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5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10.28 01:44
    No. 1

    크으... 그까짓 나태함 때문에 저의 자식들을 머릿속의 감옥에만 가둬두던 저 자신에의 일침을 맞은 것만 같군요. 정신에 상쾌한 바람이 부는 것만 같은 글을 볼 수 있어 이 잠이 안 오는 새벽에 감사를 드리고 싶은 심정입니다. 이런 글을 본 이상 가만히 story를 죽은 동상마냥 버려둘 수는 없군요. 당장 설정을 마무리해서 올해 안으로는 반드시 저의 story를 쓰고자 노력해야 겠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깨워주신 당신에게 평온한 하루가 있기를.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정주(丁柱)
    작성일
    14.10.28 01:56
    No. 2

    설정에 관해서 조언을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모든 설정을 다 완벽하게 잡고, 그것을 매뉴얼 삼아 글을 쓰시는 것...
    과연 그것이 글을 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설정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면 할 수록, 부족한 것이 생겨나고, 그 설정이라 함이 그 글이 써지는 세계의 모든 것을 완벽히 포함 할 수는 없을 것이 분명하기에 분명 부족한 것들은 내가 뭔가를 조사하고, 알면 알아갈 수록 더 부족해 질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도 그렇지만 '완벽'한 것은 없습니다.
    불완전 한 것일 수록 그만큼 해석의 여지가 생기고 생각할 틈을 주기도 합니다.
    그것은 글을 쓰는 것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완벽한 스토리를 쓰기 위해 완벽한 설정을 짜는 것은, 그 시도는 좋지만, 설정 짜기에만 매달리다가 끝나게 될 수 있습니다.

    저만 해도 글을 쓸 때 그 글의 배경이 되는 행성과 항성, 그쪽의 솔라시스템의 탄생부터 생명체들의 진화 과정과 지형의 변화와 날씨의 변화 등 등 모든 것을, 물론 글로 정리하는 것이 아니고 머리 속으로 직관적으로 비디오 보듯 구상을 해봅니다. 아는 지식과 상상력을 총 동원해서 말이지요.
    그리고 나서 정작 글을 쓰기 위한 어느 한 시점, 바로 전까지 구상을 해놓고는...
    '중요하다'라고 생각되는 것 몇가지만 적어놓고, 바로 스토리를 구상합니다.
    스토리를 구상하면서도 중요한 흐름과, 정말 중요하다 생각되는 대사, 등장인물의 '대충적'인 모습만을 적어놓고 바로 또 넘어갑니다.

    설정을 완벽하게 해놓고도 결국은 쓰다보면 바꾸고 싶고, 부족한게 보이고, 추가하고 싶은게 생깁니다.

    준비를 한다고 나쁜건 아니지만, 준비만 하는 단계에서 사로잡혀서 글을 쓰지 못한다면 발전이 없습니다.

    그리고 만일 준비해서 썼다고 해도, 그 글이 나만의 만족이 된다면, 다른 사람들을 사로잡지 못한다면, 어느순간 그 글을 쪼개거나, 패기해야 할 지도 모릅니다.

    너무 정 붙이지 말라고 해야 할까요?
    설정의 단계에 너무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좋은 설정은 나올 수 있지만, 좋은 글은 나오기 힘듭니다.

    차라리 내가 아는, 내가 처음 구상했던 번쩍하는 아이디어를 대충 잡고서 쓰면서 설정을 만들어 가는 것이, 내가 처음부터 모든 것을 완벽하게 설정하여 글을 쓰는 것 보다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물론, 주관적인 이야기 입니다.

    그나저나 한번 써보세요.

    도움이 조금 되길 바랍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정주(丁柱)
    작성일
    14.10.28 02:10
    No. 3

    스토리를 쓰는 것에도 정이 들어 내 손가락 처럼 욕먹으면 내가 아프고, 깨물면 아픈 것 처럼, '설정'도 정이 들어서 욕먹으면 아프고 깨물어도 아프고, 나중에 놔주기가 싫어집니다...
    문제는 여기서 오는데...
    설정에 너무 공을 들이면, 나중에 스스로 자기 카피를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새로운 생각이 나오기 힘드니 조금은 여유를 두고, 물론 쓰실때는 설정이 안꼬이는게 당연히 중요하긴 하지만, 그래도 스스로에게 여유를 두어 가면서도 만들 수 있고 덛붙일 수 있게...
    그리 하는 것이...

    그리고, 참고로 이야기 하지만,
    글을 쓰실 때에는 독자들은 이야기의 진행이 중요한것이지 이야기에 나오는 '설정'이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설정이 너무 많이 나오면 독자들이 지루해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있지요.
    '한 단어를 독자들은 그냥 한 단어로 보지만, 작가는 그 한 단어를 쓰기 위해 수만권의 책을 탐닉한다.'라는 말...
    (물론 한 단어에 수만가지 해석을 하는 독자들도 있고, 그렇게 되는게 작가로선 바라는 마음이지만 ㅎㅎ)

    작가는 고뇌하고 준비해서 글을 쓰지만 글로서 보여주는 것은 그렇게 많은 준비를 해서 한 단어에 들어가거나, 한 문장에 담아내야 하기도 한다는 겁니다. 아니지, 한 단어나 문장을 준비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티를 내면 안되죠.
    물론, 인터넷에서 연재하는거면 조금 티내고 친목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ㅎㅎ
    그러나 너무 티내고 그러면...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2 7ㅏ
    작성일
    14.10.28 09:42
    No. 4

    좋은 이야기 감사드립니다. 저 역시 신해철형님을 학창시절부터 좋아했습니다.
    거침없는 입담...고스는 깊은 새벽 잠못드는밤 제 곁을 지켜준 친구였구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산중기인
    작성일
    14.10.28 10:33
    No. 5

    "Reason to live"

    You're the reason that I live
    All I own I would give
    Just to have you here with me in my arms
    (당신은 내가 살아가는 이유이고
    나는 내가 가진 모든 것을 당신에게 주겠어요.
    내 품에 안겨 나와 함께 있기만을 바라며... )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