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78

  • 작성자
    Lv.91 은묘한마리
    작성일
    11.11.08 14:20
    No. 1

    저 같은 경우는 '다르다'를 '틀리다'라고 쓸때 심하게 거슬리긴 합니다.

    뭐, 그렇다고 그정도 거슬리는게 선작 취소까지 갈 정도는 아니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14:21
    No. 2

    ~~니까 말이다, 등의 말이다 남발이 나올 경우에는 몇 화 못 가서 선삭하기도 합니다. 혹은 똑같은 단어가 같은 문장 / 문단 내에 여러 번 등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필살유혼
    작성일
    11.11.08 14:24
    No. 3

    [xx뿐이 안될텐데] 같은 말 나오면 좀 보기 싫더군요.

    ~~뿐이 <= 이거 어디서 나온말인가요? 표준어인가?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님님님님님
    작성일
    11.11.08 14:26
    No. 4

    저 같은 경우는 ~니까 말이다. ~이지만 말입니다. 가 꼴보기 싫어요
    한 두번 나오는 경우면 모르겟지만 제가 좋아하던 어떤 책의 경우 한권에서 이 두가지 말이 남용되서 다신 안보는 책도 있습니다. 그냥 괜히 짜증나고 ,, 뭐랄까 글의 퀄리티가 떨어진다는 느낌도 받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르와인
    작성일
    11.11.08 15:16
    No. 5

    느낌표를 기본 두 개 이상씩 붙여쓰면 보기 싫어지더군요!!!!!!!
    이렇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용세곤
    작성일
    11.11.08 15:22
    No. 6

    전 과묵한 주인공이 "후후후"
    진짜 한줄만 날려먹고.. 참.. 오글거립니다.ㅁ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안개조각
    작성일
    11.11.08 15:22
    No. 7

    쓸데없는 한자와 영어요.

    이 죽엽청(竹葉靑)은 안서성(安雨城)의 특산물(特産物) 일세.
    후드(hood)를 뒤집어쓴 위자드(wizard)가 파이어볼(fire ball)을 시전했다.


    둘다 안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Host
    작성일
    11.11.08 15:29
    No. 8

    잿빛님 예시가...참 보기가 싫네요...몰랐는데 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취서생
    작성일
    11.11.08 15:35
    No. 9

    ㅋㅋㅋ 이런 것 안나오면 좋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7 서희(曙曦)
    작성일
    11.11.08 15:40
    No. 10

    맞춤법 많이 틀리면 싫더라고요. 성의 없어 보여서^^; 아, 그리고 일본어투 심하면 좀 거슬립니다. "아라?", "에에에?" 라거나 "어서와 + 다녀왔어." 조합 같은 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15:45
    No. 11

    효과음이라고 하나요? ‘콰아아앙-’이라던가, ‘휘이익-’이라던가...
    예전에 읽었던 어느 책은 효과음으로 반 페이지 이상을 날로 먹더라고요.
    그리고 ‘하아’까지는 괜찮은데 ‘헤에’나 ‘에에’가 나오면 상당히 거슬리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켄시로우
    작성일
    11.11.08 15:52
    No. 12

    저는 1째 1나 이런거 무지하게 싫어합니다

    첫째가 1인데 1째는 도대체 어디서 나온건지..

    하나가 1인데 1나도 문제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16:12
    No. 13

    너무 과하게 일본만화같은 느낌이 나는 문체들은 거부감이 듭니다.
    [레벨이 올랐습니다] 2페이지 도배보다 싫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비온뒤맑음
    작성일
    11.11.08 16:13
    No. 14

    저는 상성이요. 요즘은 대부분 궁합보다는 상성이라는 단어를 쓰던 데 너무 싫어하고 보기싫은 데 조심스레 댓글을 달아도 고치시는 분을 거의 못봤어요. 그냥 알면서도 쓰는 것 같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0 WHeegh
    작성일
    11.11.08 16:15
    No. 15
  • 작성자
    Lv.53 거라는
    작성일
    11.11.08 16:18
    No. 16

    전 '쨰'나 '떄'가 그렇게 거슬리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연도
    작성일
    11.11.08 16:22
    No. 17

