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질문답변

궁금함을 질문하고 답변하는 곳입니다.



작성자
Lv.29 남채화
작성
02.12.31 23:54
조회
2,093

예전 친구와 무협닭살편지 쓸때 사용하려다가

자료부족으로 포기했는데..

뜻과 기원도 적어주심 좋구요..

왜 설부화용이라던지 단순호치 같은것들도요..


Comment ' 4

  • 작성자
    血劍
    작성일
    03.01.01 00:15
    No. 1

    미사여구 라고 하는데여... 그리고 주순호치 아닌 가요? (내가 잘 못 안건가??)

    이 내용은 타지 판타지에서 퍼온 것입니다.
    중국미녀의 조건.


    ■ 오발선빈(烏髮蟬 )

    오발이란 까마귀처럼 검음 머리를 말하며 선빈은 매미 날개 같이 옅은 귀밑 머리를 말한다.

    이러니 지금의 서양 여자들처럼 흰머리나 갈색 머리를 했다가는 추녀가 되기 십상이다.

    그런데 검은 머리라고 해서 무조건 미인은 아니다. 그래서 또 따졌다.

    즉 숱이 구름처럼 많아야 할 뿐만 아니라 발 끝에 닿을 정도로 길어야하며 그것도 윤기가 흐르고 향이 은은하게 풍겨야 했다.

    이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해도 문제는 남아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머리칼이 희어지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염색약도 없었다.

    그래서 아무리 미녀여도 나이가 들면 허사다.

    중국 사람들이 오발선빈을 중시하는 데는 유래가 있다.

    오발에 관해서는 <좌전>에 나와 있다.

    그 기록에 보면 옛날 은(殷)나라에 유잉씨(有仍氏)라는 제후가 있었는데 그에게는 아리따운 아내가 있었다.

    그런데 그녀의 머리카락이 바로 까마귀같이 검은 데다 윤기마저 흘렀던 것이다.

    선빈은 위나라 문제(文帝. 曺操의 아들 曺丕 말함)의 후궁 막경수(莫瓊樹)라는 여인이 그러했다 하여 삽시간에 유행되었다고 한다.


    ■ 운계무환(雲 霧 )

    계나 환은 모두 머리에 꽃는 장식으로 일종의 비녀라고 보면 된다.

    이것을 머리를 틀어 얹되 구름처럼 높이는 것을 말한다.

    후한 문제(文帝)의 황후는 매일 아침 머리를 감은 뒤 빗었다.

    하루는 푸른 뱀이 나타나 바로 알에서 또아리를 트는 것이 아닌가.

    여기에서 영감을 얻어 머리 스타일을 바꾸어보니 보기가 좋았다.

    이때부터 유행되기 시작하였다.


    ■ 아미청대(蛾眉靑黛)

    아(蛾)는 누에이고 미(眉)는 눈섭이다.

    그래서 아미는 누에같은 눈썹을 말하는데 다름아닌 누에의 나방에 붙어 있는 가늘고 긴 두 개의 촉각에서 따온 말이다.

    그래서 초승달을 아미월(蛾眉月)이라고도 하는데 아미란 바로 초승달 같은 눈썹인 셈이다.

    아미는 중국에서 아름다운 눈썹의 대명사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래서 <시경(詩經)>과 같은 옛 문학작품을 보면 자주 등장한다.

    아미가 눈썹의 모양을 말한다면 청대는 눈썹의 색깔이다.

    청(靑)은 푸르다는 뜻이고 대(黛)는 눈썹에 바르는 물감을 말한다.

    즉 짙고 푸른 눈썹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 쉬운가?

    그래서 요즘도 여인들 중에는 눈썹을 일부러 밀어내고 칠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중국에는 지금부터 3천 년 전인 주(周)나라 때부터 성행하였다.


    ■ 명모유반(明眸流盼)

    모(眸)는 눈동자로서 명모란 요새 말로 하면 해맑은 눈동자가 되겠다.

