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말사육법...

작성자
Lv.18 永世第一尊
작성
03.09.02 13:45
조회
1,897

    

          

양마법(養馬法)

  

  말을 번식하고 사육하는데 필요한 양마법(養馬法)은 말의 사

육과 더불어 일찍이 발달하였다. 특히 우량마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말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좋은 말[良馬]의 판별

법, 좋은 말로 기르는 방법, 말의 질병 치료법 등을 정리한 책

도 나왔다.

  여기에서는 {고사촬요(攷事撮要)}와  {마경초(馬經抄)}를 중

심으로 해서 여러 가지 양마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조선 명종 9년(1554년)에 어숙권(魚叔權)이 지은 {고사촬요}

는 원래 사대교린(事大交隣)과 일반 상식 등을  폭넓게 수록한

책이다. 여기에 말을 관리하는 방법이 자세히 적혀 있다.

  한편 마경초(馬經抄)는 저자와  연도 미상의 마의서(馬醫書)

로 알려져 있으나, 광해군에서 인조 때의  사복시 제조인 이서

(李曙)가 편찬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표제는  마경방(馬經方)으

로 되어 있으나, 실제 제목은 '마경초'이다. 모두 상하 2권 1책

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마경(馬經)을 초록한 것으로, 상마(相馬)의 비결이 요

약되어 있다. 곧 말의 관상(相馬)과 병든 말의 진단, 치료법 등

에 관한 책이다.

  한편 이것을  언해한 {마경초언해(馬經抄諺解)}가  17세기경

에, 2권 2책의 목판본으로 출간되었다. 간행에 관한 기록이 없

어 이 책의 편찬자와 편찬 경위  및 간행 시기 등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이것 역시  조선 인조 때 이서(李曙)에 의

하여 간행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한편 저자에 대한  언급이 없

이 1682년(숙종 8년) 전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상권은 논마유부모(論馬有父母), 상양마도(相良馬圖), 상양마

가(相良馬歌), 상양마법(相良馬法) 등의 항목이 수록되었다. 하

권은 마환냉장즐사병도(馬患冷腸[水+節]瀉倂圖), 마환신구내사

병도(馬患新駒[女+爾]瀉倂圖) 등의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곳

곳에 삽화까지 끼워 넣어 이해를 돕고 있다.

  내용은 노마(駑馬), 흉마(凶馬)의 변상법(辨相法), 마수(馬壽),

마치(馬齒), 장부진맥법(臟腑診脈法),   양마법(養馬法), 방목법

(放牧法), 행침법(行針法), 골명법(骨名法), 혈명도(穴名圖) 등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언해하였다.

  그 밖에 말의 오장육부 질환과 각종 골저(骨疽),  창상, 온역

문(瘟疫文) 등이 각각 해설되어 있다.  특히 50여 종의 병명과

말의 외양이나 행동  등을 보아서  병을 간접적으로 진단하는

요령과 치료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고사촬요}와 {마경초}에서 주요 내용을 추출하

였다. 특히 {고사촬요}는 남도영에 의해 제시된 내용을 분야별

로 재정리 하였으며, 마경초는 {마경초언해}에서  주요 내용을

직접 추출하였다.

  

  1. 상마법(相馬法)

  

  상마법(相馬法)은 말을 보고, 좋고 나쁘며,  수명을 알아보는

구분법이다. 특히 옛부터 명마를 원했기 때문에 좋은  말을 알

아보는 방법이 중요시되었다.  이 내용은 {고사촬요}와  {마경

초}에서 내용을 추출하였다.

  

  1) 양마(良馬)를 알아보는 법

  

  ① 양마법(良馬法:고사촬요)

  * 볼의 뼈가 둥글고 귀는 깎여진 대통 같다

  * 드리운 눈동자는 오뚝하다.

  * 뇌의 뼈는 둥글다.

  * 눈은 드리운 방울 같다.

  * 눈 아래에는 살이 있다.

  * 얼굴은 박제된 토끼 같다.

  * 먹을 때 구유를 널리 쓴다.

  * 코는 넉넉하고 크다.

  * 윗입술은 평방(平方)져서 입을 다무는 것이 깊고, 아래 입

술은 둥글다.

  * 목은 길면서 완만하게 굽어 있다.