    응애! <-이게 제일 싫습니다 특히나 '~가 태어났다 응애! 응애!' 이런식으로 시작하는 소설은 아무리 평이 좋아도 1편만 보고 선호작 취소시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4 유래향
    작성일
    11.11.08 16:22
    No. 18

    '쿡.'
    이거 정말 싫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악어의눈물
    작성일
    11.11.08 16:30
    No. 19

    "히익?","크크크","히잉"
    거의 의성어들이 좀 보기 그런게 많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16:30
    No. 20

    저는 소드맛스타 (그 외 소드 엑스퍼트 등도 포함), 몇 서클 마법이니 하는 용어가 나오면 글의 완성도와는 상관없이 질려서 못 보겠더군요. 화경이니 현경이니 하는 급 나누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3 응아랑
    작성일
    11.11.08 16:37
    No. 21

    '갈'이 보기 싫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의미없죠
    작성일
    11.11.08 16:40
    No. 22

    안 과 않이 틀리는게 제일 보기 짜증납니다. 그놈의 맞춤법 검사가 뭐 그리 어려운지...

    잿빛님이 보여준 쓸데없는 한자와 영어의 사용도 싫고
    일본식 반응들 - 에에? 나 에?, 그리고 동의하는 의미의 아아 라던가... 전부 다 거슬려요.
    그리고 효과음에다가 " 이거 넣는거 정말 싫습니다.
    휘이익- 이면 휘이익- 이지 "휘이익-" 은 뭔가요? 휘두르는 사람이 소리내면서 휘두릅니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흥미위주
    작성일
    11.11.08 16:45
    No. 23

    전 스토리 잘 진행하다 갑자기 뚝 짤라먹고 딴소리 하는 책 아니면 그냥 다 묵묵히 보는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혈도천마
    작성일
    11.11.08 16:54
    No. 24

    저는 '~의'를 '~에'로 쓴다던가 '~가'를 '~이'로 쓰는 것 같은
    조사를 잘못 쓰는 게 제일 거슬리던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17:02
    No. 25

    저는 일부러를 일부로라고 하는게 정말 싫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윤재현
    작성일
    11.11.08 17:02
    No. 26

    '에?' 와 '아라라' 라든지 '어레' 같은 일본식 감탄사? 그거요.
    에 까지는 봐 주겠는데 '아라라','아라아라', '어레' 이건... 왜 쓰는지 모르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윤재현
    작성일
    11.11.08 17:03
    No. 27

    아. 그리고 에효 같은 한숨소리 싫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넉얼
    작성일
    11.11.08 17:05
    No. 28

    10000만원도 보기 싫습니다.
    대체 이건 어느 나라 숫자랍니까?
    만원이면 만원, 1만원이면 1만원, 1억이면 1억이라고 확실하게 해주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에니시엔
    작성일
    11.11.08 17:06
    No. 29

    종합하면 맞춤법 틀린 게 거슬린다는 반응이 가장 많은 것 같네요. 그 다음은 일본식 반응 표현, 쓸 데 없는 표현 등등이 뒤따랐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호랑바우
    작성일
    11.11.08 17:30
    No. 30

    위에 언급된 것들 다 동감합니다.
    작가님들이 꼭 귀기울여야 할 주제로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은깨비
    작성일
    11.11.08 17:44
    No. 31

    안돼지. 안되지.
    그런데 읽는 본인도 가끔 헷갈릴 때가 있어서 긴가민가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한가장주
    작성일
    11.11.08 18:53
    No. 32

    껄끄럽다. 높은 놈이고 낮은놈이고 다 쓰는데 보면 좀 짜증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부활찬란
    작성일
    11.11.08 19:48
    No. 33

    다 공감합니다.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자면
    "~~할까나"라는 일본어 투.
    이런 글 투가 보이면 무척 재미있게 보던 작품도 거의 한방에 정나미 떨어지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여우눈
    작성일
    11.11.08 19:50
    No. 34

    상성이 왜요? 서로 성질이 맞는 것, 잘 쓰는 단어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시끄이침묵
    작성일
    11.11.08 19:57
    No. 35

    윗분 말씀중 왠만한건 다 이해하겠는데 에? 같은건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외국에서 살아왔기에 이건 일본풍임을 떠나서 그냥 쓰는 의문문으로 구별해도 되는거 아닌가요?
    대충 eh? huh? 이런거 말하는 겁니다. 이게 에에? 응? 뭐? 라는 거랑 다른걸 구별 못하겠네요.

