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6

  • 작성자
    Lv.57 ch******
    작성일
    03.07.27 15:47
    No. 1

    때로는 '진실이라고 믿고 싶은 것'이 '진실'의 탈을 쓰고 '현재의 진실'의 자리를 대체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한단고기는 아직 진실이 아닙니다.

    역사는 거짓말을 하지만, 유물은 거짓말을 하지 않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이정수A
    작성일
    03.07.27 17:52
    No. 2

    한단고기는 정식 사료로서는 불충분하다고 들었습니다.

    그 첫째가 당시 시대 용어상으로 쓰이지 않을 법한 단어가
    쓰였다는 것입니다. 즉, 누군가 후대에 창작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 밖에 위서다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몇 가지의
    사실들이 있는데, 제가 까먹었군요.

    민족적 특수성을 제외하고 세계사적 보편성으로만
    역사를 보면 우리의 자주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민족적 특수성으로만
    역사를 바라본다면 세계사와 아귀가 들어맞지 않는
    일이 벌어지고 맙니다.

    일부 편향된 역사서만 보기 보다는
    다수의 역사서를 함께 보고, 무엇이 진실인지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웠으면 합니다.

    저도 한 때, 한단고기에 빠져든 적이 있었지만
    새로운 역사적 사실에 열광하여
    기존의 역사 연구를 무시하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곽일산
    작성일
    03.07.27 18:32
    No. 3

    한단고기를 무조건 위서라고 하는 것도 문제가 있지요...
    한단고기를 보면 조작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 것도 있지만...
    과학적으로 딱 맞아 떨어지는 것도 있으니...
    완전히 위서라고 딱 정의하기는 힘들지요...
    한단고기에 쓰여져 있는 과학적인
    현상들을 지금의 과학으로 추증해봄으로서
    천문현상들이 거의 대부분 맞아 떨어진다고 하니...
    좀더 한단고기에 대한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하며...
    더불어 중국대륙의 역사와 아직 연구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사료를 철저히 연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국이라는 나라는 자신에게 유리한 역사는 철저하게
    선전보전하고...
    자신에게 불리한 역사는 잘 쓰지 않지요...
    자기들에게 알맞게 변형시키는 것도 많지요.
    어떤 역사학자님의 말에 의하면...
    중국에 가서 연구를 했는데...
    북경대에서 연구를 했다고 하더군요.
    연구를 해보니...
    우리나라의 고대사를 다시 써야 한다고 하더군요.
    정말 우리민족은 찬란한 우리의 역사를 모른다고 하더군요.
    이분은 한단고기로서 연구한 것이 아니라...
    중국의 북경대 도서관에서 몇년간을 살다시피하면서
    연구를 했다고 하더군요...
    우리학교 교수님이었는데...
    암튼 우리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도 필요한 시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봉달님
    작성일
    03.07.27 19:06
    No. 4

    음...과거부터...원래 승자들은...자신에게 유리한 역사적 진술을 쓰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루사이퍼
    작성일
    03.07.27 20:03
    No. 5

    우리가 승자가 되어 역사를 새로쓰는 날이 오도록 하면되지 과거가 무슨 소용인가?
    반도의 반쪽에서 허덕이는 현실이 더 중요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柳韓
    작성일
    03.07.27 20:12
    No. 6

    한나라의 역사도 제대로 못가르치는 이 나라가 어떻게 잘 되겠습니까..

    찬성: 0 | 반대: 0 삭제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