    그러므로 서양 사람들이 좋아하는 갈색 눈동자는 중국사람들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유반은 눈을 흘겨보는 것이다.

    그러니 초롱초롱한 눈을 가진 사시(斜視)라면 일단은 미녀의 축에 낄 수 있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여 맑은 눈을 중시한다.

    중국 사람들도 그랬다. 미목전신(眉目傳神)이란 말이 있다.

    \'눈섭과 눈은 곧 그 사람이 마음\'이라는 뜻이다.

    미인을 미목(眉目)이라고도 한다.


    ■ 주순호치(朱脣皓齒)

    주순이란 붉은 입술을 말하며 호치는 흰 이를 말한다.

    흰 이는 지금도 미인의 필수조건이다.

    연지가 붉은 까닭은 입술이 붉어야 했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입술이 붉기만 하면 되는가?

    그렇지 않았다. 붉되 모양도 있어야 한다.

    바로 앵도 같은 입술이 그것이다.

    앵두는 선홍색에다 작다. 그래서 자고로 미녀는 입이 크면 안된다.

    앵두같은 입술에 비치는 하얀 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 옥지소완(玉指素腕)

    옥지는 옥처럼 아름다운 손가락을 말하고 소완은 흰 피부의 팔을 말한다.

    옥같이 아름다운 손가락은 또 가늘어야 한다.

    그래서 섬섬옥수(纖纖玉手)라는 말이 나왔다.

    섬(纖)은 가늘다의 뜻이다.

    즉 곱고 가는 여인의 손을 말한다.

    이처럼 중국 사람들은 옛날부터 옥지소환을 매우 중시했다.

    그러다보니 관상에도 손을 중시했다.

    수상(手相)이 그것이다.

    중국 사람들의 속담에 \'열손가락에 일생의 길흉이 있고 백년의 영화가 달려있다.

    (十指爲一生巧拙之所關 百歲榮枯之所繫)\'라는 말이 있다.

    대체로 손가락이 부드러운 사람은 총기아 있으며 뾰족하고 긴 사람은 지혜가 있다고 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가장 이상적인 손가락은 뾰족하고(尖) 가늘고(細) 길며(長) 부드러워야(軟)한다.

    지금도 중국 사람들은 즐겨 손톱을 기른다.

    길고 뾰족하게 가는데 다 이런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 세요설부(細腰雪膚)

    세요는 가는 허리이며 설부는 눈처럼 흰 피부를 말한다.

    예나 지금이나 미인은 허리가 가늘어야 했던 모양이다.

    이 점은 동 서양이 같다. 가는 허리를 봉요(蜂腰) 또는 유요(柳腰)라고도 한다.

    벌처럼 잘록하고 마치 버드나무처럼 하늘거리는 허리를 말함이다.

    자고로 중국에서 미인은 두가지 타입이 있었다.

    하나는 당나라의 양귀비(楊貴妃) 스타일이고 또 하나는 후한(後漢) 성제(成帝)의 후궁이었던 조비연(趙飛燕) 스타일이 그것이다.

    중국 사람들은 각기 그 특징을 말하는데 양귀비는 부귀모란(富貴牡丹)형이며 조비연은 임풍양류(臨風楊柳)형이다.

    다시 말하면 양귀비는 마치 모란꽃 처럼 풍만하고 요염한 스타일이며 조비연은 바람에 휘날리는 버드나무가지처럼 날씬한 스타일이다.

    그러자면 허리가 가늘어야 한다.

    조비연은 춤을 잘 추었는데 몸이 가볍기가 마치 제비 같다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그러나 중국 사람들이 더 중시했던 것은 조비연 같은 스타일이었다.

    이 점은 중국의 문학작품에도 많이 등장한다.

    옛날 춘추시대 초나라의 靈王은 허리가 가는 여자를 좋아했다.

    그러자 굶어 죽은 궁녀가 줄을 이었다고 한다.