    비슷한 의미로 아아, 으흠 이런것도 ah, hmm, mmm 등으로 구별할 수 있고 이게 일본어 투라고 해야 하는지도 참 애매하군요.

    아니면 일본어 비슷한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외국어/번역투 비슷한게 문제인건지. 만약 후자라면 그게 어쩔 수 없는 사람도 더러 있어요;;;

    본문에 대한 답은 그냥 쓸모없는 효과음들의 모음집으로 줄날리는거..
    아니면 기술이름으로 페이지 날려먹는거..
    같은 판타지라도 이런건 우리나라 밖에 없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20:49
    No. 36

    에? 이거는 일본애들이 무지 많이 쓰걸랑요. 특히 여자애들 툭하면 에? 에? 소오 요런식으로 멘트를 많이 날려서 일본거라고 봐야겠죠? 우리나라는 응? 뭐? 어? 정도

    근데 글로벌 시대에 너무 따지는거 좀 그런듯. 어떤 캐릭은 에 하고 어떤 캐릭은 억 하고 하면 되겠죵.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20:51
    No. 37

    어이 없다를 어의 없다고 쓰는 경우죠. 세상에, 여기가 조선시대 궁궐인 줄 알았습니다. 어의가 없다니!
    일본어 어투는 정말 싫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헤에~", "~할까나" "~라고?" 등은 읽는 순간 바로 덮어버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데르데르곰
    작성일
    11.11.08 20:52
    No. 38

    ~하지만 ~합니다. 라고 써야 할 때 ~하다만 ~합니다. 라고 쓰여 있으면 거슬립니다. 반말을 쓸 거면 전부 반말로 하면 좋겠는데, 꼭 ~하다만이라고 되어 있는 문장을 발견하게 됩니다. ~합니다만, 이 들어가야 할 때조차 ~하다만, 으로 쓰여 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소설뿐 아니라 일상글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는 걸 봐서 이건 이제 무난하다가 문안하다로 쓰이는 만큼이나 자주 쓰이고 있나 싶어 곤란한 마음이 듭니다.
    그 외 맞춤법이 틀리는 경우는 더 말하지 않아도 좋겠지요. 단어는 아니지만, 대화체가 지나치게 가벼울 경우도 읽을 마음이 뚝 떨어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경쟁론
    작성일
    11.11.08 20:55
    No. 39

    저는 소제목에서 ~~되다 ~~~하다 라고 계속 쓰고 !! 느낌표 남발 같은경우가 가장 거슬리더군요. 책 한쪽에 말 끝날때마다 !! 느낌표 쓰는거보면 바로 토가 올라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샤브나크
    작성일
    11.11.08 20:59
    No. 40

    주인공 이름이 휘, 현 이따위 중2병 개 오글거리는 이름일때 보기만해도 빡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7 임창규
    작성일
    11.11.08 21:20
    No. 41

    ...휘, 현.
    세상에 저 이름이 없는 것도 아닐 텐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싱싱촌
    작성일
    11.11.08 21:39
    No. 42

    저는 ~말이다. ~말이다. 많이 나올때 자꾸 눈에 걸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색향
    작성일
    11.11.08 21:44
    No. 43

    저도 맞춤법에 한표..
    그리고 에.. 정도 까지는 저야 개인적으로 넘어가고 다른 분들은 싫어할수도 있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기본적으로는 일본식 표현에 가까우므로,,) 위에 에쉔베일님의 ~라고는 어떤 부분인지 모르겠네요.
    일본 만화책같은거 많이 읽은 편인데도, ~라고에 해당하는게 썩 떠오르지가 않네요.
    저같은 경우는 제 자신이 틀리기도 하지만 그냥 맞춤법 틀릴때가 쬐금 거슬리고 나머지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가끔은 신경 쓰일때가 있기 하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제르미스
    작성일
    11.11.08 21:52
    No. 44

