새 메가스터디 인터넷강의만 듣던데...

    인터넷강의 들으시는게 나을듯한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낙산
    작성일
    04.02.23 20:17
    No. 12

    혼자하는게 제일 쉬운 공부 방법 입니다. 그리고 학원...... 학교선생님들 수업 듣는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왜 그렇게 돈을 낭비하려 하는지 이해할수 없습니다. 성적은 곧 개인의 수행의 결과 입니다. 무협소설에서 노력은 하지 않고 요행으로만 무공을 얻으려 하는것과 똑같다고 봅니다. 공부...... 혼자서도 충분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반디
    작성일
    04.02.23 20:58
    No. 13

    흠..나도..EBS할까 생각중인데...
    학원은 싫거던...-_- 난 온니 독학 -ㅁ-;;(못하는 넘이 꼭이래요..ㅜ_ㅜ)
    근데...EBS는 시간맞춰서 보기가..힘들꺼같혀...컴터로 보면되긴하지만...쩝..모르겠다...고민중이다...어서 시작해야하는뎀...쩝.;;;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42 醫龍
    작성일
    04.02.24 02:41
    No. 14

    학교에 말하면..야자 뺄수도 있자나요...물론 눈총이 좀 박히기는

    하겠지만...반에서 1.2.등쯤 하면...담임샘이 빼주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風靈刃
    작성일
    04.02.24 06:48
    No. 15

    돈 아까우니 ebs만 보세요(수전노!!!)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3 바둑
    작성일
    04.02.24 12:28
    No. 16

    그거 ebs 플러스1에서만 볼수있지 않나? 스카이 설치해야될텐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청해의별
    작성일
    04.02.25 01:53
    No. 17

    이미 진도가 다 나갔으면 학원다닐 필요가 있나요?

    문과이신것 같은데, 수 1 만 집중적으로 공부하시면 되겠네요.
    제 경험으로는

    수학의 정석을 완전히 이해해야합니다.
    지수 로그 에서는 상용로그 응용문제, 지수 로그 함수부분이나
    부등식 문제에서는 2차방정식으로 치환해서 푸는 문제를 중심으로
    공부하시구요.
    지수 로그 정의 부분에서는 방정식으로 전환해서 푸는 연습하시면
    됩니다.

    행렬에서는 0 인자 문제, 역행렬문제, 케일리 해밀턴, 그리고
    방정식에 응용될때... 각각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 이해하시구요.
    행렬과 수열이 연관되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 일반항 구하는
    방법 명심하시구요.

    수열에서는 요즘은 거의 군수열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군수열 부분을 익숙하게 푸는 연습을 해두세요
    그리고 등비 수열 파트에서 연금계산법이나, 적금계산법(복리)...
    그리고 수학적 귀납법/점화식 에서는 일반항 A_n과 합 S_n 사이의
    관계를 자유자재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극한 부분에서는 각 극한 방법 명심하시고 (예를 들어 0/0 이나
    무한대/무한대 모습으로 전환하는거)
    A 라는 수열과 B 라는 수열이 각각 수렴할 경우의 4가지 공식에
    대해서 명심해두세요.
    이 쪽 부분에서는 성립하는 것, 혹은 성립하지 않는 것을 묻는
    객관식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데 각각이 수렴할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성립않기 때문에, 각각의 반례를 들어보는 연습을 하세요.

    확률 통계는 경우의 수 구하기나 조합문제가 우선 나옵니다.
    조합 중에서 토너먼트/조 나누기 연습하시구요.
    이항정리 공식 한번 유도해보시고 그거 변형시키는 연습해보세요.
    그리고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응용문제가 나오는데 한가지 타입만
    알면 그렇게 어렵진 않을겁니다.

    확률의 덧셈,곱셈 등에서 여집합 개념 이해하시고,
    조건부 확률 확실히 이해해두세요.
    그리고 확률분포에서는 이산확률분포 -> 연속확률분포나 이항분포
    -> 정규분포 로 이어지는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시고 당연히 나오는
    공식은 직접 한번 유도해봐야겠죠?

    정규분포 문제는 두가지 타입정도로 나오는데
    Z 값 구해서 확률 구하는 문제와 역으로 확률이 주어질때 Z 값에서
    다른 값들 유추해내는 문제입니다.

    정석을 덮은 상태에서 공식들을 한 번 유도해보세요.
    그리고 전체적으로 흐름을 머릿속으로 그려보세요.
    양이 많아 보이지만 아주 많지는 않아요.

    정석을 확실히 마스터(문제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개념을 처음부터
    끝까지 줄줄 읊을수 있을 정도로) 하신 후에는
    다른 책들 보세요.

    제가 보니까 블랙박스(本) 수학 이나 6차때의 한수위 모의고사 모음집
    그리고 최근에 블랙박스에서 나온 3점 4 점 수학 시리즈 등이
    괜찮더군요.
    그리고 객관식 문제의 경우에 보기에서 해답 찾는 방법에 관한
    책이 김영사에서 나와 있습니다. (책이름은 정확히 기억안나네요.)
    정 급하시면 이 책 함 보셔도 되고요.

    문제만 많이 푸는 건 별로 의미가 없어요.
    그러니까 정석에서 지수 로그를 공부했으면 특히 어떤 어떤
    식으로 문제를 풀었다는 것을 간략하게나마 (10줄 정도로?)
    메모지에 써보세요.
    그렇게 하면 큰 흐름, 님이 알아야 할 부분, 더 공부해야할 부분이
    눈에 띌겁니다.

    3학년이면 스스로 독학해야할 시기라고 생각드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6 jbsk
    작성일
    04.02.25 17:44
    No. 18

    수학이 가장 쉬운데... 사탐이 더 쉬운가?

    아무튼 수학은 한만큼 성적이 나와서 정말 좋아한다는...

    참고로 전 이과생^^;;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