    이 밖에 <紅樓夢>에 나오는 林黛玉도 조비연의 스타일의 미녀였던 셈이다.



    그럼 자료 잘 활용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둔저
    작성일
    03.01.01 00:20
    No. 2

    중국 고대 소설 중에 자주 「침어낙안(浸魚落雁)의 용모, 폐월수화(閉月羞花)의 아름다움」이라는 말로 여인의 아름다움을 형용한다.

    원래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는 고대의 사대미인 즉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 양귀비(楊貴妃)를 가리키는 말이다.

    각각의 칭호에는 재미있는 고사가 있다.


    당대(唐代)의 미녀 양옥환(楊玉環)은 당명황(唐明皇)에게 간택되어져 입궁한 후로 하루 종일 우울했다.

    어느 날 그녀가 화원에 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는데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다.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그녀의 \'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에 찬탄하고는 그녀를 \'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했다.

    초선은 한(漢) 헌제(獻帝)때의 대신 왕윤(王允)의 기녀이다.(왕윤은 그녀를 딸과 같이 대했다고 함.)

    그녀는 용모가 명월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어느 날 저녁에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왕윤이 말하기를 : \"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 고 하
    였다.

    이 때 부터 초선은 폐월(閉月)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漢) 대의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갖춘 미인이다.

    한 원제는 북쪽의 흉노를 다독거리기 위해 그녀를 선발하여단우씨와 결혼을 하게 하였다.

    집을 떠나가는 도중 그녀는 멀리서 날아가고 있는 기러기를 보았다.

    고향생각이 물밀 듯 밀려와서 금(琴)을 탔다.

    한 무리의 기러기가 금(琴) 소리를 듣고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져 내렸다.

    이에 왕소군은 낙안(落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서시는 춘추말기의 월나라의 여인이다.

    어느 날 그녀는 강변에 있었는데 맑고 투명한 강물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추었다.

    수중의 물고기가 수영하는 것을 잊고 천천히 강바
    닥으로 가라앉았다.

    그래서 서시는 침어(浸魚)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 오발선빈(烏髮蟬 )

    오발이란 까마귀처럼 검음 머리를 말하며 선빈은 매미 날개 같이 옅은 귀밑 머리를 말한다.

    이러니 지금의 서양 여자들처럼 흰머리나 갈색 머리를 했다가는 추녀가 되기 십상이다.

    그런데 검은 머리라고 해서 무조건 미인은 아니다. 그래서 또 따졌다.

    즉 숱이 구름처럼 많아야 할 뿐만 아니라 발 끝에 닿을 정도로 길어야하며 그것도 윤기가 흐르고 향이 은은하게 풍겨야 했다.

    이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해도 문제는 남아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머리칼이 희어지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염색약도 없었다.

    그래서 아무리 미녀여도 나이가 들면 허사다.

    중국 사람들이 오발선빈을 중시하는 데는 유래가 있다.

    오발에 관해서는 <좌전>에 나와 있다.

    그 기록에 보면 옛날 은(殷)나라에 유잉씨(有仍氏)라는 제후가 있었는데 그에게는 아리따운 아내가 있었다.

    그런데 그녀의 머리카락이 바로 까마귀같이 검은 데다 윤기마저 흘렀던 것이다.

    선빈은 위나라 문제(文帝. 曺操의 아들 曺丕 말함)의 후궁 막경수(莫瓊樹)라는 여인이 그러했다 하여 삽시간에 유행되었다고 한다.


    ■ 운계무환(雲 霧 )

    계나 환은 모두 머리에 꽃는 장식으로 일종의 비녀라고 보면 된다.

    이것을 머리를 틀어 얹되 구름처럼 높이는 것을 말한다.

    후한 문제(文帝)의 황후는 매일 아침 머리를 감은 뒤 빗었다.

    하루는 푸른 뱀이 나타나 바로 알에서 또아리를 트는 것이 아닌가.