    에에 에헤 데헷 등등 왜놈만화체 감탄사같은거...
    아님 그 자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22:19
    No. 45

    샤브니크님, 제친구 이름이 휘입니다ㅜㅠ
    저도 데헷은 도저히 못보겠습니다. 이거때매 보다만 소설도 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탈퇴계정]
    작성일
    11.11.08 22:22
    No. 46

    댓글을 읽어보니 제가 싫어하는 것만 골라 나오는 것 같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Bellcrux
    작성일
    11.11.08 22:39
    No. 47

    nt노벨 흉내낸답시고 어설프게 일본어체 질질 넣는거 보면 그냥 백스페이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체셔냐옹
    작성일
    11.11.08 23:20
    No. 48

    샤브나크님/
    주인공 이름이 김현인 저는 그냥 울면 되나요? 여주인공은 박지현인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체셔냐옹
    작성일
    11.11.08 23:21
    No. 49

    심지어 제 친구 이름이 현.
    친구 아버지가 중2병이 심하셨던 모양이군요. 이제야 그걸 알았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쌀겨
    작성일
    11.11.08 23:37
    No. 50

    정말 일부러를 일부로라고 쓰는거 거슬려요;
    다른 것도 다 공감되지만, 저건 왜 유독 눈에 밟히는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레몬티트리
    작성일
    11.11.08 23:49
    No. 51

    킥킥킥, 키키키, 크크크, 큭큭큭 등 싫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Schwalz
    작성일
    11.11.09 00:08
    No. 52
  • 작성자
    Lv.89 뽕밭나그네
    작성일
    11.11.09 00:51
    No. 53

    많은 분들이 댓글달아주셧네요.
    소수 의견일진 몰라도 작가님들 글쓰실때
    조금이나마 생각해주셧으면 좋겟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DarkCull..
    작성일
    11.11.09 04:13
    No. 54

    위 잿빛고양이님 댓글은 동감하기 어렵네요.아니 동감 어려운게 아니라 화나네요.작가님이 알아듣기 좋게 한자어 영어 넣어주면 고맙죠
    아,,,님 글에도 한자 제대로 못 쓰셨네요.피식 웃었음

    작가 혼자 잘나서 다 알아들을거라 생각해서 그러는지

    1)말도 안되는 한자(특히 한자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뭔 무협 쓴다고 덤비는지,),,참,웃기지도 않는 ,,,보면서 실소 머금게하는글(글이라 쓰고 쓰레기라 읽습니다)아런글은 바로 백스페이스 입니다.
    제발무협 쓸려면 기본적인 한자어는 좀 알고 씁시다.
    대표적으로 패(覇를 敗로 쓰는거)
    2)판타지 주인공들 자주 드는 검중에 바스타드소드,,,이걸 들면서 방패 이야기 안나온다? 피식 웃으며(이 웃는건 작가라는 글 올린 사람 비웃는 겁니다) 백 스페이스 누릅니다.
    3)작가는 다~잘 알겠지만,읽는 사람은 작가 맘대로 써놓은 단어 모릅니다.제가 그래서 레그나르님 글 좋아 합니다,알아듣게 한글화 해서 보여주시니까요.아니,최소한 검색은 가능하게 영단어 올려주면 얼마나 고맙습니까?
    4)골베 상위권에 있는 하xx리기라는 글 중에 출판사 차리면서 시를 먼저 번역해서 어쩐다 ,,,그거 보는 순간 욕 터져 나왔습니다.
    기본 안된 글 바로 선작에서 삭제 누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구름돌멩이
    작성일
    11.11.09 05:53
    No. 55

