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9

  • 작성자
    Lv.94 dlfrrl
    작성일
    22.03.20 13:11
    No. 1

    내용은 어느정도 설득력 있는 부분도 있긴 한데 왜 독어독문학과 교수가 저런 인터뷰를 했을까요ㅋㅋㅋ 교수들 전공바보 많은데. 저 인터뷰 배경이 궁금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4 dlfrrl
    작성일
    22.03.20 13:30
    No. 2

    다 동의하진 않지만 일부 받아들일 부분도 있겠다 싶습니다.. 다만 텔레페서 같아서 메신저가 좀 거부감이 드네요ㅋㅋ 찾아보니 유명하신 분이던데 옛날 서울대 곽금주 교수님 생각도 좀 나고ㅋ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4 dlfrrl
    작성일
    22.03.20 13:37
    No. 3

    갈등이 많은 건 한국의 유구한 역사인 것 같고 걍 땅덩어리가 좁고 자원이 부족하고 획일화된 성공도식 때문인 것 같아요. 좁아터졌는데 그것도 대부분 서울에 몰려있으니.. 자본지상주의는 걍 미국식인 것 같고 미국도 자본독재라면 독재국가라 하겠다만 그것을 한국만의 고유한 현상인것처럼 분석하면.. 주장과정에서의 확신과 논지의 명료함에 비하면 내용은 좀 아쉬운 것 같습니다. 정치가 자본에 휘둘리고 별로 다를 것도 없으면서 갈등을 조장하려 한다 딱 그 정도는 동의가 되네요.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水流花開
    작성일
    22.03.20 14:39
    No. 4

    우리나라의 정치나 경제 모두 미국에서 배워온 것이죠. 그게 더 좁은 나라에 분단된 나라이다 보니 좀더 그 폐해가 두드러지는 것이고요. 한국만의 고유한 것은 아니지만, 청출어람이라 할까요, 미국보다 더하다는 특이함이 있는 것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천극V
    작성일
    22.03.20 13:26
    No. 5

    대체적으로 인정. 정치쪽이 자본에 휘둘리는 건 인정하는데, 그외에 젠더갈등, 세대갈등등은 자본보다는 국민성이랄까 그런게 있음. 한국은 비교가 일상이라.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있듯이, 친척간, 친구간, 세대간, 직장에서.. 등등 비교를 하기 때문에 갈등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낀다고 생각함. 젠더이슈는 누구나 알지만, 다른 곳에서 갈등이 상위권이니. 아마 위에 쓴 국민성때문일거라 생각함. 단지 시간이 지나서 빈부격차가 심해져서 넘어서지 못할 벽을 느낀다면 오히려 갈등스트레스가 감소함.(이건 일본이 그럼. 위쪽과 넘지못할 벽을 느끼고, 주변 친구들도 나와 비슷한 처지(빈자)라는 느껴버리면 행복을 느낌. 그래서 갈등지수가 낮음.. 가난한데 행복지수가 높아서 일본에서 이상해서 조사한 것도 있지)
    그리고 한국이 민주사회가 아니라 자본주의사회라는 것도 인정. 아마 이건 누구나 인정할 듯.
    한국에선 뭐든 기준이 돈임.

    찬성: 0 | 반대: 2

  • 작성자
    Lv.63 구경꾼이야
    작성일
    22.03.20 15:25
    No. 6

    핵심은 기득권자들만 바뀔뿐이란거죠.

    서민층은 절대 못 바뀐다는 것
    일한만큼 정당한 댓가를 받지 못하는 서민들이 많아 질수록 기득권층에 진입하는 신규세력은 없으니까요.

    그러니 기존의 서민층에 분열을 일으켜서 자꾸 갈등 이유를 붙여서 기득권과 서민간의 갈등이 아닌 서민들간의 갈등으로 변질 시켜 버리는 거죠.

    기득권이 무서워 하는 서민들의 혁명을 회피 하기 위해서 서민들 끼리 서로 치고 받으라고 계속 이슈를 퍼 부어 주는 거죠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28 검고양이
    작성일
    22.03.20 22:49
    No. 7

    병법에서 강력한 적을 상대할 때는 자기네끼리 싸우게 한다면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와 우크리나 전쟁에서는 푸틴이 실수한 점은 우크리나인끼리 갈등으로 분열이
    있다면 전쟁에서 승리할 것입니다. 우리도 남과 이해하고 싸우질 맙시다. 서로 이해하고
    살고 분열을 조장하는 자가 있다면 비판하시고 늘 그런 하수인의 뒤도 경게합시다
    권력을 쥐고 있는 자는 국민이 분열하고 서로 불신하고 증오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국민들이 싸워야 그래야만 자신의 꿀단지가 생기옵니다
    절대로 그들의 장기판의 판이 되기 마시고 경계하고 의심하고 판단해서 우리에게
    유리하게 합시다 옆나라 일본처럼 일본 정치인과 기업주의 노예가 되는
    삶을 살아서는 아니되옵니다

    찬성: 4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일
    22.03.21 12:36
    No. 8

    맞아요 북한도 김정일이 자기 권력 유지하려고 밑에 애들끼리 서로 감시하게 만들었죠. 국민이 하나되면 박근혜 때 봤듯이 탄핵까지 하기 때문에 정치권은 언제나 국민이 분열하게 만들죠.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81 흑구청구
    작성일
    22.03.21 18:05
    No. 9

    예시에서 나온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동의할게 없네요. 하지만 우리나라가 점차 갈등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과거에는 사회원로나 종교인, 또는 정치인들이
    스스로 타협하거나 협상을 했는데, 지금에 와서는 타협이나 협상이 거의 사라진 느낌입니다.
    협상이나 타협은 관례가 중요한데....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