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1

  • 작성자
    슬로피
    작성일
    09.08.06 20:55
    No. 1

    옆 프리미엄링크 아래에 고호재가 있습니다.
    한 작가분이 중국에 관한 자료를 모아놓으셨다고 들었습니다.
    한번 가보시길....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PandaRol..
    작성일
    09.08.06 21:02
    No. 2

    없습니다. 없어요 T.T
    저기도 시간나면 따로 질문을 올려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자공
    작성일
    09.08.06 21:03
    No. 3

    이 가문은 관리가문. 저 가문은 무림세가.
    이런 게 딱 정해져있을 리가 없죠.
    대체로 명가라는 게 대대로 관직에 출사하여 명성을 떨치면 자연스레 형성되는 거니까요.
    고려조 우봉가문도 최충헌이 권력을 잡았기에 권력중추가 될 수 있었고, 세도정치시기의 가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컨대, 나라에 종사한 관리가문, 그런 건 따로 없다는 얘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자공
    작성일
    09.08.06 21:07
    No. 4

    무슨 글을 쓰시려는 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사를 대강이나마 훑어보시다가, 눈에 띄는 사람의 가문을 그냥 끌어다 쓰세요.
    가령, 송나라 정치가인 사마광은 물론, 그 아들인 사마강도 관직에 나갔으니, 나라에 종사한 관리가문이라 할 수 있고, 양업 또한 장수로써 이름을 냈으니, 그 가문도 나라에 종사한 가문이라 할 수 있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PandaRol..
    작성일
    09.08.06 21:11
    No. 5

    아... 양업! 잘 생각은 안나는데 '양'가문이 확실히 그런 가문이었군요.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고라니
    작성일
    09.08.06 21:13
    No. 6

    그 전설의 명문 대가가 있습니다. 워낙 유명해서 명문대가가 명사처럼 나오겠습니까.... 대도오에 나오는 조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PandaRol..
    작성일
    09.08.06 21:15
    No. 7

    말투가 이상해서 고칩니다


    그럼 무협에서 나오는 모든 가문들이 관에 종사했었나요?

    제갈세가, 모용세가, 사마(이건 세가인지 모르겠습니다만)는 알겠는데 남궁세가나, 황보세가, 진주언가, 하북팽가 등은 그렇게 들은게 없어서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갸릉
    작성일
    09.08.06 21:21
    No. 8

    팽가라하면 잘은 모르지만 군벌로 무척 유명하지 않나요?\
    지금도 중국 주요 군벌로 존재한다고 들었습니다만,.
    아.. 팽가군이 아니라.. 양가군인가??

    양가인지 팽가인지 갑자기 햇갈리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돌비
    작성일
    09.08.06 21:22
    No. 9

    음 무림세가와 관직의 문제는 모르겠습니다만 한가지 짚을 것은 있군요. 우리가 무림세가니 뭐니 하는 것이 실제 중국사에 근거가 될만한 실체가 있긴 있었습니다. 뭐냐... 지방토호들입니다.

    조선이전 고려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땅덩이가 더큰 중국에선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지방에 제대로 통하지 않았습니다. 통제력이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일상적인 무력행사 치안력이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럼 중국은 무정부 상태였느냐? 그 공백을 메우는 것이 지방토호들입니다.

    지방토호들이 자체적으로 무장을 하는 것이죠. 이런 현상은 중앙정부의 힘이 약해지면 더욱 심해집니다. 무협에 녹림이라 하는 집단의 근거가 될 실체가 되는 마적 비적들이 바글거리게 되는 거죠.

    이런 무장한 토호세력을 무림세가로 윤색한 것이죠. 그럼 질문의 답은 뭐냐?

    무협이 허구인 것이 무림세가가 그 정도 권세를 누릴려면 관직에 끈이 닿아야 합니다. 중앙정부가 핫바지가 아닌 이상 그런 세력을 놔두겠습니까? 원나라는 화약기술이 뛰어났지만 반란이 겁나서 일부러 대포와 같은 화약무기를 수도에만 한정했습니다. 지방에서 민란은 수도 없이 일어나는 일상이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토호정도의 무장세력은 모르지만 성단위를 장악하는 무장집단이라... 그런 집단이 나오려면 중앙정부에 세력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중앙정부에 세력을 가질 즉 관직을 가질 정도의 학식을 쌓으려면... 무공은 언제 연마할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자공
    작성일
    09.08.06 21:24
    No. 10

    그런 개념이 아니라니까요.
    무협과 실상의 개념은 조금 다릅니다.
    글로써 뭐라고 설명해야 할 지 모르겠는데, 무협에 등장하는 무림세가는 사승관계로 형성된 문파에서 벗어나 혈연을 강조하다보니 등장한 무협 속 산물일 뿐이고요.(실제로 모티브가 된 가문이 있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만, 확실하지는 않군요.)
    당연히 각 왕조에는 남궁씨를 지닌 관리나, 황보씨를 지닌 관리, 언씨를 지닌 관리, 그외 기타 성씨를 지닌 관리들이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게 무림세가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죠.
    에....뭔가 정리되지 않은 글이네요. 쩝;;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돌비
    작성일
    09.08.06 21:26
    No. 11

    그리고 한가지 사족 더

    중국역사에서 나라의 예산단위를 뛰어넘는 거부였던 상인들이 꽤 있었습니다. 주원장이 세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10대상인의 한사람이었던 사람이 후원을 했기 때문이엇죠. 그런데 그 사람 어떻게 되었냐고요? 주원장이 싸그리 재산을 뺐어다 나라 세우는데 썼습니다. 중국사에서 부라는 것이 권력이 없으면 덧없게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죠. 지방의 마을 단위의 부도 마찬가지입니다. 건드릴만한 상대다 싶으면 탐관오리에게 뺐기는 건 일도 아니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자공
    작성일
    09.08.06 21:36
    No. 12

