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창작관련

창작에 관련된 자료를 올리는 곳



묘사의 대중성..

작성자
Lv.1 최윤호
작성
03.01.07 10:52
조회
3,674

1. 전문(專門, Particular object of study or pursuit)과 대중(大衆)

제가 유전공학을 공부하는 과학도라는 사실은 모두 잘 아실겁니다.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라는 학문은 아마도 일반인에게 알려진 과학 중에서는 가장 신비롭고 어려운 학문으로 되어 있는데…… 어쨌든 저는 유전공학에 대해서 잘 압니다. 박사 수준은 안되지만 준 석사 수준은 될거에요. 실험실에도 출입하고 있고...또한 곧 석사를 따기위해 시험도 봐야 하니까요. DNA 조작도 가능한 정도니까…… 마음만 먹는다면 팔뚝만한 미꾸라지나 머리 둘 달린 뱀 정도는 그리 어렵지 않게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갑자기 나쁜 과학자가 생각나네요. 우겔겔겔....)

그런데 여러분……혹시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제가 어째서 SF를 쓰지 않을까요? 그것도 유전공학을 모토로 하는. 아주 잘 아니까 멋들어지게 쓸수 있지 않는가 하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아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몇 년전에 유전자 조작을 아이디어로 SF를 쓴 적이 있었습니다. 결과는? 아, 물론 참패였었죠. (으윽...) 저는 그때 어떤 사실에 대해 아주 잘 안다……라는 사실은 결국 창작에는 해가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 예를 들어 '검법'에 대한 설명을 해 보죠.

검도나 펜싱을 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우리가 흔히 하는 "검을 들어 내리치다."라는 문장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가를 아실겁니다. 제 친구 녀석 중에 검도 공인 3단 짜리 괴물이 있습니다. 이 친구는 운동이란 운동은 못하는 것이 없는데…… 그 친구가 어느날 제가 쓰던 글을 읽어보고는 피식 웃더군요. 그리고 하는 말이…… 정말 쇼킹했습니다.

"검은 절대 [들수]가 없어. 검은 [쥐는] 것이지 [드는] 것이 아니야. 더군다나 [내리친다]라니…… 검은 [치는] 것이 아니라 [가속]하는 거야. 손목의 스냅을 잘 살려서 끊어내듯 [가속]해야 한다구."

이 친구도 물론 글을 쓰기에……저는 한번 그에게 검도에 관한 글을 써보라고 시켰습니다. 대학에서 어느정도 글솜씨를 인정받은 친구였는데……나중에 가져온 소설은 결국 소설이 아니라 "검술 지침서"가 되고 말았습니다. 저는 지금도 그 "검술 지침서"를 자료로서 잘 활용하고 있어요. (^^;;)

전문이란 어떠한 사실에 대해 일반적 수준을 넘어가는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일반인이 생각하기에 무쇠토막으로 된 검만 하더라도, 세세히 들어가자면 한도끝도 없습니다. 단순한 검술이란 면에서 볼때, 검도와 펜싱…… 그리고 중국 검술과 수박술에서 활용하는 '검'이란 것을 분류하자면 그 미세한 차이는 극심하게 드러나니까요. 하지만 이런 것을 쓰면 결국 '지침서'가 되고 맙니다.

따라서 뭐랄까…… 대중의 수준에 맞춰 글의 묘사도를 떨어트린다고 할까요? 저는 일단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대중이 이해할 수 있을만큼에서 조금 더 묘사를 하는 것으로 타인에게 '이해 가능한 수준 있는 글'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물론 그 '정도'를 잡는 것이 글쟁이의 기술이겠죠?

  

2. 문학상 수상집은 절대 안팔린다.

이번에 일본에서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작품 아실겁니다. '아쿠가타와 문학상'을 탄 글인데요…… 여러분도 신문에서 몇번 읽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여러분 중에서 혹시 그 작품 읽어보신 분 계세요? 저는 한번 읽어보았는데…… 더럽게 재미 없더군요.

같은 아쿠가타와 문학상을 받은 '가족 시네마'도 그렇고 노벨 문학상을 받은 '설국'이란 작품(작가가 가와바타 야스나리 였던가?)역시 열받게도 재미 없습니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역시 다수의 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며, 어쨌든 상받은 작품치고 재미있는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문학상을 받으면 출판사 관계자들이 이렇게 말한다고 합니다.