  * 갈기머리는 엷고, 가는 털이 위쪽으로 굽었다.

  * 등은 평평하게 퍼져 안장받이가 두텁다.

  * 부채뼈[선골(扇骨)]는 조밀하다.

  * 허리는 짧고, 그 사이가 가깝다.

  * 연골(硯骨)은 평평해서, 앞에서 보면 닭 우는 것  같고, 뒤

에서 보면 개가 쭈그리고 앉은 것 같다.

  * 가슴은 평평하고, 넓어서 척추의 뼈와 접하고 있다.

  * 짧은 무릎뼈가 둥글다.

  * 추뼈[치정골([肉+至][肉+廷]骨)]는 가늘다.

  * 발굽은 곧고 크며, 특히 앞발굽이 둥글다.

  * 장골(掌骨:손바닥뼈)과 녹골(鹿骨)이 높다.

  * 근골(筋骨:힘줄과 뼈)은 거칠고, 앞발은 곧다.

  * 등자([金+登]子) 늘이는 쪽의 살이 두텁다.

  * 배는 수평이다.

  * 뒷발굽은 뾰족하다.

  * 위(胃) 아래쪽에 거스른 털이 돋아 있다.

  * 뼈마디가 가깝다.

  * 장골(掌骨)과 녹절(鹿節)이 가늘다.

  * 뒷다리는 굽은 듯하며 깊다.

  * 꼬리는 단정하고 드리운 듯하며, 쓸면 가는 털이 송송하다.

  * 넓적다리가 비파 같다.

  * 꼬리뼈는 짧다.

  * 생식기[외신(外腎)]은 작다.

  * 땀구멍[한구(汗溝)]은 깊다.

  

  ② 상양마법(相良馬法:마경초)

  * 머리가 높고, 뚜렷하다.

  * 눈은 아래로 향한 방울 같고,  눈 아래에 살이 있다. 눈망

울이 아래로 향한 것과 같고,  분명하며, 흰 실이 눈망울에 걸

쳐 있으면 하루에 오백리를 간다. 눈이 붉고  속눈썹이 뒤집어

지면 달리기를 잘 한다. 또한 눈망울이 5채(五彩)가 나면 장수

한다. 눈이 크면 심장이 커서  크게 놀라지 아니한다. 한편 눈

동자가 둘이면 가볍게 보지  말아야 한다. 밤에 눈이  크면 좋

다.

  * 귀는 대[죽(竹)]를 깎은 것과 같으면 좋다. 귀가 작으면 간

이 작아서 사람의 뜻을 잘 알 수 있다.  노루머리와 사슴귀 모

양이면 추풍(  [鳥+(推-手)]風)이라고 일컫는다. 귀털이 1자

[尺]로 길면 천금의 값이 있고, 귀가 1촌(寸) 정도로 작으면 하

루에 천리를 간다.

  * 코는 크고 너그럽다.

  * 윗입술은 네모지고, 입 어귀는 깊으며, 아랫입술은 둥글다.

입이 깊고 입 가운데의 빛이 붉고  빛나면 천리마라 할 수 있

다.

  * 볼의 뼈가 뚜렷하다.

  * 목은 길면서 굽어져 있다.

  * 갈기는 엷고, 잔털이 가늘며, 앞에서 보면 우는 닭과 같다.

  * 가슴이 평평하고, 갈기껍질[기갑([(鬚-須)/耆]甲)]이

높다. 가슴이 넓어, 바라보면 쌍을 이룬 물오리와 같다.

  * 등뼈는 평평하고, 안장을 놓는 살[배안육(排鞍肉)]이 두텁

다.

  * 갈비벼[늑골(肋骨)]는 촘촘하다.

  * 허리는 급속하게 짧고, 뒤에서 보면 개가  쭈그려 앉아 있

는 것과 같다.

  * 무릎뼈는 뚜렷하다.

  * 종아리뼈가 가늘다.

  * 앞굽은 원만하며, 크고 곧바르다.

  * 바닥뼈[장골(掌骨)]가 높다.

  * 꼬리뼈는 짧고, 꼬리는 잔털보다 가늘다.

  * 땀구멍[한구(汗溝)]이 깊다.

  * 생식기[외신(外腎)]가 작다.

