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20

  • 작성자
    Lv.73 사무치다
    작성일
    14.06.23 04:16
    No. 1

    무슨 말씀을 하고싶어 하시는지는 알겠는데 제가 난독증인건지 글이 횡설수설인건지 도대체가 문장 이해가 안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정체무실
    작성일
    14.06.23 04:27
    No. 2

    사무치다님의 문제가 아니라, 문장이 좀 그렇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구스타프
    작성일
    14.06.23 04:39
    No. 3

    축구보다가 그냥 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들렸네요.문장이 좀 제가 봐도 좀 많이 그렇긴 합니다.예민한 문제라.... 이런건 아무리 좋게 말해도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니까요.

    그냥 한담란에서 하소연하듯이 끄적인 글입니다.성격이 굉장히 직설적이라 일부러 돌리고 돌려서 적다보니 더 모호하게 들리기도 하는데 그건 그것데로 좋다고 보네요.

    지금 이런 시스템은 아직도 실험적이고 종이책과 연관된것도 없죠.

    저같은 경우 종이책을 사면 좀 많이 보는 편입니다.3번이상 보지 않을 경우 종이책을 사지 않죠. 지금 문피아 결재 시스템은 종이책을 사는것과 큰 차이가 보이지 않죠. 말 그대로 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1 정체무실
    작성일
    14.06.23 04:41
    No. 4

    ㅎ..
    사실, 살짝 부정적인 글이라 그렇지, 옳은 말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난감
    작성일
    14.06.23 06:54
    No. 5

    현재 유료연재는 글자수 제한이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구스타프님 말씀은 문피아 규정내 글자수가 아닌 개인적으로 이정도는 되어야지 하는 글자수를 정해서 그것보다 아래인건 선삭 하셨다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이해한게 맞나 모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1 정체무실
    작성일
    14.06.23 08:11
    No. 6

    아...;; 문피아 규정으로 정해진 글자수가 또 따로 있는건가요?
    이런 문제는 정말 단편적으로 판단하면 안되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4.06.23 08:35
    No. 7

    유료, 미리보기 연재의 경우 최소 5천자 이상이어야합니다.
    그 밑일 경우 무료로 배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4.06.23 08:39
    No. 8

    종이책이 보통 12만자 전후입니다. 그래서 유료 연재는 25편 기준으로 한 권이 되기 위해 편당 최소 오천 자를 넘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4.06.23 08:53
    No. 9

    작가나 해당 회차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편당 오천자 이상은 북큐브와 네이버웹소설에 등재된 소설들도 대체로 따르는 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건곤무쌍
    작성일
    14.06.23 09:55
    No. 10

    유료연재 중에서도 회당 글자수가 많이 차이납니다. 문피아가 5천자 이상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회차를 늘리기 위해서 부자연스럽게 5천자로 딱딱 끊어서 올리는 분들도 있겠죠. 그런 글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5천자를 훨씬 상회하는 분들도 계시니까 비교는 될 수밖에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4 일상과일생
    작성일
    14.06.23 11:55
    No. 11

    이런글을 볼때마다 생각나는건..회원가입을 꼭 필요한 공지를 보게끔 단계별로 만들어두고
    그걸 모두 완독. 퀴즈를 내서 맞춘사람을 회원가입시켯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짜는게 어려운것도 아니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9 [탈퇴계정]
    작성일
    14.06.23 12:41
    No. 12

    잘하셨습니다.
    분량문제로 언급하셨지만 결국 돈을 지불한 만큼의 만족을 못하신게 더 크다고 봅니다. 그런걸 참을 만큼 재밌는 글도 아니라면 걍 삭제하는게 맞는겁니다.
    만족못하는 상품을 살 필요가 없죠.

    저도 보다보면, 매번 5~6천으로 딱딱 끊어지는 글들은..
    대부분 흐름도 끊기는 느낌 받을 수 밖에 없더군요.
    그 것을 감수할 만한 글이나 계속 보는 거고요.
    종종, 억지로 늘여쓰면서 연재분량 채운다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물론 분량이 적더라도 다 감수할만큼 글이 재밌다면 상관없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구스타프
    작성일
    14.06.23 13:26
    No. 13

    이건 지극히 주관적인 글입니다. 전자책이 종이책의 1/3 수준이라고 싸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저같은 사람은 전자책은 절대 안삽니다.

    어떤 형태가 됬든 결제를 한다는건 그 작품을 좋게 본다는 거겠죠.제가 처음 한국 장르소설을 보게 됐을때 일반소설과 장르소설의 구성이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어느순간 장르소설의 구성과 일반소설이 좀 다르게 느껴지더군요. 활자수크게해서 권수 늘리기를 한다고 해야하나...... 대여점 시스템에 맞춰진 글자수가 과연 진정으로 맞는지는 제 개인적으론 반대하는 사람이라서.

    일반적으로 봤을때 현재 장르소설과 일반소설을 보면 글자수 크기가 다릅니다.장르소설 초기 나온 책들과 지금 책들을 비교하면 확연하죠.글자수가 많아야 좋다는게 아닙니다.일반소설도 안그런 작품들은 많으니까요.

    단지 왜 장르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일반소설과 다른 활자크기로 출간을 해야 했을까요? 저 같은 경우 일반소설과 같은 기준으로 전자책을 출판한다고 해도 사지 않을 사람입니다.

    제가 책을 산다면 소장하는 의미이기 때문이죠.

    일본 라이트노벨이 한국 시장을 잠식하면서 10대와 20대 층을 공략하는걸 보면 우리도 라이트노벨 이라는 타이틀달고 출판하자는 분위기로 가는것 같더군요. 좀 씁쓸한 느낌이 강하더군요.