    ~~뿐이
    이거 거슬리는 정도가 아니라 짜증납니다. '~~밖에'라고 쓰는 게 맞지 않나요? 이거 중학교 때 처음 들은 표현인데(이 표현이 황당했으면 지금도 상황이랑 대화를 모두 기억합니다) 요즘은 자주 쓰시는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이것밖에 못 해줘서 미안하다' 뭐 이런 문장을 '이것뿐이 못 해줘서 미안하다'이러면 이거 뭐.. 어디서 튀어나온 말인지도 모르겠어요.
    저는 전반적으로 '쉬운 맞춤법인데 작가는 정말 이게 맞는 걸로 알고 있는' 느낌이 풍기는 소설들을 읽지 않습니다. 심지어 골베 작품(N년 전 일입니다)에서 '일이 불거지다/붉어지다' 이 맞춤법 두 번 틀린 것 보고 바로 잘랐고요.. 이 외에도 참 웃긴 맞춤법들 많았는데.. 기억이-_-a
    그리고 위 댓글들에서 많이 지적하신 일본어투는 소설 전체에서 풀풀 풍기지 않는 이상, 의성어 정도는 그냥 너그럽게 이해하는 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EscorT
    작성일
    11.11.09 06:19
    No. 56

    일단 욕설이 많이나오면 보기 거북해지던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Eldolan
    작성일
    11.11.09 07:37
    No. 57

    DarkCully님. 잿빛고양이 님은 한자와 영어를 쓴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게 아니라 너무 남발하는걸 지적하신 것 같은데...굳이 파이어 볼 뒤에 영어 스펠링을 적어줄 필요가 있나요? 안써도 다 알아먹지 않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DarkCull..
    작성일
    11.11.09 08:05
    No. 58

    Eldolan님 말씀에 저도 공감 합니다.
    하지만,다 알아들을 수 있는 파이어볼 같은 경우는 그런다지만.
    발리스타,,,저 이거 네이버 검색해 봤었습니다
    제가 무식해서 그런지 전 판타지 보기전엔 발리스타 뭔지 몰랐었구요
    바스타드 소드,크,이거 웃기죠,(이것도 검색해 봤습니다)
    글 쓰는 분들 대충 큰칼 정도로 (양손검과 한손검 중간으로 알고 대충 쓰는듯한데)쓰던데 알고보니 참 장난도 아니데요 . 하하하
    그나마 검색해서 뜨는 것은 그런다치죠
    작가 본인이 영어 맘대로 읽어서 한글로만 써놓으면 글 앞뒤를 읽고 유추해서 아,,,저게 그거 였구나 하는 경우<---화 납니다
    그나마 이럴때 괄호안에 스펠링이라도 정확히 써주면 고맙게 검색이라도 하죠. 전 남들 다 아는거라도 (다 안다는 것은 개인차 있는거니까요)괄호치고 알아듣기 좋게 한문 영어 써 주시는 분들 정말 고맙습니다.특히 한문은 더 고맙습니다. 바로 상황,무공의 성격 알 수 있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무명다독자
    작성일
    11.11.09 08:09
    No. 59

    '하릴없이'를 잘 못 쓰는 경우요.
    유명 작가분들이나 소설을 정말 잘 쓰시는 분들 중에도 '하릴없이'를 '할일없이', '할일이 없어서'와 같은 의미로 쓰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워낙 저렇게 쓰시는 분들이 많다보니까 제가 국어시간에 잘 못 배운건가 해서 자꾸 다시 찾아보게 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백수77
    작성일
    11.11.09 09:05
    No. 60

    뭐야??!!?!??!!? 전부 제 얘기잖아여. ㅡㅡ+ 왜케들 백수를 미버하는 거에염? 제가 얼마나 앙증맞고 구엽구 착한 백수인뎅. 저를 무한 광야 마음으로 이햏주삼~ 그리고 사랑도 퍼부어주삼~ ^^3 쪽~쪽~쪽~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1.11.09 10:36
    No. 61

    바스타드 소드 들면서 방패 얘기 안나오는게 어때서요? hand-and-a-half 검들은 방패 들 수도 있고 안 들수도 있는 검입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초류향아
    작성일
    11.11.09 11:29
    No. 62

    그저 궁금한거...바스타드소드란 양손검 아닌가요?
    바스타드 소드를 들고 방패를 들수있나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斷劍殘人
    작성일
    11.11.09 11:53
    No. 63

    저는 작중에 나오는 것보다 댓글에 제일 많이 틀리게 적는 맞춤법 하나 이야기 할까합니다.