  * 뒷다리는 비파  같고, 곡지(曲池)는  깊다. 뒷다리는 굽고,

뒷굽이 뾰족하며, 배 아래에 반대 방향의  털[역모(逆毛)]이 나

있다.

  * 배가 평평하다.

  * 등자의 살이 두텁고, 앞다리가 곧으며, 힘줄이 굵다.

  * 혀는 칼을 드리운 것과 같고, 빛깔이 연꽃과 같다.

  * 갈비뼈가 12개를 넘으면 좋다.

  * 삼산(三山)뼈가 평평하면 쉽게 살찐다.

  * 턱아래가 깊다.

  * 이마가 평평하다.

  * 귀 아래 팔육(八肉)이 크고 분명하다.

  * 눈 아래의 뼈가 아래로 곧다.

  * 다리 사이가 넓다.

  * 오줌을 누면 앞발에 미치고, 오줌을 눌 때에 한 다리를 들

고 개와 같이 누면 하루에 오백리를 간다.

  * 네 굽이 둥글고 실(實)하여 곧바로 서고,  양수(羊鬚)가 벌

여져 있다. 또한, 수가 닭의 발톱 같으면 하루에 천리를 간다.

  * 골각(骨角)이 둘이 있으면 용의 새끼(龍駒)라 일컫는다.

  * 처음에 태어날 때 털이 없으면 용의 씨라 일컫는다.

  

  2) 노마(駑馬)를 판별하는 법

  

  노마는 행동이 느린 말로 이에 대한 판별법은 {고사촬요}와

{마경초}에서 추출했다.

  

  ① 노마판별법(駑馬判別法 : 고사촬요)

  * 머리가 크고, 귀가 두텁다.

  * 입이 크고 벌어졌으며, 엷은 입술이 경사가 있고, 또한 볼

이 얇다.

  * 늑골이 가늘고 경사가 있다.

  * 말갈기나 털이 거칠다.

  * 허구리(허리의 갈비뼈 아래  좌우 양쪽의 잘쏙한  부분)가

크고 풍성하나, 등자([金+登]子) 자리에는 육질이 없다.

  * 삼산(三山)이 높고,  뒤허구리가 적다.  말굽 아래가 얕고,

무릎이 작다.

  * 척추가 높고 곧다.

  * 늑골이 드물게 있고, 배가 좁다.

  * 과골(跨骨:사타구니뼈)은 위가 넓고, 아래는 엷다.

  * 겨드랑이 밑의 육질에 경사가 있다.

  * 갈비 아래의 근육과 배 부분이 크다.

  

  ② 노마형상법(駑馬形狀法 : 마경초)

  * 머리가 크고 무겁다.

  * 귀가 넓다.

  * 입어귀가 엷다.

  * 아랫입술이 급하다.

  * 볼이 얇고 차다.

  * 목이 굵으며 짧다.

  * 힘줄이 가늘고 가죽이 급하다.

  * 털이 굵고 겸(肉+(謙-言))이 크다.

  * 발굽의 아래가 실하다.

  * 발목이 가늘다.

  * 무릎뼈가 작다.

  * 겨드랑이 아래의 살이 급하다.

  * 옆구리 아래 갈비뼈가 짧다.

  * 배가 크고 밑으로 처져 있다.

  * 뒷다리가 곧다.

  * 등이 높고 곧다.

  * 갈비뼈가 드물다.

  * 삼산(三山)이 높다.

  * 꼬리 밑이 높다.

  * 땀구멍[한구(汗溝)]이 엷어서 분명하지 않다.

  * 배가 좁으며, 허리가 우묵하다.

  * 다리가 굵다.

  * 양의 눈, 코끼리 눈, 돼지 허리, 낙타 허리 모양은 모두 달

리지 못한다.

  

  3) 흉마(凶馬)를 판별하는 법

  흉마는 좋지 않은 말로,  이것을 판별하는 방법[상흉마법(相

凶馬法)]은 {마경초}에서 추출하였다.

  * 머리가 희고, 몸이 검다.

  * 갈기와 정수리가 희다.

  * 귀가 희고, 허리가 꽃처럼 얼룩지다.

  * 눈망울이 올려 보이며 고리눈이다.

  * 얼굴이 짧으며, 살이 옆으로 퍼졌다.