    음....다시 말하자면, 관리가문을 따로 집어서 골라내는 행위는 무의미하다. 물론, 유수의 명가가 있긴 하겠지만.
    각설하고, 송나라에서 사마광과 사마강 부자가 출사했으니, 그 가문이 곧 나라에 종사한 가문이다.이게 제 요지입니다.
    좀 더 쉽게 말해서, 조선에 신숙주라는 재상이 있었습니다. 신숙주의 아들, 손자들은 모두 출사하여 관직에 종사했으니, 신숙주의 가문은 관리가문이 되는 겁니다.
    관리가문이란 건 이런 식입니다. 그 가문에서 관리가 나면, 관리가문인 거죠. 대대로 관리를 배출한다면, 명가가 되겠고요.
    덧붙여 무협 속 남궁세가라는 것도 그 세계의 모든 남궁씨들의 총집합인 것은 아닙니다. 그저 많은 남궁씨들 중에서 안휘성 합비(일반적으로)에서 세를 구가한 하나의 가문일 뿐인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PandaRol..
    작성일
    09.08.06 21:57
    No. 13

    으음;;; 많이 헷갈리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이해될떄까지 반복해서 읽어봐야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타닥타닥
    작성일
    09.08.06 22:11
    No. 14

    중국은 잘몰라도 ,,
    고려시대 후기에 왕과 결혼할수있는 성씨들이 있었다고 알고있습니다,
    배운지가 오래되어, 기억이 잘나지 않지만 그씨족들이 곧 권문세가였다고 했던듯합니다,, 기억나는 성이 파평윤씨(윤관?), xx이씨(이자겸?)등등 한 10개정도 됐던듯하구요,
    조선시대 후기 세도정치기에도 3개 성씨가 국정을 좌지우지 했다고 합니다, 풍양조씨등.. 기억이 잘 나진 않네요,,
    어쨌든 이로 미루어 볼때 중국에서도 유력한 가문이 있었지 않나 라고 생각할수 있을거 같네요. 공부해보시면 아마도....있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SAT컨
    작성일
    09.08.06 22:16
    No. 15

    삼국지 11에 나오는 고대무장중 명나라 장수로 나온는 여장부가 하나있는대 진양옥이라고.. 북진때 만리장성을 남편과 함께 자신의 가병을 모아 싸우고 나중앤 정적에 의해 제거됬는지... 아무튼 진씨성이구요.. 남편이 대릴사위로 들어갔으니.. 그지방 토호였던것 같슴니다. 가병을 모아 국경을 지킨거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별이
    작성일
    09.08.06 22:17
    No. 16

    그냥 삼국지에 나오는 가문들 이용하세요.
    삼국지가 정사를 각색했기는 했지만 거의 대부분이 실존했던 가문들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SAT컨
    작성일
    09.08.06 22:17
    No. 17

    아참 특기가 행군거리 증가였쓰니.. 아마 통술쪽인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PandaRol..
    작성일
    09.08.06 22:44
    No. 18

    커헉... 삼국지;; 그걸 기억 못했었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에르반테스
    작성일
    09.08.07 00:52
    No. 19

    쓰촨 탕가 흔히들 사천당가라고 하죠.
    실제로 중국 금의위에서 암살을 담당했던 가문이라고 하더라고요;;
    단순하게 무협지에서 나오는 가문인 줄 알았는데...

    사천에서 유명한 게 사천요리와 함께 독이라는 말이 있으니...
    게다가 아직... 있답니다 ㄷㄷ; 사천당가 사람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SAT컨
    작성일
    09.08.07 00:53
    No. 20

    삼국지 11에 기본 튜토리얼 다하고나면 신무장으로 고대 무장들이 등장함니다 정사도 함께포함되 나오니 내이버나 기타 검색등을 활용하시면댈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별가別歌
    작성일
    09.08.07 12:32
    No. 21

    지방토호 중 유명한 곳이 바로 석가장이죠. 아직도 남아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추가 : 흔히 무협에 등장하는 팽가는 관부와 막강한 연을 맺고 있는데, 팽가에서 배출한 인재들이 군부에 많이 진출해있기 때문이다. 라는 설정 때문입니다. 굳이 직계가 아니더라도, 우리나라 보면 아시겠지만 혈연, 지연 무시할 수 없습니다.
    또 구파일방이라고 불리는 유수의 세력들도 무협에 꼭 등장하는데요, 흔히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을 지니고 있으며 토호로 취급받곤 합니다. 이것 역시 중앙정계에 막강한 세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구파일방이 대게 종교단체이기 때문입니다. 종교가 가진 잠재적인 힘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거라 생각됩니다. 속가제자도 받고 있으니, 그들이 가지고 있을 정치적 파워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겠죠.

    질문자분께서 무엇을 위해 이런 질문을 하셨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사실 무협의 세계는 굉장히 정교하게 잘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판타지처럼 막 엄청난 변형이 잘 안이뤄지는 것이죠. 고로 정말 철저한 역사고증을 거치겠다 하지 않으시는 이상에야 기존의 것들을 이해한 뒤 자신만의 스타일로 재창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드립니다. 식상하다는 소릴 들을망정 이게 무슨 무협이냐는 소린 안들을 테니까요.


    돌비님//가문이라는 것은 한 사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닙니다. 수많은 사람이 있고, 서로 다른 재능을 지니고 있지요. 그러니까 학식 쌓으면서 무공 수련하는 게 가능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하면 되잖아요? 꼭 한 사람이 하란 법은 없다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