    요즘은 좀 많이 줄었지만
    어이없다-> 어의없다로
    낫다 -> 낳다로 정말 많이들 틀리게 썼지요

    최근에 가장 많이 틀리게쓰는 단어중에 하나가 흡입력과 흡인력입니다.
    '그 작가의 작품은 정말 흡입력이 있어' '흡입력 좋은 작품 추천좀' 이런 댓글들. 이 경우 흡인력이 맞습니다. 앞으로는 흡입력 대신 흡인력으로 바로 씁시다.

    아래는 중앙일보 최성우 기자의 우리말 바루기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문학 작품을 읽는 독자들은 작가의 문체나 구성이 어떠하길 바랄까. 여러 가지 측면이 있을 것이고 개인차도 있겠지만, 아마도 한번 책을 집어 들면 도저히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강력하게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을 최고로 쳐주지 않을까 싶다. 어떤 것을 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일과 관련해 '흡입(吸入)'과 '흡인(吸引)'을 사용할 때는 틀리지 않게 잘 쓰다가도 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힘[力]과 관련해서는 '흡인력'과 '흡입력'을 혼동해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 진공청소기는 미세 먼지 흡인력이 아주 강하다'와 '이 소설은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입력이 부족한 편이다'를 보자. 기체나 액체 따위를 빨아들이는 힘은 '흡인력'이 아니라 '흡입력'이라고 해야 옳다. 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끌어당기는 힘은 '흡입력'이 아니라 '흡인력'이라고 해야 한다. 따라서 '미세 먼지 흡인력'은 '미세 먼지 흡입력'으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입력'은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인력'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최성우 기자 <a href=mailto:[email protected]>[email protected]</a>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카류라한
    작성일
    11.11.09 11:56
    No. 64

    초류향아님 15세기 초에 쓰던 특정한 형태의 롱소드를 바스타드 소드라하고 때에 따라 양손으로도 쓸수있고 한손으로도 쓸수있는 검을 말하는겁니다.. 바스타드라는 영어 뜻도 서자, 사생아, 모조품이라는 뜻을 가지고있죠. 뭐 저도 정확히 아는건 아닌지라 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流寧
    작성일
    11.11.09 13:22
    No. 65

    전 어이없거나 비웃을때 "훗"거리는게 가장 싫습니다. 솔직히 이렇게 웃는사람있어요?'허'나 '흥'의 중간정도의 느낌이지 절대 '훗'이라 하지 않고 그렇게 한다고해도 오글거려죽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Zvezda
    작성일
    11.11.09 13:42
    No. 66

    바스타드 소드는 15세기 중세 유럽에 쓰이던 롱소드(한손반검, hand-and-a-half-sword) 중에서도 특히 테이퍼진 칼날과 웨이스티드 그립(한손반 손잡이)을 가진 검을 일컫는 말입니다.
    기본적으로 한손반검, 즉 롱소드는 양손으로 다루던 검입니다만, 밸런스가 잘 맞아 한손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한손으로만 쓰는 게 아닙니다.
    롱소드가 쓰이던 15세기는 흔히 말하는 플레이트 아머, 즉 판금 갑옷이 발달함에 따라 방패가 필요없어진 시기이기 때문에, 이때부터 양손 무기 발달이 이뤄졌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DarkCull..
    작성일
    11.11.09 15:31
    No. 67

    갑자기 바스타드 소드 이야기가,하하하
    바스타드 소드는 돌연변이 검입니다.
    흔히 한손반검이라 우리 말로 번역하지만
    한손에는 작은 방패들고 한 손엔 이 칼들고 싸우다가 결정적 순간에 방패는 버리고 두손으로 강력한 타격을 주는 검이죠.의외성을 노린 꼼수 검이라는 겁니다,
    중요한 점은 방패를 한손에 들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방패 없으면 굳이 이 검을 쓸 이유가 없죠.
    타격력은 양손검(투핸디드 소드)에 비해 떨어지고
    무기 사용의 용이성은 짜른검(숏소드)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하하하
    주류 무기가 아니었던 검인데 어째 판타지 소설보면 참 많이 사용하더군요
    제가 바스타드 소드 이야기한 이유는 그냥,혹은 멋있어 보여서 도구나 표현 쓰기보다는 최소한의 지식은 가지고 글 써주셨으면,하는 바램에서 올린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유주
    작성일
    11.11.09 18:32
    No. 6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역시 개인적인 기준이라 여기저기 많고 특이하네요
    저는 옛날에 1인칭을 싫어해서 못봤습니다. 혼자중얼거리는 그런 독백식으로 서술하는 게 너무나도 싫었지요
    하지만 읽다보니 이제는 잘 읽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moonrise
    작성일
    11.11.09 18:38
    No. 69