  * 눈이 깊고, 살이 없다.

  * 흰 것이 이마를 따라 입에  들어가 있으면, 유응(兪膺) 또

는 적노(的[盧+頁])라 일컫는다. 이 말은 하인이 타면  객사하고, 주

인이 타면 저자거리에 버리므로, 크게 흉한 말이다.

  * 왼쪽 옆구리에 흰털이 바로 위를 향해 있으면, 칼을 찬 것

[대도(帶刀)]이라 하여 사람에게 이롭지 못하다.

  * 흰말이 네 발이 검고,  누런 말이 부리가 희면  모두 좋지

않다.

  * 뒷발이 모두 희면 며느리를 죽이게 된다.

  * 무릎뼈[슬골(膝骨)]가 둥글고 크며, 꼬리 밑이 땀구멍[한구

(汗溝)] 위로 통하여 있으면 사람을 밟아 죽일 말이다.

  * 눈이 붉고 눈시울이 뒤집어져 있으면 너무 달려서 사람을

상하게 한다.

  * 눈 아래 가로지른 털[횡모(橫毛)]이 있으면 사람에게 이롭

지 않다.

  

  4) 수명 알아보는 법

  이것은 말의 모양을 보아서 수명을 알아보는 방법[수요법(壽

夭法)]이다. 내용은 {고사촬요}에서 추출하였다.

  

  * 90수(壽) : 말이 눈  속에 5색을 갖추었거나, 눈꺼풀  밑에

글자 모양이 있을 경우, 90수를 한다.

  * 50수(壽) : 코 위에 '王公'  같은 문양이 있으면 50수를 한

다.

  * 40수(壽) : 코 위에 '火'와 문양이 있거나, 가마머리가 눈꺼

풀 위에 있으면 40수를 한다.

  * 30수(壽) : 코 위에 '天'과 같은 문양이 있거나, 가마머리가

상골(箱骨) 중에 있으면 30수를 한다.

  * 20수(壽) : 코 위에 '山'이나 '水'와 같은 문양이 있을 경우

에 20수를 한다.

  * 18수(壽) : 코 위에 '介'와 같은 문양이 있거나, 가마머리가

중상(中箱)의 아래에 있으면 18수를 한다.

  * 8수(壽) : 코 위에 '四'와  같은 문양이 있을 경우에 8수를

한다.

  * 7수(壽) : 코 위에 '宅'과  같은 문양이 있을 경우에 7수를

한다.

  

  5) 가마머리털[선모(旋毛)]의 구분법

  이것은 가마머리털[선모(旋毛)]의 모양을 통해, 좋은 말인가,

좋지 않은 말인가,  그 외에 여러  성격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것은 {고사촬요}에서 추출하였다.

  * 두 눈  사이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난 가마머리털은 수성

(壽星)이라 하여 좋다.

  * 목 밑에 있는 가마머리털은 대영(帶纓)이라 하여 좋다.

  * 가슴 자리에 있는 가마머리털은 좋다.

  * 허벅다리 밑에 있는 가마머리털은 좋다.

  * 뒷다리와 배가 접한 곳에 있는 가마머리털은 좋다.

  * 위에 제시된 곳 이외에 난 가마머리털은 모두 나쁘다.

  

  2. 양마목양법(良馬牧養法)

  

  1) 기존 문헌의 목양법

  이것은 좋은 말을 기르는 방법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이 내

용은 {고사촬요}와 {마경초}에서 추출하였다.

  특히 {고사촬요}에는 우리 나라의  목양법을 따로 구분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아서, 기존 문헌이나 중국의 양마법을 참고로

작성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내용은 {고사촬요}와 {마경초}에서 뽑았다.

  

  ⊙ 마구간

    * 겨울에는 마구간을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고사촬요)

    * 말 먹이기를 겨울에는 더운 곳처럼 하며, 여름에는 서늘

하게 하되, 마땅히 남쪽으로 연결시키고  북쪽으로 연결시키지

말라. 마구간과 구유통을 깨끗이 한다.(마경초)

  ⊙ 구유통 : 청결하게 하고 새로운  풀을 넣는다. 좁쌀 콩은

키질을 하되, 만약 삶게 되면 새로운 물에다 담아서 식힌 다음

에 먹여야 한다.(고사촬요)

  ⊙ 고삐 매기 : 머리가 수평이 되도록 고삐를 매되, 서로 널

찍하게 떼어 놓는다.(고사촬요)

  ⊙ 분비물 : 날마다 똥오줌을  살피되, 오줌이 맑고 똥이 눅

으면 병이 없다.(고사촬요)

  ⊙ 물 먹이기

    * 말에게 먹이는 물은  항상 새로운 물로 깨끗해야  한다.