"어이, 장사 다 했군. 그만 찍고 재고정리 하지."

이것은 단순한 루머가 아닙니다. 김지룡 씨의 [나는 일본문화가 재미있다]에 나오는 실화이니까 한번 읽어보세요. 문학상 = 따분, 지루, 재미없음의 공식은 일본에서는 상례화 되어있으며 이 법칙은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우리나라에서도 거의 비슷합니다만…… 이상문학상 수상작은 베스트에 들었다고 하니 철칙은 아닌듯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어째서 문학상을 받은 것은 잘 안팔릴까요? 그 이유는 [대중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대중성이란 말 그대로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과 묘사를 내린 것입니다. 수준을 내린 것이 높은 수준의 전문화가 될 리 없겠죠. 상을 받기 위해서는 '작품성' 면에서 전문화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작품성이란 것이 따분 지루의 첩경과도 같으므로…… 문학상 수상작은 대중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죠. 그래서 안팔리는 것입니다.

  

3. 전문과 대중……그 미묘한 함수관계

요즘 판타지가 점차 무협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른바 무협 판타지의 도래인데요……. 드래곤 라자의 영도님의 경우, 이것은 예전에도 밝혔지만 순수 서구형 판타지라고 보기에는 힘듭니다. 작품성이 극대화 된 서구형 판타지의 수준을 대중 수준으로 끌어내려 재미있게 만든 일본형 판타지인 셈이죠.

그런 일본형 판타지는 기본 모티브를 서구 판타지로 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작품성을 유지하면서 대중의 가슴 속으로 파고들려 노력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본형 판타지를 선진 문물로 받아들였습니다. 보통 복제본이 원본을 능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초기의 판타지는 일본형 판타지에도 미치지 못하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에는 거의 비등비등 할 정도로 올라가긴 했지만…… 심리묘사나 플롯의 설정은 여전히 뒤떨어지는 면모가 많아요.

전쟁의 묘사나 전투의 삽입…… 그리고 강대한 마법에 대한 직접묘사등이 그 차이점인데…… 일본과 한국의 극단적인 차이점은 아마도 한국의 판타지는 무협적인 성향을 많이 띄고 있다는 겁니다. 이미 보편성을 확보한 무협과 판타지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면서 새로운 한국형 '무협 판타지'의 등장을 가져온 것이죠. 대중성을 극대화 시킨 일명 아류 판타지입니다.

초기 오컬트 붐을 타고 일어난 '퇴마록'은 엄밀히 말해서 판타지가 아니라 오컬트입니다. 아마도 정규 판타지는 '드래곤 라자'가 처음이 아닐까 싶습니다만……아뭏든 작품성과 대중성의 사이에서 고민하던 영도님께서 대중성으로 발길을 돌리신 이후 '드래곤 라자'는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뒀습니다. 영도님이 얼마나 고민하셨는지는 이번의 연재작, '퓨처워커'에서 드러나 있습니다. '드래곤 라자'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의 철학적 전개……그리고 설명과 묘사에 있어서의 컬트성이 드러나 있습니다. 초기에 비해 조회수가 많이 하락한 것도 아마 전문적으로 파고들어가는 작품성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중은 편식을 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뭐어…… 영양성을 고려하지 않고 맛있는 것만 찾는다고 할까요? 그래서 보통 식자(識者)라 불리는 사람들은 이를 통탄스러워 합니다. 흔히 오타쿠(Otaku)라든가 매니아(Mania)라는 사람들은 대중에서 벗어나 전문성을 띄는 사람들을 의미하구요……이들의 등장은 아마도 대중과 전문가의 중간형태에 대한 갈망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에반게리온을 아실 겁니다. 에반게리온의 구성은 거의 천재적입니다. 초기에는 그저 그런 로봇 전투물인 것 같았다가…… 점차 진행되면서 주인공 신지의 고민속에 시청자들을 완전히 빨아들이고 아픈 괴로움을 공유하게 합니다. 그리고 20화를 넘어가면 완전히 사이킥 컬트로 변해버리게 되죠.

