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중국의 어른과 아이

작성자
진소백
작성
02.11.08 12:23
조회
2,715

옛날에는 집안에서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친지들이 모두 기뻐하며 찾아와 축하를 해주었

는데 이것을 득남의 기쁨이란 뜻을 지닌 농장지희라 불렀다. 만약에 여자아이를 낳게 되면

기가 죽어 사람들 앞에서 고개를 들지 못했는데 이것을 농와 라 했다. 이것은 남존여비의

구습이다. 농장과 농와란 말은 '시경'의 '시간'편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시경'은 지금으로부터 2700여년전에 나온 시가집으로 중국에서 남자를 중시하고 여자를 경시하는 고루한 풍습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경'의 '사간'편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있다.

"사내아리를 낳으면 침상에서 재우고 좋은 옷을 입혀주고 반쪽 홀인 장을 갖고 놀게

한다. 울음소리가 우렁차고 붉은 슬갑은 휘황찬란하니 한 집안의 왕이오다" 만약에 여자아

이가 태어나면"땅바닥에다 눕히고 포대기를 걸치게 하고 실패를 갖고 놀게 한다. 거스르지

도 말며 대꾸하지도 하지 마라! 부엌일이나 할 것이지 부모에게 걱정 끼칠 일랑 말아라!"

장은 옥으로 만든 반쪽 홀이 며 와는 여자들이 베를 짤때 쓰는 실패이다. 아이가 이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그 아이의 존비는 이처럼 명확하게 정해진다.

옛날에는 이밖에도 또 다른 풍습이 있었다. 사내아이를 낳으면 나무활을 문의 좌측에 걸어

두어  남자의 강인함을 상징했거 여자아이를 낳으면 손수건을 문의 우측에 걸어두어 여자

의 부드러움을 상징했다. 이것이 이른바 설호 이다.

가부장 제도가 확립된 뒤로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는 남성보다 훨씬 뒤떨어 졌다. 남

자는 주요한 노동력이고 가정의 주요 경제원이며 여자는 종석적인 위치에 처했다. 옛 종법

에 사내아이는 대를 이어 계속 제사를 모시고 그 가문의 성씨를 계승할 수 있으나 여자는

대를 이을 권리가 없으며 여자가 자식을 낳아도 가문의 성시를 계승할 수 없어 출가를 하

면 시댁의 사람이 된다. 민간에는 시집가버린 딸은 엎지르진 물과 같다. 라는 속담이 있는

데 바로 이러한 의미이다. 옛날에는"불효에는 세가지가 있는데 대를 잇지 못하는 것이 가

장 큰 불효이다. "란 말이 있었다 대를 이을 후손이 없는 것이 갖아 큰 불효란 것이다. 사내

아이를 낳으면 대를 잇고 여자아이를 낳으면 대를 잇지 못한다. 사회의 윤리 도덕과 행동

규범에서도 여자들은 많은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여논어"에서는 "여자는 규방에서 거

처하며 바깥출입을 삼가야 하고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야지 추호라도 복종하지 안을 경우

에는 호되게 꾸짖어야하고 아침 저녁으로 훈계하고 맡은 일에 부지런 해야하며 청소하고

분향하고 천을 짜고 옷을 만든다. 손님 앞에서는 예교를 가르쳐 다과를 차례로 건넨다음

사뿐히 뒷걸음쳐 나가게 한다. 여자는 길을 가다가도 고개를 돌려서도 안되며 말할때 입술

을 벌려서도 안되며 앉아서는 무릎을 움직여도 안되며 서 있으면서 치마를 흔들어서도 안

된다. 기뻐도 큰 소리로 웃어서도 안되며 화가나도 소리쳐서는 안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잡다한 엄한 규율은 나이 어린 여자아이의 신체적 자유와 사회활동의 권리를 송

두리째 앗아갔다. 이러한 구시대적 윤리 관념의 속박아래 남존여비 사상은 민간에서 뿌리

깊은 사회풍속이 되었다.

