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질문답변

궁금함을 질문하고 답변하는 곳입니다.



Comment ' 4

  • 작성자
    둔저
    작성일
    04.02.11 02:42
    No. 1

    작가가 마음대로 지어내는 것 아니었나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제왕도
    작성일
    04.02.11 07:45
    No. 2

    실제 태극혜검이라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태극권파에서 수련하는 태극검법이 있는데요. 거기에 나오는 초식들만 간단히 들어 보겠습니다.(마침 제가 정리해 놓은게 있군요.)

    태극기본십삼검보(太極基本十三劍譜)
    1. 상산학건(上山學劍) 9. 우순세검(右順洗劍) 17. 상수제검(上手提劍)
    2. 예비기세(豫備起勢) 10. 좌고추검(左顧抽劍) 18. 반좌절검(盤坐截劍)
    3. 검결지남(劍訣指南) 11. 우반대검(右盼帶劍) 19. 첩수압검(貼隨壓劍)
    4. 투환포검(套環抱劍) 12. 토신격검(吐信擊劍) 20. 당두벽검(當頭劈劍)
    5. 쌍봉자검(雙捧刺劍) 13. 순진교검(順進攪劍) 21. 반료세검(反 洗劍)
    6. 호완각검(護腕格劍) 14. 역퇴교검(逆退攪劍) 22. 쌍봉자검(雙捧刺劍)
    7. 난절세검( 截洗劍) 15. 독립점검(獨立點劍) 23. 환아원본(還我原本)
    8. 좌반세검(左反洗劍) 16. 침좌붕검(沈挫崩劍) 24. 배검하산(背劍下山)

    태극검보(太極劍譜)
    1. 기세(起勢) : 동작하기 시작함
    2. 상보합검식(上步合劍式) : 앞으로 걸음을 옮겨 검을 덮음
    3. 선인지로(仙人指路) : 신선이 길을 가리킴
    4. 삼환투월(三環套月) : 세겹으로 된 달무리
    5. 대괴성(大魁星) : 북두칠성의 네모 형태를 이룬 네 별
    6. 연자초수(燕子抄水) : 제비가 물을 챔
    7. 좌우란소(左右 掃) : 좌우로 막고 쓸음
    8. 소괴성(小魁星) : 북두칠성의 네모 형태를 이룬 네 별
    9. 황봉입동(黃蜂入洞) : 나나니벌이 굴로 들어감
    10. 영묘포서(靈 捕鼠) : 사향고양이가 쥐를 잡음
    11. 청정점수(  點水) : 잠자리가 물을 참
    12. 연자입소(燕子入巢) : 제비가 둥지로 들어감
    13. 봉황쌍전시(鳳凰雙展翅) : 봉황이 양 날개를 펼침
    14. 우선풍(右旋風) : 오른쪽으로 바람이 돔
    15. 소괴성(小魁星)
    16. 좌선풍(左旋風) : 왼쪽으로 바람이 돔
    17. 등어식(等魚式) : 물고기를 기다림
    18. 발초심사(撥草尋蛇) : 풀을 헤쳐 뱀을 찾음
    19. 회중포월(懷中抱月) : 가슴속에 달을 품음
    20. 송조상림(送鳥上林) : 숲으로 새를 날려 보냄
    21. 오룡파미(烏龍擺尾) : 흑룡이 꼬리를 흔듬
    22. 풍권하엽(風捲荷葉) : 바람이 연잎을 휘말음
    23. 사자요두(獅子搖頭) : 사자가 머리를 흔듬
    24. 호포두(虎抱頭) : 호랑이가 머리를 감싸 안음
    25. 야마도간(野馬跳澗) : 야생마가 계곡을 건너 뜀
    26. 번신늑마(飜身勒馬) 몸을 돌려 말고삐를 조임
    27. 지남침(指南針) : 나침반의 침이 남쪽을 가르킴
    28. 영풍탄진(迎風 塵) : 바람을 맞이해 먼지를 텀
    29. 순수추주(順水推舟) : 흐름을 따라 배를 밈
    30. 유성간월(流星 月) : 유성이 달을 뒤쫓음
    31. 천조비폭(天鳥飛瀑) : 종달새가 폭포를 날음
    32. 도렴식(挑簾式) : 발을 걷어 올림
    33. 좌우차륜검(左右車侖劍) : 좌우 수레바퀴 검
    34. 연자함니(燕子啣泥) : 제비가 진흙을 묾
    35. 대붕전시(大鵬展翅) : 큰 붕새가 날개를 폄
    36. 해저로월(海底撈月) : 바다 밑의 달을 채취함
    37. 회중포월(懷中抱月) : 가슴속에 달을 품음
    38. 야차탐해(夜叉探海) : 두억시니가 바다 속을 염탐함
    39. 서우망월(犀牛望月) : 코뿔소가 달을 바라봄
    40. 사안식(射雁式) : 기러기를 쏨
    41. 청룡탐조(靑龍探爪) : 청룡이 발톱으로 더듬음
    42. 봉황쌍전시(鳳凰雙展翅) : 봉황이 양 날개를 펼침
    43. 좌우고란(左右跨 ) : 좌우로 걸터앉듯 막음
    44. 사안식(射雁式)
    45. 백원헌과(白猿獻果) : 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침
    46. 낙화식(落花式) : 떨어지는 꽃잎 같은 초식
    47. 옥녀천사(玉女穿梭) : 미녀가 배틀북이 드나들 듯 빈번하게 오고감
    48. 백호교미(白虎攪尾) : 백호가 꼬리를 휘저음
    49. 어도룡문(魚跳龍門) : 물고기가 관문을 돌파함
    50. 오룡교주(烏龍絞柱) : 흑룡이 기둥을 휘감음
    51. 선인지로(仙人指路)
    52. 풍소매화(風掃梅花) : 바람이 매화꽃을 쓸음
    53 수봉아홀(手捧牙笏) : 손으로 상아홀을 받듬
    54. 포검귀원(抱劍歸原) : 검을 안고 제자리도 돌아옴

    오행상극검보(五行相剋劍譜)
    배검예비(背劍豫備) 퇴보접검(退步接劍)
    1. 근수자검( 隨刺劍) 2. 란소괘검( 掃掛劍)
    3. 인진각검(引進格劍) 4. 세료포검(洗 抱劍)
    5. 주화제검(走化提劍) 수검회원(收劍回原)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9 남양군
    작성일
    04.02.11 18:16
    No. 3

    과연 제왕도님!!!
    그저 감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북천권사
    작성일
    04.02.11 21:44
    No. 4

    이런 알찬(?) 자료를 어디서 얻으셨을까나???^^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