때를 지켜 물을 먹이되, 밤에는 먹이지 않는다. 아침에는 조금

마시게 하되, 저녁은 극히 적게 한다. 그리고  낮에 마실 경우,

물이 가슴까지 차게 마시게 한다.(고사촬요)

    * 새 물을 때때로  먹이되, 밤에는 지나치게  먹이지 않으

며, 겨울에는 물을 먹은  다음에 바로 이끌고 다녀야  탈이 없

다.(마경초)

  ⊙ 물 먹이지 말아야 할 경우(마경초)

    * 배고프고 갈증이 날 때, 물을 많이 먹이지 않는다.

    * 여윈 데 물을 많이 먹이지 않는다.

    * 새끼를 밸 때에는 물을 많이 먹이지 않는다.

    * 배가 고플 때에 물을 배불리 먹이지 않는다.

    * 밖에 나갈 때에 물을 많이 먹이지 않는다.

    * 먼 데에서 왔을 때에 물을 많이 먹이지 않는다.

    * 흐린 물을 먹이지 않는다.

    * 좋지 않은 물을 먹이지 않는다.

    * 거품이 있는 물을 먹이지 않는다.

    * 사람이 말을 탄 상태에서 물을 먹이지 않는다.

    * 죽(먹이)을 먹인 후에 물을 먹이지 않는다.

    * 땀이 난 데에 물을 더 먹이지 않는다. 그래야 말이 무병

하게 된다.

  ⊙ 먹이 주기

    * 겨울 먹이 : 겨울철에 얼은  재료나 풀.모래.자갈.흙.거미

줄이 섞인 것을 먹이면, 즉시 여위고 병이 난다.(고사촬요)

    * 먹이 선택 : 새 풀로  갈아주고 콩과 요를 잘 까부르며,

만일 익은 콩일 경우, 새 물에 담근 다음, 일어서 먹인다. 따라

서 곡식은 잘게 짤라서 먹이며, 풀을 먹이고, 털과 머리카락을

가려서 먹인다.(마경초)

  * 풀 주기 : 풀을 거칠게 썰면, 비록 곡식을 섞어 주어도 살

찌지 않는다. 그리고 가늘게 썰어 마디가 없게  걸러내서 먹이

면, 살찌지 않는 말이 없다.(고사촬요)

  ⊙ 꺼리는 먹이

    * 묵은 물이나 풀, 언  콩, 모래.회(灰), 주사(蛛絲)가 섞인

풀, 털이 있는 동물을 가장 꺼리니, 이를 먹으면 곧 여위어 병

이 나게 된다.(마경초)

    * 살찌고 큰 말에게 먹이를 더 먹이지 않는다.(마경초)

    * 더운 때에 먹이를 더 먹이지 않는다.(마경초)

  ⊙ 먹이 주는 시기 : 좋은 꼴은  배고플 때 주는 것이고, 나

쁜 꼴은 배부를 때 주는 것이다. 따라서 좋은 꼴을 잘 먹여 항

시 배부르게 하면 살찌게 된다.(고사촬요)

  ⊙ 소금물 먹이기 : 간혹  소금물을 먹이되, 많이 먹이지 말

아야 한다. 많이 먹이면 허리나  배 부위를 상하게 되고, 때에

따라 신[腎]이 냉하게 되며, 결국 새끼를 낳지 못하게 된다.(고

사촬요)

  ⊙ 방목하기[放牧有法] : 방목(放牧)하는 말은 5월 이후에 거

두어야 한다. 특히 음산한 비나  장마비를 맞지 않게 한다. 또

한 서리를 맞거나 바람에 노출되면, 몸이  마르면서 병이 나게

된다.(마경초)

  

  2) 우리 나라의 목양법(牧養法)

  {고사촬요}에는 아래 내용을 우리나라의 목양법이라 기록한

점으로 보아, 이것은 기존의 목양법과 구별된다. 이 내용은 모

두 {고사촬요}에서 추출하였다.