고대사회의 생산력은  저조했고 사람들의 생활이 빈곤하여 한 집안에 식구가 한 사람 늘게

되면 먹을 입이 하나 더 늘게되어 커다란 경제적 부담이 되었다.

여자아이가 그렇게 비찬하고 쓸모없을 바에는 여아를 물에 던져 익사토록 하는 것은 일종

의 악습으로 몇 천년동안 중국에서 이어져 내려왔다. 일찍이 선진시기애는 여아를 익사시

키는 것이 만연했다. <<한비자>>에 의하면 당시에는 "아들을 낳으면 서로 축하해 주고

딸을 낳으면 죽였다"라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보편화 되었다. 남북조 시기에 안지추는

<<안씨가훈>>에서 말하길 그의 한 먼 친척은 처와 첩이 많아 처첩들이 아이를 낳을 때면 사람을 보내 지키게 하여 출산할때 문틈으로 엿보아 여자아이를 낳았으면 빼앗아 산모가

아무리 울고 소리쳐도 어느 누구도 참견할수 없었다고 하니 그 상황은 차마 눈뜨고는 보지 못한 참담한 광경이었다고 한다.

갓난아이를 익사시키는 것보다 더 보편적인 현상은 갓난애를 유기하는 것이다. 버려진 갓

난에의 강보에는 그 아이가 태어난 때를 적어 놓은 쪽지가 있기도 하고 어떤 때는 얼마간

의 돈을 남겨 두기도 하는데 아무것도 남겨놓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다.

오늘날 사회가 진보하여 갓난애를 익사시키거나 유기하는 악습은 점차 사라졌다. 사회 경

제 문화가 발전해 감에 따라 이러한 수천년에 걸친 고루한 풍습은 철저하게 없어져야 한

다. 어린아이가 자라서 일정한 연령이 되면 성인 사회에 받아들여 진다. 성년식은 바로 소

년 소녀가 성년이 될때 치르는 의식이다.고대에는 성년을 성정이라고도 해서 성년식을 성

정례라고도 불렀다. 성년이 되면 세금과 부역의 의무가 주어진다.

성년의 연령에 관한 규정은 시대마다 다르다.<<예기>>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예의

에 관한 책으로 진한이전의 각종 예의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이 책에 의하면 고대에는 남

자는 20세에 관례(남자가 성인이 되어 관모를 쓰는 관례)를 행하고 여자는 15세에 계례(비

녀같은 장식을 꽂는 의식)를 행한다고 한다. 관례와 계례는 모두 고대의 성년식을 말한다.

수대에는 남자 나이 21세를 성년으로 규정했고 당 현종때에는 남자 나이 23세를 성년으

로 규정하고 있다.

관례와 계례는 모두 고대의 일종의 상징성을 띤 성년의식이었다. 이러한 성년식은 특

히 귀족층에서 매우 중시했다. 중국 전통사회는 본래 남자를 중시하고 여자를 경시했기 때

문에 관례는 계례에 비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관례는 관을 씌워 남자가 성년됨을 의미하는 매우 엄숙한 의식이다. 주대에는 남자거 20

세가 되면 가족들은 종묘에서 관례를 거행했다.성년의식을 치루는 남자의 아버지는 먼

저 점을 쳐서 의식을 행할 길일을 택하고 그런 다음 다시 점을 쳐서 청년에게 관을 씌워

줄 귀빈으로 누구를 초청할지를 결정했다.

관례를 치르는 날이 되면 아침 일찍 모든 준비를 끝내고 관을 쓸 청년을 방안에 서있게 한

다음 그의 아버지가 귀빈을 모셔와서 종묘의 정한 자리로 안내한 다음 청년이 방에서 나

와 지정된 위치에 서서 귀빈과 웃어른들에게 예를 행한다.관을 씌울때 귀빈은 정한 관

과 복식을 청년에게 갈아입힌다.

의식이 끝난뒤 청년의 아버지는 종묘의 문 밖까지 귀빈을 모시고 나와 술자리를 마련

해 접대한다. 마지막에는 그에게 예단과 사슴가죽등의 예물을 건네준다. 그리고 성년식

을 치룬 청년은 먼저 자기의 형제 자매를 찾아보고 그 지방의 각계 인사들과 웃어른들

을 찾아가 그가 성년이 되었음을 승인 받는다.