하지만 그래도 사람들은 에반게리온을 봅니다. 어쩌면 에반게리온은 20화를 기점으로 대중을 전문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결국 전문과 대중 사이의 극명한 차이를 조금은 좁혀보려던 훌륭한 시도가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에반게리온의 시도는 우리에게 많은 사실을 알려줍니다. 대중 수준을 넘어가는 작품도 흥행이 될 수 있다는 사실과…… 그 한도는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을. 에바의 흥행은 20만을 기점으로 더이상 확산되지 않았으니까요.

결국 대중과 전문화는 양립하기 힘드며……양립한다 하더라도 한 쪽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나 다를바 없습니다. 그러니 어려분도 전문적으로 파고 들 것이 아니라 보다 더 대중적인 묘사가 필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 천리안 다크스폰님의 글입니다. [불멸의 기사] 집필자.


Comment ' 4

  • 작성자
    Lv.8 이정수A
    작성일
    03.01.07 16:57
    No. 1

    글쎄요.

    첫번째 부분인 전문적인 묘사에 대해서는 약간 이견이 생깁니다.
    뭐, 작가님과 그 친구분께서 썼다는 글이 망했다는 결론 하에
    쓴 견해긴 하지만, 결국 작가 수준의 차이가 아닐까요?

    대중적인 묘사라 하지만 그것은 무엇을 어디까지 묘사하느냐에
    달려있지 전문적이라 해서 대중적이 아니다라는 말은
    좀 말이 안 되는 듯 싶습니다.

    의학 소설계의 거장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로빈 쿡도
    현직 의사니까요.

    베스트 법정 소설을 쓴 누구누구도 법학을 전문 공부한 이고.

    다른 작가들도 다른 분야의 글을 쓰기 위해서는
    그 분야를 공부한답니다. 어떨 때는 대중을 넘어
    전문적인 수준까지 공부하기도 하지요.

    결국 많은 것을 알려주고 싶다는 작가 개인의 욕망을
    다스려야 한다는 얘기겠지요.

    묘사를 하려면 적어도 전문에 가깝게 알아야 한다.
    이게 제 상식입니다.

    문학상 수상집이 안 팔린다.
    어느 정도 공감이 가는 얘기기는 합니다.
    <칼의 노래>는 판매부수가 얼마나 되는지..

    뒤의 에반겔리온 이야기와 전문과 대중을 연결짓는 것은
    무리한 얘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논리적 추론은 없이 그저 감이니까, 반박 당해도 좋습니다.

    좋은 글 올려주신 최윤호님께 감사드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나현
    작성일
    03.04.24 22:19
    No. 2

    그냥 적당히 적당히, 이해하기 쉬운정도로만.
    글을 쓸때 이 점을 잊으면 안되겠죠?
    실은 저는 예전에 검술은 아니지만, 색깔의
    의미를 가지고 연작 단편을 써보려고 했었
    습니다. 결과는?

    .......참패 였습니다. 그거 지우지는 않았지만
    그냥 지우고 싶습니다. 시작도 못했으니까요.
    색깔의 의미를 가지고 나름대로 어떤 무언가
    를 써보려고 한것 자체가 문제였는지...자꾸
    논문 비스무리하게 흘러가고 무슨 논문 비스
    무리한걸 소설로 각색했는데, 그 소설에서 무
    얼 말하고 싶었는지 알 수 없었다...로 귀결되
    고 말았지요.

    전문성이란 그래서 힘든 겁니다. 지겹고 따분
    한 글은(저만의 경우일수 있지만) 쓰는 사람
    부터가 읽기 힘들고, 쓰는건 그것의 100배는
    힘든 겁니다.

    그래서 전문성에 한계가 생기는 거고요.
    뭐...저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거니 그냥
    역시나 이런 얘기도 있구나로만 받아주십시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7 금의행
    작성일
    06.02.25 16:50
    No. 3

    위에 내용에 공감하는 부분도 많이 있네요.
    제가 아는 형은 전쟁이랑 정치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한달에 몇만원 심지어는 십만원이 넘게 쏘다붇는데요. 누구누구의 전쟁론 이런 들어보지도 못했던 책을...
    하지만 그 형이 쓴 소설을 보다 보면 정치나 전쟁 이야기만 나오면
    너무 난해해서 읽기가 힘들었던 기억이 나요.
    캐릭터나 분위기는 좋았는데 본격적으로 들어가면서...