  * 힘겨워 땀 날 때 : 겨울.봄에 말이 힘겨워 땀이 나면, 말뒷

거리[추필([革+秋][革+畢])]를 벗기지 말고, 서서히  털을 쓰다듬

는다. 만약 말뒷거리를 벗기면, 혈한풍(血寒風)에 걸리게 된다.

  * 땀이 없을 때 : 안장을 벗기고, 어지(於之)라  부르는 말옷

을 입힌 뒤에 고삐를 푼다.

  * 피로할 때 : 말이  크게 피로하면 편안하게 매 두고  숨이

가라앉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긴 풀 한 묶음을 먹이고 나서 썬

풀을 준다. 한참 후에 사료 1∼2되와 썬 풀을 섞어 먹인다. 또

깨끗한 물 1되, 썬 풀과 사료 3∼4되를 섞어 먹인다.

  * 물 먹이기 : 물은 항상 깨끗하게 먹인다. 말이  목마를 때,

많이 쉬어도 땀이 쉽게 그치지 않으면 병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을 타서 땀이 조금 나면, 앞에 말한 양마법대로 한다.

  * 좋은 말 기르기 : 5월 이후에는 방목하지 말고, 가을이 되

어서 방목한다. 8월 보름쯤에 이르러,  하루만 타도 땀이 나면

지나치게 피로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짚풀로 된  덕석을 등에

입히고, 밤이 지나 땀이 식으면  새벽 내내 쓰다듬어 준다. 이

삭이 돋지 않는 긴 풀 1∼2  다발을 먹이고 깨끗한 물 1∼2대

야를 주어 한번 마시게 한다. 10일이 되면 전에  하던 대로 피

로하게 말을 타되, 양마(良馬)는 다섯  차례 실시하고, 상마(常

馬)는 세 차례 실시한다.

  * 말이 마를 때 : 8∼9월에도 살찌지 않으면 풀이 마르기 전

에 사료를 풍족하게 먹이며, 기장[직(稷)]을 먹이면 더욱 좋다.

  * 길 갈 때 주의 : 길을  갈 때에는 물을 먹이지 말고, 더구

나 가까이 쉬는 곳에 전마(戰馬)가 있으면 기존의 방법으로 하

지 않는다.

  * 말 보신하기 : 말이 풀이나 사료를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

을 때에는, 감초(甘草).인삼(人蔘).백출(白朮).당귀(當歸) 각각 2

돈, 대황(大黃) 6돈, 관중(貫衆) 5포를 간다. 이어 물을 타지 않

은 술 1대접, 참기름 1잔, 계란 1개와 서로  섞는다. 그리고 이

것을 이른 아침에 말의 입에다 흘려준다. 또한 먹이를 높이 매

달아 물이나 풀을 먹지 못하게 하고, 오후에 가서 물풀을 먹인

다. 효과가 없으면 다시 먹인다.

  

  3. 출정마(出征馬)의 관리법

  

  1) 출정하기 전에 다스리는 법[사정마령경실법(飼征馬令[口+更]

實法)]

  출정하기 전이나 후에는 말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출정

하기 전에 말을 다스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내용은 {고

사촬요}와 {마경초}에서 추출하였다.

  * 먹이주기

    - 꼴 가지를 가늘게 썰어, 잎은 버리고 줄기만 취한다. 그

리고 콩을 섞고 갈아서 준다.(고사촬요)

    - 풀을 잘게 썰며 까부른다.  그리고 잎을 제거하고, 오로

지 줄기만을 가지고, 콩이나 곡식과 섞어 먹인다.(마경초)

  * 구유의 위치 : 말먹이를 담는 통인 구유[조(槽)]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둔다.(고사촬요)

  * 추위 이기기

    - 눈 내리는 추운 때라도 가리지 말고, 하루 한 번씩 뛰게

해서 근육에 열이 나게 한다. 그러면 말이 견실해서 추위나 괴

로움을 잘 견딘다.(고사촬요)

    - 이슬이 내리는 차가운(寒) 데에 두어, 비록 눈보라가 오

는 추위라도 집안에 들이지 않는다. 그리고 하루  한번씩 달리

게 하며, 그래서 열이 나게 하면 말이 튼튼[경실(硬實)]하여 추

위를 견딜 수 있다.(마경초)

  

  2) 원정(遠征) 후에 다스리는 법[마원회경양법(馬遠回[口+更]

養法)]

  멀리 출정[遠征]한 다음에  돌아와서 말을 관리하는  방법이

다. 이 내용은 {마경초}에서 추출하였다.