    여기에서 영감을 얻어 머리 스타일을 바꾸어보니 보기가 좋았다.

    이때부터 유행되기 시작하였다.


    ■ 아미청대(蛾眉靑黛)

    아(蛾)는 누에이고 미(眉)는 눈섭이다.

    그래서 아미는 누에같은 눈썹을 말하는데 다름아닌 누에의 나방에 붙어 있는 가늘고 긴 두 개의 촉각에서 따온 말이다.

    그래서 초승달을 아미월(蛾眉月)이라고도 하는데 아미란 바로 초승달 같은 눈썹인 셈이다.

    아미는 중국에서 아름다운 눈썹의 대명사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래서 <시경(詩經)>과 같은 옛 문학작품을 보면 자주 등장한다.

    아미가 눈썹의 모양을 말한다면 청대는 눈썹의 색깔이다.

    청(靑)은 푸르다는 뜻이고 대(黛)는 눈썹에 바르는 물감을 말한다.

    즉 짙고 푸른 눈썹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 쉬운가?

    그래서 요즘도 여인들 중에는 눈썹을 일부러 밀어내고 칠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중국에는 지금부터 3천 년 전인 주(周)나라 때부터 성행하였다.


    ■ 명모유반(明眸流盼)

    모(眸)는 눈동자로서 명모란 요새 말로 하면 해맑은 눈동자가 되겠다.

    그러므로 서양 사람들이 좋아하는 갈색 눈동자는 중국사람들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유반은 눈을 흘겨보는 것이다.

    그러니 초롱초롱한 눈을 가진 사시(斜視)라면 일단은 미녀의 축에 낄 수 있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여 맑은 눈을 중시한다.

    중국 사람들도 그랬다. 미목전신(眉目傳神)이란 말이 있다.

    \'눈섭과 눈은 곧 그 사람이 마음\'이라는 뜻이다.

    미인을 미목(眉目)이라고도 한다.


    ■ 주순호치(朱脣皓齒)

    주순이란 붉은 입술을 말하며 호치는 흰 이를 말한다.

    흰 이는 지금도 미인의 필수조건이다.

    연지가 붉은 까닭은 입술이 붉어야 했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입술이 붉기만 하면 되는가?

    그렇지 않았다. 붉되 모양도 있어야 한다.

    바로 앵도 같은 입술이 그것이다.

    앵두는 선홍색에다 작다. 그래서 자고로 미녀는 입이 크면 안된다.

    앵두같은 입술에 비치는 하얀 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 옥지소완(玉指素腕)

    옥지는 옥처럼 아름다운 손가락을 말하고 소완은 흰 피부의 팔을 말한다.

    옥같이 아름다운 손가락은 또 가늘어야 한다.

    그래서 섬섬옥수(纖纖玉手)라는 말이 나왔다.

    섬(纖)은 가늘다의 뜻이다.

    즉 곱고 가는 여인의 손을 말한다.

    이처럼 중국 사람들은 옛날부터 옥지소환을 매우 중시했다.

    그러다보니 관상에도 손을 중시했다.

    수상(手相)이 그것이다.

    중국 사람들의 속담에 \'열손가락에 일생의 길흉이 있고 백년의 영화가 달려있다.

    (十指爲一生巧拙之所關 百歲榮枯之所繫)\'라는 말이 있다.

    대체로 손가락이 부드러운 사람은 총기아 있으며 뾰족하고 긴 사람은 지혜가 있다고 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가장 이상적인 손가락은 뾰족하고(尖) 가늘고(細) 길며(長) 부드러워야(軟)한다.

    지금도 중국 사람들은 즐겨 손톱을 기른다.

    길고 뾰족하게 가는데 다 이런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 세요설부(細腰雪膚)

    세요는 가는 허리이며 설부는 눈처럼 흰 피부를 말한다.

    예나 지금이나 미인은 허리가 가늘어야 했던 모양이다.