    하지만 저 같은 경우에 뭘 쓰고 싶어도 나가다 보면 그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제 부터라도 본격적으로 공부해볼려고 하지만 역시 전문성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작가가 너무 전문성이 뛰어나서 글이 난해하다면 그 만큼 독자의 시선에 마추어 독작가 이해하기 편하게 풀어설명하는것이 제가 이상하는 작가상입니다.

    뭐 아직 제가 쓰는건 없지만 그런 작가가 되고 싶은 마음에 이런 글을 올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8.07.01 09:28
    No. 4

    에반게리온의 시작은 오타쿠갱생프로잭트였던걸로...쿨럭^^;;엿먹어봐라 식으로 만든건데 대박난 작품으로 알고있습니다. 최초목적 자체가 뭐랄까.. 오타쿠들에게 현실에 대한 눈을 떠라!! 라는... ...^^;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창작관련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 일반 소설 작법 +16 Lv.1 onestar 07.07.01 7,195
67 일반 베스트 샐러 소설 쓰는 법 +11 Lv.1 onestar 07.06.29 5,844
66 일반 (펌글:플롯점검)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 +8 Lv.3 문이만 07.03.25 11,147
65 일반 나이에 관한 호칭 +5 류재한 07.02.12 3,885
64 일반 요괴 올립니다. +24 Lv.96 고렘팩토리 07.01.16 5,620
63 출판관련 신판형 조판양식 +11 Lv.1 방정식 06.06.11 9,959
62 일반 판타지 소설 제목 짓는 법 +18 휘냥-♡ 06.04.09 11,456
61 일반 [어법] 자주 틀리는 어법을 정리해 올립니다. +22 Lv.19 요신 06.01.23 5,019
60 일반 소설에서 스토리의 구성에 대해 +15 Lv.11 가야(성수) 05.12.03 5,834
59 일반 ‘……물’이라고 하는 것들에 대해.... +30 Lv.22 강무(姜武) 05.10.15 4,045
58 출판관련 무협소설용 한자자전 한글2002/2005/2007용 (2006.... +13 Personacon 금강 05.09.12 7,185
57 출판관련 무협소설용 한자자전 한글97용(2005.09.12) +1 Personacon 금강 05.09.12 3,075
56 일반 열심히 쓰신 소설이 날아갔을 때를 대비하여 한번... +4 Lv.1 BlueWind.. 05.09.03 6,067
55 일반 [펌글]비평 +1 onestar 05.08.10 2,418
54 출판관련 아래 조판양식 양면보기... +2 Personacon 금강 05.07.29 5,038
53 일반 한국사 관련 역사자료 찾기. +4 Lv.99 온달곰 05.04.14 2,673
52 질문 저기...한글 원디안(?) +1 Lv.1 진.고.영 05.01.28 1,632
51 출판관련 한글 97용 조판양식 파일 다시 올립니다. ^^; +2 Lv.1 검영[劍永] 04.12.21 4,754
50 출판관련 초간편 조판양식 설정. +1 Lv.10 송현우 04.12.17 6,593
49 출판관련 한글 2004용 조판양식 파일 +4 Lv.8 이정수A 04.12.17 5,558
48 출판관련 2005용 한글 조판양식 파일입니다. +8 Personacon 금강 04.12.17 7,374
47 출판관련 한글 2005용 조판양식(2005.1.24수정) +10 Personacon 금강 04.12.17 5,695
46 일반 한글2002용 조판양식 빈파일입니다. +12 Lv.19 초[류희윤] 04.10.15 4,790
45 일반 소설 작법 +7 Lv.1 철동 04.10.12 5,447
44 출판관련 한글 97 조판양식에 맞춰서 저장을 해 놓은것입니... +1 Lv.1 검영[劍永] 04.10.10 2,646
43 일반 아래한글이 안되는 곳에서의 조판양식 설정 Personacon 연담지기 04.10.08 2,006
42 일반 제 7 회 동서커피문학상 공모개요 +3 Lv.1 동서커피 04.07.21 2,286
41 일반 자신의 작품에 대한 흥미 되찾는 법 +10 Lv.1 녹색악마 04.06.13 4,115
40 일반 소설 쓰는 방법. +36 Lv.1 붉은달늑대 04.03.26 20,744
39 일반 소설쓰시기 전에 유의할 점. +12 권오재 04.03.22 6,01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