    아무래도 판타지에서 바스타드의 시조는 후치겠죠. 드래곤라자에서 바스타드의 묘사는 대충 롱소드보다 크고 무거운 검이었으니 (예전의 저 포함)많은 분들이 그렇게 알고 계셨을 겁니다.
    그건 그렇고 저는 '낳다'라는 말만 보면 기분이 나빠지더군요. 물론 산부인과 제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짝대기
    작성일
    11.11.09 18:48
    No. 70
  • 작성자
    Lv.5 Zvezda
    작성일
    11.11.09 18:49
    No. 71

    DarkCully님//15세기엔 유럽에서 방패 자체가 거의 쓰이지 않던 시대인데 '중요한 순간에 방패를 버리고 양손으로'라니요.
    DarkCully님 말대로라면 유럽 전역의 기사들이 모조리 아밍소드(DarkCully님이 부르시는 숏소드겠지요?), 혹은 그 반대인 츠바이핸더나 클레이모어 스타일의 양손검으로 무장해야합니다만, 실제 역사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왜 그렇겠습니까? 양손검이 그렇게 갑옷을 잘 쳐부수고, 아밍소드가 그렇게 틈을 잘 찌르는데 말입니다.
    바스타드 소드는 Espee Bastarde라는 '프랑스어'의 번역본입니다. 중세 유럽의 상징적인 국가로 저는 프랑스를 꼽습니다. 그런데 중세 유럽의 상징적 국가인 프랑스에서 바스타드 소드를 쓸때 방패 들고 막 휘두르다가 방패 내던지고 양손으로 칼을 후렸다는 말이 있습니까?
    애초에 검은 보조무기입니다. 산악지역이 많은 스페인 일부 지역에서 스페인인이 무어인에 대항하기 위해 일부 전사들이 검으로 무장한 적은 있었습니다만 그마저도 16세기 이탈리아 전쟁에서 파이크로 무장한 스위스 용병과 장다르므로 대표되는 전문 중장기병, 그리고 대포로 이루어진 프랑스군에게 깨졌습니다.(비록 그 덕분에 곤살로 데 코르도바가 테르시오의 원형을 만들어냈습니다만)
    그럼 기사들이 마상에서 검들고 싸우는 건 뭐냐고 반문하실까봐 말하는데 기사, 특히 중장기병의 주무기는 랜스입니다. 그들이 검 들고 난전에 싸우는 건 지속적인 돌격으로 적 보병이 분열될 때였습니다.

    <a href=http://www.richardiii.net/images/wakefiekd%20battle.jpg
    target=_blank>http://www.richardiii.net/images/wakefiekd%20battle.jpg
    </a>
    이건 15세기 중반에 벌어진 웨이크필드 전투 재현도입니다. 중간에 검을 휘두르는 기사가 든 무기가 바스타드 소드입니다. 여기서 방패를 찾아보세요. 참고로 왼쪽 끝에 있는건 방패가 아니라 깃발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1.11.09 21:20
    No. 72

    Zvezda님,
    15세기 중세 유럽에서 방패 자체가 거의 쓰이지 않았다는 근거가 어디에 있나요?
    무기가 있다면 방패는 거의 필수적으로 따라 나옵니다.
    현대 경찰에서도 방패를 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Zvezda
    작성일
    11.11.09 21:36
    No. 73

    ANU님//제가 말을 잘못했군요. 판금 갑옷 따위로 무장한 중장기병 일부는 쓰지 않았다로 변경하겠습니다.

