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중국의 금기

작성자
진소백
작성
02.11.08 12:18
조회
3,429

혼인금기

혼인금기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택혼(擇婚)에 있어서 씨족외혼(氏族外婚)습속이다. 씨족외혼의 습속은 고대로부터 있어온 정치적, 생물학적 경험의 결과이다. 즉 정치적으로는 군사적인 동맹관계나 연계를 위한 것이며, 생물학적으로는 열성(劣性)후손의 탄생을 막고자 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혼인금기 중에는 동성금혼 외에 등급혼금기(等級婚禁忌)가 있다. 이는 고대의 혼인이 혼인 남녀 당사자의 문제가 아니라 씨족간의 정치적, 경제적 결합으로서의 가치가 더 컸기 때문이다.

고대중국의 혼인특성은 연애금기의 중매가 있다. 모든 혼인은 중간의 매개자를 통해서만 진행되었는데, 이는 씨족과 씨족간에 있을 수 있는 불편한 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매인의 존재가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여성의 실정(失貞)을 크게 금기시했기 때문이다.

동방(洞房)의식 때에도 몇 가지 중요한 금기가 있다. 첫째는, 이날 침대에 오를 때 신랑의 신발이 신부에게 밟히면 평생을 아내에게 머리를 들지 못한다는 속설이며. 다른 하나는 동방에 밝힌 두 개의 촛불을 지키는 것으로, 속설에 의하면 먼저 꺼지는 촛불의 대상자가 먼저 죽는다. 따라서 백년해로를 위해서는 밤새촛불을 지키는 수화촉(守火燭)의 의식을 진해하기도 하고 동시에 두 개의 촛불을 끄기도 한다.

언어금기

언어금기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주대에 시작된 호칭금기, 즉 피휘(避諱)이다. 피휘는 고대 정치인물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였으며  또한 가족 어른과 타 어른의 이름을 말할 때에도 적용되어 직접 거명할 수 없었다. 즉"자식은 아버지의 이름을 말할 수 없고, 제자는 스승의 휘를 말할수 없다."라는 문화를 발전시켰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일찍죽게 된다는 속설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피휘는 자식의 이름을 지을때에도 적용되었으며, 조상이나 어른의 이름과 동일한 글자는 쓰지 않았다. 특히 자식의 이름을 지을 때. 어렸을 때 소명(小名)을 지었다가 어른이 되면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때부터소명은 부르지 못했다. 또 이름을 지을때에는 오행의 극명(克名, 서로 상극이 되는명칭)을 고려해서 이름자에 금(金)이 없는 경우는 화(火)를 넣지 못하는 등의 금기를 지켰다.

숫자금기

숫자의 금기는 동음에 의한 것과 문화적인 특수한 배경에 의한 나이와 관계되는 것이많다..

동음에 의한 것으로는 사(四, 중국어로 Si)로 발음이 동일한 사(死, Si)의 음을 피하기 위해 사용을 꺼려 4월에는 혼인을 꺼린다든가 혼례등의 축의금을 보낼 때 4단위 액수를 피했다.

반면에 좋아하는 숫자로는 팔(八, 중국어로는 Ba)이며 돈을 번다는 의미의 발재(發財)중 발(發, Fa)의 음과 유사하기 때문에 즐겨 사용했다. 숫자금기 중에는 또, 홀수와 짝수 금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3, 6, 9등 3의 배수를 선호하지만, 혼례 때의 축의금의 경우는 40이나 400을 제외한 짝수의 액수를 사용하고, 상례 때는 홀수의 액수를 사용하였다.

나이와 관계되는 금기 숫자는 45, 73, 84, 100세 등이 있다. 45세란 송대의 포공(包公)의 고사와 관련 어려움을 만나거나 죽음을 경험한 나이라 여겨 꺼린다.