    그냥 개인적으로 드는 생각에 제 생각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적은 겁니다.그런게 무의미 하다는건 이미 알고 있으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레이빈센트
    작성일
    14.06.23 13:50
    No. 14

    글자수는 뭐 그런가 하는데...이야기 진행상이 아니라 분량늘리기 위해 질질끄는듯한 느낌을 주는 글도 있습니다. 세세한 묘사라고 하며서 말이죠. 웃긴건 무료일때는 그러지 않다 유료로 넘어간뒤 조금씩 그런다는거죠. 편수늘리기같은 꼼수라는 생각이 가득들게 하죠. 그 후로 삭제하고 다시 보지 않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1 레하
    작성일
    14.06.23 14:27
    No. 15

    연재 분량에 대한 글들이 많이 나오네요
    저도 솔직히 분량이 일정이상(적어도 5500자 정도)가 아니면 잘 안보게됩니다.
    책값이 싸네마네 하더라도 대다수는 한번 보고마는데 1권에 2500원은 부담이가서요.
    그런데 요즘들어 오히랴 분량을 늘리기 위한 내용의 전개를 느리게하고 잡설 또는 꼭필요치 않은 번어ㅣ내용을 길게 가시는분이 많아지더군요. ㅠㅠ 이제는 처음에 재미있어도 그 작품에 들어가기가 망설여집니다.
    물론 그정도 돈도 없으면 보지를 말라는 분이 많은거 아는데 또 다른사람들은 그정도 돈을 투자하는것도 신중한 사람이 있는게 당연한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호랑바우
    작성일
    14.06.23 16:26
    No. 16

    내용이 늘어지면 1만자도 별로 길어보이지 않더군요.
    내용이 없으니까요.
    하지만 5천자라도 내용이 알차면 크게 불만 없습니다.
    짧아서 아쉽긴 하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부정
    작성일
    14.06.23 17:06
    No. 17

    실질 글자수가 중요하죠. 유료연재에서 대여점식 늘이기를 하시는 분들이 아직 많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그늘바람
    작성일
    14.06.23 17:08
    No. 18

    저는 분량이 많으면 늘어져도 읽은 느낌이 나는데
    분량도 없는데 내용도 부실한게 싫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검치호
    작성일
    14.06.23 19:06
    No. 19

    어떤말씀하시는건지, 구스타프님 생각과 저도 같은느낌이라 댓글남기게 되는군요..
    저도 다섯 작품을 선작등록하면서 후원겸 재미있는 글에대한 만족도로 결제했었는데요...
    .
    최근 두 편을 선삭했습니다...최소분량에 대한 규정은 알고 있었습니다만...글의 용량대비 만족도가 점점 떨어지는 느낌이었습니다...그리고 구입하는 편들이 영구보관이 되는것인지 정확한 언급이 없던것도 마음에 않들었습니다...그렇게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약관(?)만 기억나는군요...
    플래티넘 연재를 하시는 작가분들은 굉장한 압박감과 프로의식을 갖고 글을 쓰시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하지만, 선호의 개인차는 있겠습니다만 정말 독자에게 편당 100원이상의 만족도를 주는 글은 정말 소수라고 생각합니다...그런 소수의 글은 100원이 아깝지않고 오히려 작가분께 감사하는 마음이 들정도지요....
    구매가 높은, 재미있는 글을 찾는 과정에서, 그렇지 못한 소수의 독자들만 읽고 있는 많은 글들을 편편마다 제목만 읽고 갑니다...
    인기가 높은 정말 소수의 글은 천대가 넘는 구매율이 나옵니다만 개인적으론 나머지 95%쯤은 작가분들께는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편당 100원의 가치가 없다 판단되는 것이지요...
    이런 부분은 문피아가 잘못하고 잇다고 생각하는데요, 차라리 편당100원이라는 금액을 세분화해서 작가가 스스로 올릴수 있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반응이 좋으면 가격을 올릴수도, 반대로 안좋으면 내릴수도 있어야 할테지요...
    .
    이런 이야기가 작가분들께 상처가 될 수 있겠습니다만....오히려 가장 큰 상처는 금액이 아니라 낮은 조회수가 아닐지요? 작가분들이 고생해서 글을 쓰는목적은 개인의 만족도도 있겠지만..
    결국엔 읽혀져야 하지않겠습니까??
    운영하시는분들이야 저보다 훨씬 많은 고민들을 하시겠지만...플래티넘에 있는 작품들을 살리는 방법이 어떻게든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35 복뎅아빠
    작성일
    14.06.25 14:46
    No. 20

    흠.. 사실 글이 재미있고 몰입감이 있으면 구입하죠.
    문제는 재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말들이 나오는데..
    왜 재미가 떨어지느냐? 하는 지점에서 5천자를 맞추어 한편을 올리려 하다 보니 분량을 늘리는 거죠. 한 챕터가 7천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1만자로 늘려 두편을 올리면 3천자만큼은 분량 늘이기로 지루해지고 재미가 떨어지는거죠..
    작가분들이 5천자에 목매달지 않고 글이 끊기는 단락에 맞추어서 올린다면 그런 마음은 들지 않을거 같습니다.
    어떤 챕터는 3천자에 끝나면 그냥 3천자만 써서 무료로 올리고, 어떤 글은 6천자면 6천자를 그냥 올리고 그러면 한 글당 한챕터가 되면 내용이 알차다고 느껴질거 같습니다만... 결국 각자 선택하는거죠..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