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3

  • 작성자
    Lv.98 혼수객
    작성일
    03.12.25 03:10
    No. 1

    보석이나 세공 관련사이트를 알아보시면 나올 것 같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구르는돌
    작성일
    03.12.25 19:07
    No. 2

    나무를 벨때 결을 따라 베면 칼이 잘 들어가서 쉽게 벨수 있다고 하죠
    결정축은 비유하자면 나무의 결과 같은 것입니다
    결정은 원자들이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는 것인데 이것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게 아니라 방향성이 있어요. 그래서 그 방향에 따라 물리적인 성질이 달라지게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박정현
    작성일
    03.12.25 20:05
    No. 3

    길어질 꺼 같아 답글로 쓰려고 했는데 답글 다는 기능이 없군요..-_-;;

    안녕하세요..~
    학부를 재료공학을 나왔고 전자재료를 전공으로 석사 2학기 쨰인 학생입니다...
    질문하신 2개의 굴절률은 일명 복굴절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birefrigence라고 합니다...
    뭐...사실은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에서 나온 것인지 알아야 답변이 가능하나..(왜냐하면 질문이 애매하거든요...^^; 제 판단으로서는 입사파와 반사파의 관한 이야기 같기도 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쉽게 설명해서 큐빅(cubic or octahedral) 구조의 물체가 있다고 가정할 떄...
    빛이 x,y,z 축 중에서 z축을 무시하고 x,y 축으로 변위가 있다고 가정을 합니다...
    빛은 아인슈타인의 이론과 여러 학자들의 이론에 의해서 입자성(질량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과 파동성(모든 물질은 파장을 가지고 있다...)으로 해석되는데...
    이중 파동성으로 볼 때 x,y의 변위를 가지고 있는 빛은 각각 x,y로 움직이는 두 개의 파장을 가지고 있으므로 두개의 굴절률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간단하죠...? ^^;)
    따라서 결국 입사된 빛이 나올 때는 처음 변위가 아닌 90도 틀어진 쪽으로 빛이 통과되게 되고 이는 공식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공식은 생략...~)
    결정축이 무슨 의미인 줄 모르겠는데...
    큐빅 구조의 경우 회전축은 3중 회전축이고...(120도씩 돌려도 같은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2개의 거울면을 가지고 있습니다..(음..맞나...? 헷갈리네...)
    더 자세한 것을 원하신다면...
    결정학개론이라는 책과 전자재료 책을 보시는 것이 좋긴 한데...
    전공 서적이라 일반 사람이 보기에는 좀...-_-;;
    그럼 이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