73과 84세는 공자와 맹자의 나이와 관계가 깊다. 전설에 의하면 공자는 73세에 죽고, 맹자는 84세에 죽었는데, 성현들도 그 나이에는 죽음을 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100세를 피하는 이유는 백을 보통 숫자의 만수로 생각하기 때문에 백살이 되었어도 언제나 99세라고 말했다. 이 밖에 지역에 따른 나이금기도 있어서 산동 지역에서는 41세 대 아내에게 문제가 생긴다는 속설 때문에 남자들은 이 나이를 피해서 말한다. 남부지역에서는 9를 싫어하여 9세, 19세, 29세 등의 나이를 직접 말하지 않는다.

의식주 금기

복식금기

중국에는 "십리에서 사람을 알아보고, 백리에서 옷을 알아본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의복과 사회적 가치판단의 밀접함을 반영한다. 또, 중국인들의 의복의 색상, 재료, 형태, 제작등에관한 많은 금기들이 있으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색상이다.

중국인들이 가장 금기시하는 색상은 황색, 자색, 향색등의 이른바 귀색이다. 이들 색상은 과거 신분제와 관련 대부분 황실이나 귀족을 대표하는 색으로서 민간에서 이색을 입으면 반역으로 오해를 받았다.

중국의 민간색상중 녹색, 벽색(碧色), 청색은 천색(賤色)으로 원·명·청대에는 창기와 배우등의 천한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입었다.

중국인들이 천색외에 또 꺼리는 것은 흉색(凶色)이 있는데, 이것은 백색과 흑색으로 모두 상장례와 관계가 있다. 따라서, 혼례등에는 순백색과 순흑색을 절대 금기시하며 길함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주로 사용한다. 축의금역시 붉은 봉투에 담아 홍포(紅包)라고 하고, 상례에는 흰 봉투를 사용하여 백포(白包)라고 한다. 재료는 일반민간의 복식의 경우는 특별한 금기가 없었으나 수의를 만드는 경우는 먼저 단(緞, 비단의 종류)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단의 음이 단자절손(斷子絶孫, 자손을 단절시킴.)의 음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 양포(洋布, 농가에서 자가 생산한 포)를 쓰지 않았던 것은 양포의 양(洋)음이 음양의 양(陽)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수의는 죽은 사람을 음지로 보내는 것인데, 양자가 들어간 양포를 쓰게 되면 양지로 떠돌게 된다는 미신 때문이다.

음식금기

중국음식은 단순한 영양소적인 측면이 아니라 음양의 배합과 관계가 깊다. 다시 말하면 각종 음식물의 물성(物性)을 양성과 음성, 즉 열성과 냉성으로 나누어 이해하면서 물성이 상반된 것은 함께먹는 것을 꺼리고 있다. 이러한 관념은 한의의 기본원리와 상통하는 것으로 식물자체가 지닌 계절성 독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드러 봄철에는 붕어를 먹지않는데 이는 봄 붕어는 머리에 벌레가 있어 각기병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닭고기를 먹지않는데, 이는 닭이 여름에 독이 많은 지네를 너무 많이 먹어 독이 체내에 쌓여있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이 밖에 음식금기에는 음식이 지니고 있던 자연속성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는 속설이 있다.예를 들면 곰의 심장과 표범의 담을 먹으면 용맹해지고 늙은 암탉을 먹으면 피부가 거칠어진다는 등등의 속설이 있다.

중국의 음식금기중에는 접대에 관한 것이 많은데, 손님의 금기와 주인의 금기로 나눌수 있다. 손님은 식탁에서 일어나 먼 곳의 음식을 집지않으며, 요리 접시를 깨끗이 비우지 않고, 또 생선을 먹을 때 뒤집지 않으며, 음식찌꺼기를 개에게 던지지 않고, 먼저 식탁을 일어나지 않는 등등이다. 음식접시를 깨끗이 비우는 것은 음식이 모자란다는 의미이며, 생선을 뒤집는 등은 어촌에서 특히 금기시 하는데, 어선이 뒤집어진다는 연상 때문이다.