  * 돌아온 직후 : 겨울과 봄철에 말이 먼 데에서 돌아와 땀이

많이 나면, 안장(기라마)을 벗기지 말고 물을 먹이지 않는다.

  * 안장 벗기기 : 숨쉬기 편안하게  하며, 땀이 가신 뒤에 안

장을 벗기고 어치(언치)를 맨다.

  * 먹이 주기 : 옮기면서 먹일 때에는 말로 하여금 밖에서 풍

한(風寒)이 들지 아니하게 하며,  먼저 긴 풀[장초(長草)]을 한

묶음 먹인 후에  자른풀[절초(切草)]을 먹인다.  한참 후에  콩

2∼3되와 물 한 말을 절초와 섞어서 먹인다.

  * 길 갈 때 : 길을 갈 때에 물을 먹이지 말고, 쉴 곳이 가까

우면 더욱 이를 지켜야 한다.

  

  4. 말의 건강 및 치료법

  

  1) 말의 건강 상태 알아보는 법

  말의 모습을 보아 건강 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이 내용

은 {마경초}에서 추출하였다.

  * 낮에는 말의 얼굴을  보고, 밤에는 숨쉬기를  듣고 건강을

알아본다.

  * 풀과 콩이 많고 적은 것을 잘 살핀다.

  * 질병을 잘 살펴야 가축을 잘 기를 수 있다.

  * 병이 없는 경우

    - 오줌과 똥 : 오줌이 맑고, 똥이 윤기가 있다.

    - 코 : 코의 기운이 온화하다.

    - 입술 : 입술이 선명하다.

    - 털 : 털이 광택이 난다.

    - 몸과 정신 : 몸이 건장하고, 정신이 맑다.

    - 머리와 꼬리 : 머리와 꼬리가 적게 움직인다.

    - 뒷굽 : 뒷굽을 돌려 세운다.

  

  2) 말의 치료법

  말의 상태에 따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 내용은 {고사촬요}

에서 추출하였다.

  * 물풀을 넘기지 못할 때 : 계란  1개, 껍질 벗긴 비둘기 알

2개, 물.참기름 3홉, 꿀 3홉, 웅담(熊膽) 1돈 반, 마늘 1통을 볶

아서 잘 간다. 여기에 두림주(豆淋酒) 1되를 섞어 공복에 흘려

넣는다. 아침에 먹이고, 저녁에 풀을 배부르게 먹인 다음, 물 1

되쯤을 주며 서서히 마시게 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흘려 넣는

다.

  * 대소변을 통하지 못할 때 : 잠에서 깨어  대소변이 통하지

못하면 급히 치료해야 한다. 만약 급히 치료하지  못하면 죽게

된다. 우지(牛脂)나 식용유를 손에다 바르고, 항문을 더듬어 막

힌 똥을 제거한다. 또 소금을  요도(尿道)에 넣고 오줌이 나오

게 하면 곧 낫게 된다.

  * 소변이 불통일 때 : 활석(滑石) 1냥, 박소(朴消)와 목통(木

通), 견우자(牽牛子) 각각 2냥을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에 타

서 한두 차례 흘려 넣는다. 뚫리지 않으면 다시 한다.

  * 안골(眼骨)에 이상이 있을 때 :  청염산(靑??山)과 백반(白

礬) 4돈, 총알만한 청염 2덩이를 쓰되, 만약 없으면 집에서  먹

는 소금으로 대신한다. 소금을 갈아서 쟁개비(무쇠나 양은으로

만든 작은 냄비)에 담고  백반으로 덮은 다음에  불로 볶는다.