    이 점은 동 서양이 같다. 가는 허리를 봉요(蜂腰) 또는 유요(柳腰)라고도 한다.

    벌처럼 잘록하고 마치 버드나무처럼 하늘거리는 허리를 말함이다.

    자고로 중국에서 미인은 두가지 타입이 있었다.

    하나는 당나라의 양귀비(楊貴妃) 스타일이고 또 하나는 후한(後漢) 성제(成帝)의 후궁이었던 조비연(趙飛燕) 스타일이 그것이다.

    중국 사람들은 각기 그 특징을 말하는데 양귀비는 부귀모란(富貴牡丹)형이며 조비연은 임풍양류(臨風楊柳)형이다.

    다시 말하면 양귀비는 마치 모란꽃 처럼 풍만하고 요염한 스타일이며 조비연은 바람에 휘날리는 버드나무가지처럼 날씬한 스타일이다.

    그러자면 허리가 가늘어야 한다.

    조비연은 춤을 잘 추었는데 몸이 가볍기가 마치 제비 같다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그러나 중국 사람들이 더 중시했던 것은 조비연 같은 스타일이었다.

    이 점은 중국의 문학작품에도 많이 등장한다.

    옛날 춘추시대 초나라의 靈王은 허리가 가는 여자를 좋아했다.

    그러자 굶어 죽은 궁녀가 줄을 이었다고 한다.

    이 밖에 <紅樓夢>에 나오는 林黛玉도 조비연의 스타일의 미녀였던 셈이다.


    ■ 연보소말(蓮步小襪)

    연보란 전족(纏足)을 한 작은 발을 맗며 소말은 그것을 싸는 일종의 조그마한 양말을 말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 홍장분식(紅粧粉飾)

    화장술인 셈이다.

    지금에야 화장품의 종류가 수를 셀 수 없을 정도롤 많지만 옛날 중국 사람들의 화장에는 홍분(紅粉)과 백분(白粉) 두 가지 뿐이었다.

    중국에서 그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다.

    백분이 더 빠른데 아득히 은나라 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3천 년이 넘는다.

    홍분은 기원전 6세기인 춘추시대 때부터 사용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분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대체로 흰색이다.

    홍분은 주(朱) 또는 연지라고도 하는에 홍람화(紅藍花)라는 꽃에서 추출한 액을 사용하였다.

    원애는 흉노들이 재배하던 것을 전국시대에 연(燕)나라에서 대량 제베하여 보급시켰다고 한다.

    당시 흉노의 황후의 이름이 알씨였는데 그것의 중국 발음이 연지였다.

    연지는 붉은 색이다.


    ■ 기향패훈(肌香佩薰)

    기향이란 피부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말하며 패훈은 향낭(香囊:향기 주머니)을 패용한다는 뜻이다.

    지금의 향수와 같은 이야기다.

    이것은 분에서 나오는 향기와는 전혀 다르다.

    즉 특수한 향료를 사용하여 몸에 착용함으로서 피부에서 은은한 향기가 나도록 되어 있다.

    서시(西施)라면 춘추시대의 미인으로 유명하다.

    당시 오나라와 월나라는 철천지 원수사이였다.

    한번은 월왕 구천(句踐)이 오왕 부차(夫差)에게 포로로 잡혀있게 되었다.

    그러자 그는 미인계를 쓰기로 했는데 이때 바친 미녀가 서시였다.

    그때 구천은 몰래 향낭을 준비하여 서시에게 차고가게 했는데 그만 부차의 마음을 사로잡고 말았다.

    서시가 목욕을 하니 욕탕이 향기로 가득했다.

    그래서 향수천(香水泉)이라고 불렀으며 쓰고 남은 목욕물은 궁녀들이 다투어 퍼갔다고 한다.

    결국 부차는 서시에게 빠져 나라를 잃고 만다.