주인의 경우에는 풍성한 요리를 차린 후, 주인이 직접 젓갈로 음식을 집어주고 술을 권하는 경주(敬酒)를 계속한다. 또 산동지역에서는 처음 음식으로 물만두를 끓여 내오지 않는데, 이는 물만두는 송별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물만두를 산동지역에서는 곤단포(滾蛋包, 곤단이란 "꺼져"라는 욕으로 사용됨.)로 부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손님은 요리를 푸는국자나 주걱등읠 뒤로 젖혀 놓지 않는데, 이는 재복(財福)이 밖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주인은 손님보다 먼저 일어나지 않으며 빈접시를 치우거나 행주질을 하지 않는다. 달걀은 두 개만을 내지 않는데, 이는 이단(二蛋, 달걀두개)이란 말은 '바보'라는 욕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후식의 경우는 차의 경우 차호의 주둥이가 손님에게 향하지 않고 손잡이가 향하게하는데, 이는 주둥이가 향한 사람이 구설수에 오른다는 속설 때문이다. 또 과일을 낼때에는 배의 경우 , 두사람이 하나의 배를 나누어 먹도록 하지않는데 , 이는 배(梨, 중국어로 Li)를 나눈다(分, Fen)는 어휘가 분리(分離, 중국어로 FenLi)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中國文化의 理解" (이수웅, 김경일 저 1995, 대한교과서) page 223~236

"中國社會의 持續과 變化" (로이드 E. 이스트만 저 1999, 돌베게) page 69 ~ 95


Comment '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2 병기기타 곤(棍) 무협소설흡수 02.11.16 2,284
91 병기기타 검(劍) 무협소설흡수 02.11.16 2,959
90 병기기타 도(刀) 무협소설흡수 02.11.16 3,045
89 병기기타 [병기] 금과은부金瓜銀斧 Lv.82 냉면철담 02.11.15 2,392
88 기타상식 [정보] 용사팔황(龍蛇八荒) 정리 +1 Lv.82 냉면철담 02.11.15 2,318
87 기타상식 [정보] 掩心(엄심) Lv.82 냉면철담 02.11.15 1,433
86 병기기타 무협지에 등장하는 다양한 무기들 +8 김현성 02.11.13 6,648
85 무공일반 화공대법/흡성대법/벽사검법 +3 김현성 02.11.13 4,484
84 무공일반 암연소혼장/북명신공 +5 김현성 02.11.13 4,803
83 무공일반 독고구검에 대해서 김현성 02.11.13 3,392
82 중국문화 문파 내에서의 호칭에 대해서 김현성 02.11.13 3,893
81 무공일반 사혈에 대해서 김현성 02.11.13 2,767
80 무공일반 독과 경공에 대한 자료 김현성 02.11.13 4,186
79 기타상식 무공이름 +5 슈엔 02.11.12 8,274
78 기타상식 무협사전 슈엔 02.11.12 3,795
77 중국문화 중국 신화 슈엔 02.11.12 2,968
76 중국문화 중국 음식 +3 슈엔 02.11.12 3,274
75 무공일반 쌍검술 슈엔 02.11.12 2,992
74 무공일반 단검술 +1 슈엔 02.11.12 3,909
73 기타상식 음...무협의 필수라고 할수있을라나여??^^;;암튼..... +5 신성신황 02.11.10 4,387
72 중국문화 중국의 어른과 아이 진소백 02.11.08 2,717
71 중국문화 중국 요리의 역사와 특징 진소백 02.11.08 4,463
70 중국문화 중국의 전통민가 진소백 02.11.08 2,717
69 중국문화 중국의 차 진소백 02.11.08 2,582
» 중국문화 중국의 금기 +1 진소백 02.11.08 3,430
67 중국문화 당삼채 +2 진소백 02.11.08 2,760
66 중국지리 개략적인 중국의 지명 +1 Personacon 검우(劒友) 02.11.06 4,322
65 기타상식 중국 고대 고사성어 Personacon 검우(劒友) 02.11.06 3,485
64 기타상식 잡학상식 賊, 賊, 賊... +1 Personacon 검우(劒友) 02.11.06 3,395
63 기타상식 잡학상식 下, 下, 下... +1 Personacon 검우(劒友) 02.11.06 3,09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