그리고 이것을 꺼내어 숯불에다 놓고  검은 연기가 꺼진 뒤에

가루처럼 간다. 여기에 용뇌(龍腦)를 조금 넣어서 사용한다. 대

체로 말은 안골(眼骨)이 있은 뒤에  복통이 온다. 모든 복통에

는 신궐혈(神厥血)을 50번 정도 뜨면 낫는다. 처음  발병할 때,

가마솥 밑의 검정을 미세하게 갈아 1돈을 눈에 넣으면 낫는다.

또 웅담을 녹두알만큼 갈아서 술  1사발 반에 섞어서 작은 잔

으로 서서히 흘려 넣는다. 한편 처음 병의 기색이 있을 때, 머

리카락을 태워 훈기를 불어넣어 줄 때,  맑은 콧물이 나오다가

나중에 짙은 콧물이 나오면 낫는다.

  * 설사 치료법  : 국출산(麴朮散: 좋은  누룩을 볶아서 갈은

것) 4냥, 창출(蒼朮) 가루 4냥을  따뜻한 물에 섞어 말의  입에

흘려 넣는다. 낫지 않으면 다시 흘려 넣는다.

  * 말의 부스럼을 치료하는 법 : 여여(??茹).여려(藜??).위영선

(??靈仙) 등을 가늘게 갈아, 묽은 죽처럼 섞어 바른다. 또는 층

목유(層木油).개자(芥子).좋은 식초에 석회석을 데워 이것을 바

르면 좋다.

*****************************

마문화 연구총서 Ⅱ    한국의 마상무예

마사박물관    비매품

97/12/10

에서 발췌...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5 기타상식 지나(중국) 고대국 하나라 Lv.1 휘수(輝手) 03.12.01 1,048
184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건국신화 오제 Lv.1 휘수(輝手) 03.12.01 1,784
183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건국신화 삼황 Lv.1 휘수(輝手) 03.12.01 1,130
182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창조신화 Lv.1 휘수(輝手) 03.12.01 1,077
181 기타상식 동이족의 기원 +2 Lv.1 휘수(輝手) 03.12.01 1,320
180 기타상식 사대주의 Lv.1 휘수(輝手) 03.12.01 900
179 기타상식 백제의 영토 +2 Lv.1 휘수(輝手) 03.12.01 1,571
178 기타상식 한사군은 없었다. Lv.1 휘수(輝手) 03.12.01 1,096
177 기타상식 규염객전(원문포함) Lv.1 桃李不言 03.11.20 2,612
176 기타상식 상세 무협 용어 +4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5,394
175 기타상식 변검 +1 柳韓 03.09.30 1,707
174 기타상식 용(龍)에 대해서 +2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1,945
173 기타상식 도둑의 다섯가지 도 +2 柳韓 03.09.29 1,624
172 기타상식 동물관련용어. +2 柳韓 03.09.29 1,821
171 기타상식 중국의 10대 병서(兵書) +7 柳韓 03.09.28 2,102
170 기타상식 기연의 상징,영악의 영물 +7 柳韓 03.09.28 3,197
169 기타상식 부적의 종류 및 기타등등 柳韓 03.09.28 1,744
168 기타상식 부적 +1 柳韓 03.09.28 1,152
167 기타상식 미혼술&방중술 柳韓 03.09.28 2,856
166 기타상식 고독(蠱毒) +1 柳韓 03.09.28 1,589
165 기타상식 완벽한 자객이 행해야 하는 10가지 살인의 계명 -... +2 柳韓 03.09.22 1,833
164 기타상식 중국의 전선(사선과 호선) -배를 말하는 것. 柳韓 03.09.22 1,611
163 기타상식 문파의 종류(무림에서의 돈벌이) +5 柳韓 03.09.22 3,952
162 기타상식 부채의 종류 +5 柳韓 03.09.13 2,238
161 기타상식 무협에서 초식이 가지는 의미는? +5 柳韓 03.09.13 3,456
160 기타상식 향을 사르는 그릇, 향로 Lv.82 냉면철담 03.09.12 1,478
159 기타상식 중국의 관직 +6 Lv.80 토룡 03.09.10 4,596
158 기타상식 도사들의 복장 柳韓 03.09.07 2,444
157 기타상식 고대 중국의 도량형과 물가 +2 Lv.80 토룡 03.09.05 2,838
156 기타상식 불교팔계(8가지 계율인듯...) Lv.18 永世第一尊 03.09.02 1,19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