    이 밖에도 한 나라의 조비연이나 합덕(合德), 당나라의 요영(瑤英), 청나라의 향비(香妃)등도 향낭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
    프로무림이라는 곳에서 불펌했습니다..ㅡㅡ;;;;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둔저
    작성일
    03.01.01 00:21
    No. 3

    어라?
    혈검님이 조금 빠르셨네요.......



    으하하하~하지만, 제쪽이 양이 좀 더 많은 듯~
    으하하하하~

    [탕!!]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9 風雲英雄
    작성일
    03.01.01 01:39
    No. 4

    머 경국지색도 들어가지 않을지~~ 달기와 포사에게 썼던^^

    위에 주순호치보다는 단순호치가 어감이 더 좋군요~~

    예전에는 설부화용을 雪膚花容을 說否花容으로 알았었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질문/답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66 [질문]무협중에 읽을만한 소설들좀... +4 Lv.76 늘처음처럼 03.09.08 576
1365 [질문]몇가지 단어의 뜻을 좀 알고자 합니다. +1 Lv.1 玄劒 03.09.07 472
1364 [참고]아... 무량수불(無量壽佛). +4 Lv.1 [탈퇴계정] 03.09.06 662
1363 쟁선계를 읽다가 생각난 허섭질문 두 가지.. +1 Lv.1 절정폐인 03.09.06 739
1362 [질문]구파일방 +6 Lv.1 아웨 03.09.06 410
1361 [질문]담천님은 도대체 어디로? +2 Lv.1 행운 03.09.06 486
1360 [질문]아수라 출간은 .... 아시는 분 부탁드립니다! Lv.4 완결쟁선계 03.09.06 538
1359 김남영씨의 무적강도5권 아직 안나왔나요? +3 Lv.5 크리스탈 03.09.06 379
1358 한림이란 작가에 대해 아시는분... +2 Lv.1 상린남영 03.09.06 703
1357 [질문] 청룡맹...? +2 Lv.4 나늬1 03.09.05 684
1356 학사검전 출판 됬나요 ?? +2 Lv.19 coffee 03.09.05 430
1355 이 작품들중 볼만한 신무협소설 작품은? +4 Lv.1 뢰신 03.09.05 866
1354 장터란 어디 없나요? Lv.5 만화량 03.09.05 331
1353 [질문]신간란에 신간이 나오면... +4 Lv.1 남궁세가주 03.09.05 394
1352 신고센타에.... +1 ▦둔저 03.09.04 465
1351 복마전의 정확한 뜻을 알고 싶어요.. +5 柳韓 03.09.04 3,743
1350 최복문이라는 작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다시 올립... +2 Lv.12 천상유혼 03.09.04 571
1349 중국작가들 중에도 무림의 절대자를 그리거나 먼치... +7 Lv.18 永世第一尊 03.09.03 914
1348 건필하세요!? +2 Lv.1 have fun 03.09.03 677
1347 구무협은 뭐고 신무협은 무엇이죠? +14 Lv.1 서림 03.09.03 1,445
1346 우리나라 최초무협소설은 무엇인가요? +4 단리후 03.09.03 662
1345 부탁드립니다 +2 Lv.1 포권지례 03.09.02 428
1344 금시조님에 대한 질문 +5 Lv.44 무림천추 03.09.02 708
1343 군협지가 언제쯤나온소설인가요? +2 용마 03.09.02 777
1342 무협소설은 초판에 몇 부나 찍나요? +2 玄修 03.09.02 675
1341 실제하는 무공초식 명칭과 형식을 알고싶어요 +3 Lv.82 테디베어 03.09.02 914
1340 음. 무협중에 주인공이 너무 강하지 않은 무협은 ... +9 Lv.99 금동산 03.09.01 734
1339 궁금한게 있습니다 +3 Lv.5 일수풍운 03.09.01 439
1338 번안 무협소설은 없을까요? Lv.90 한백 03.09.01 544
1337 죽은 제갈량 산 중달 쫓기!?? +5 Lv.1 have fun 03.09.01 76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