    위키피디아 Shield 부분 Middle Ages 항목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In time, some armoured foot knights gave up shields entirely in favour of mobility and two-handed weapons.(이윽고, 일부 지상전을 수행하는 기사들은 방패를 완전히 포기하는 대신 기동성과 양손무기를 선호했다.)
    The development of plate armour made shields less and less common as plate armour eliminated the need for a shield.(판금 갑옷의 발달은 판금 갑옷이 방패의 효용성을 없애버림에 따라 방패를 더욱 보기 힘들게 만들었다.)
    Lightly armoured troops continued to use shields after men-at-arms and knights ceased to use them.(중장기병과 기사들이 방패를 쓰지 않게된 이후에도 경무장한 병사들은 방패를 계속 사용했다.)

    위키피디아 Plate armour 부분 Late Middle Ages에서 Effect on weapon development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Plate armour was virtually invulnerable to sword slashes. It also protects the wearer well against spear or pike thrusts and provides decent defence against blunt trauma.(판금 갑옷은 칼로 베는 공격에 사실상 무적이었다. 판금 갑옷은 또한 창과 파이크 따위의 찌르기 공격을 잘 방어했고, 둔기 공격에 의한 트라우마 발생에 대해서도 적절한 방호력을 지녔다.)

    갑옷만 입어도 사실상 무적에 가까운 상황인데 굳이 방패를 또 들어야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설마 갑옷이 못 막는 화승총을 방패는 막는다 따위의 말은 안 하실거라 믿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DarkCull..
    작성일
    11.11.09 23:21
    No. 74

    롱소드와 바스타드소드의 구분은 사실 애매 합니다.
    그런데 굳이 바스타드 소드는 방패를 든다고 말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스타드 라는 말 자체가 야비한,사생아 뭐 이런 좋지 않은 뜻인데 검에 이런 이름을 붙힌 이유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변칙적인 공격을 하는 검이라고 ㄱ생각하면 되겠네요
    우리말 번역으로는 왜 한손반검일까요?
    평시엔 한 손으로 사용하다가 중요한 순간에 두손으로 강력한 타격을 주기에 한손반검 인데
    그때 다른 손에는 방패나 작은 망고슈 계열의 단검을 착용하고 활용했죠.
    웨이크필드 전투 재현도 잘 봤습니다.
    기사가 휘두르는 검이 바스타드 소드라 하셨는데
    저런 상황이라면 롱소드라 부르는게 나을듯한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DarkCull..
    작성일
    11.11.09 23:44
    No. 75

    한마디 더 첨언 하자면
    15세기 유렵에서 방패를 쓰지 않았다는 말씀이 이해되지 않네요
    위키에서 따오신 글에도 경무장한 병사들은 계속 방패를 사용했다고 쓰셨고,중장기병의 주무기가 검이 아닌것까지 쓰셨는데...
    전 중장기병이나,판금기사들 이야기가 아닌
    <바스타드 소드>에 대해 이야기 한거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진다래
    작성일
    11.11.10 08:30
    No. 76

    저는 스텟창 오픈
    레벨 241
    힘 432
    민첩 512
    ....
    ....
    2페이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콤니노스
    작성일
    11.11.12 17:09
    No. 77

    방패 드는 잡병들은 바스타드 소드씩이나 안 씁니다. 허리춤에 아밍 소드 정도 차고 있다면 모를까. 결론은 앵간해선 바스타드 + 방패 조합 보기 어렵다는거...15세기 유럽권역에서 중무장 기병들이 방패까지 들었던 지역은 크로아티아-세르비아 라인 밖에 없습니다. 무장은 바다 건너 이탈리아와 몇년 차이 밖에 안나는 수준이었지만 투사 병기를 미친 듯이 쓰는 투르크를 상대하려면 여전히 방패 드는 편이 좋았다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UK
    작성일
    11.11.20 21:21
    No. 78

    저는 내가랑 네가를 바꿔쓰는거요. 처음봤을땐 오타려니했는데 계속 그렇게 쓰시더군요. 문제는 한두분이 아니라는겁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