이로 부터 청년은 남을 다스리고 부역과 제사에 참여할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게 되며 비

로소 결혼허여 가정을 이룰수 있게 된다.

계례는 여자의 성년식이다. 고대에는 남녀를 막론하고 어릴때에는 머리를 자연스럽게 늘

어뜨리고 다녔는데 이것을 수초라고 한다.  

어떤때는 두 갈래로 묶어서 머리 뒤로 늘어뜨렸는데 이를 총각이라고 한다.수초와 총각

은 후에 유년시절을 대칭하게 되었다. 여자가 15세가 되면 머리를 감아올려 비녀를 꽂

아 성년이 되었음을 나타냈다. 이것 역시 일종의 상징적인 의례이다.

관례와 계례는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웠던 모양이다. 그래서 한족 자치구 에서는 일찌감

치 이 제도가 폐지되었다. 관례와 계례의 일부 내용들은 혼례등의 의식에 융합되었다.

오늘날 한족 자치구에는 이미 관례와 같은 성년식이 없어졌지만 많은 소수 민족들은 아직

도 전통적이고 원시적인 모습의 성년의식을 보존하고 있다.

옛날에는 고산족과 홀노족의 성인 남녀는 윗니 한 두개를 뽑아야만 결혼할 자격이 주어졌

다. 오늘날 운남성의 포랑족과 태족의 청춘남녀는 결혼 연령이 되면 서로 이빨을 교환하

여 염색했다. 기낙족은 신부가 출가할때 검은 색으로 염색하고 입술을 붉게 칠한다.이것

은 고대의 고치완혼의 유풍이 변모한 것이다.

성년식은 한 개인이 유년의 단계에서 성숙한 단계로 진입하는 분기점이다. 이러한 성숙

은 생리적이며 심리저 성숙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며 문화적인 성숙을 의미한다. 이후로 그

는 더 많은 사회적 권리를 갖게 됨과 동시에 그에 따르는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짊어지

게 되어 그의 독립성과 자주성은 더욱 강화되게 된다. 요컨대 그는 더욱 복잡하고 다변적

인 성인의 셰계에 첫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참고  박현규역 "중국 민속학"-백산 자료원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 중국문화 당송팔대가 +2 Lv.1 향기연필쿨 02.12.23 1,994
18 중국문화 暗香疎影 암향소영 / 賣雪詞 매설사 +2 Lv.99 tothao 02.12.08 3,307
17 중국문화 협객(俠客)의 행동 Lv.82 냉면철담 02.11.19 2,493
16 중국문화 문파 내에서의 호칭에 대해서 김현성 02.11.13 3,891
15 중국문화 중국 신화 슈엔 02.11.12 2,967
14 중국문화 중국 음식 +3 슈엔 02.11.12 3,272
» 중국문화 중국의 어른과 아이 진소백 02.11.08 2,715
12 중국문화 중국 요리의 역사와 특징 진소백 02.11.08 4,454
11 중국문화 중국의 전통민가 진소백 02.11.08 2,716
10 중국문화 중국의 차 진소백 02.11.08 2,581
9 중국문화 중국의 금기 +1 진소백 02.11.08 3,428
8 중국문화 당삼채 +2 진소백 02.11.08 2,760
7 중국문화 고대의 도량형 古代的度量衡 +3 Lv.99 tothao 02.10.30 3,082
6 중국문화 송옥과 반악에 대하여.. +2 Personacon 금강 02.10.29 4,516
5 중국문화 중국의 불교에 대해 진소백 02.09.27 2,300
4 중국문화 전족에 대해 진소백 02.09.25 2,888
3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문화 +2 진소백 02.09.23 3,779
2 중국문화 중국의 10대 명주 +4 【死神飛翔刀】しんや 02.09.12 4,253
1 중국문화 중국의 차와 술 +4 【死神飛翔刀】しんや 02.09.07 4,58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