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8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3.09.26 22:28
    No. 1

    http://www.joysf.com/forum_sf 이쪽으로 가시면 활발한 토론을 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眞人
    작성일
    13.09.26 22:40
    No. 2

    어서 가서 확인해봐야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공감률
    작성일
    13.09.26 22:31
    No. 3

    일부 프리메이슨 음모론에 포함된 이론의 일부입니다. 생명 과학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만 인체와는 관련이 있어서 이렇게 댓글을 남겨봅니다. 유비쿼터스 기술이라고 들어보셨지요? 자그마한 나노칩으로 무언가를 하는 기술인데 이 나노 규모의 크기를 가진 칩에 인간에 대한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를 기입해 어디서든 신분확인과 거래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후에 칩을 인체에 삽입시킨다고 하더군요. 이것만 있다면 아무것도 없이 외국에 놀러갈 수 있는날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것에 관련된 음모론은 소수의 사람이 이 유비쿼터스 칩에 대한 on off를 주관 하여 사람들의 사회생활을 주관자의 손아귀 속에서 마음껏 주물렀다 펼 수 있다는 설이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眞人
    작성일
    13.09.26 22:41
    No. 4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2 곡두
    작성일
    13.09.27 01:37
    No. 5

    유비쿼터스 자체가 그런 개념인 건 아닌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비쿼터스는 네트워크 컴퓨팅이나 클라우드 서비스 같은 걸 내용으로 하는 개념적인 용어로, 어디에서나 접근성을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정도로 보장된 정보기술을 가르키는 일종의 패러다임 같은 거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5 세류하
    작성일
    13.09.27 08:49
    No. 6

    제가 유비쿼터스학과를 나왔는데 유비쿼터스의 개념은 그런게 아닙니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그러니까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할수 있는 환경을 뜻합니다. 말씀하신것은 유비쿼터스개념아래 있는 RFID기술을 말씀하신것 같은데 그것은 이미 실용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dr****
    작성일
    13.09.26 23:04
    No. 7

    생체조직의 3d프린팅이 실체화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렇게 될 경우 정형외과 성형외과쪽에서 가장 압도적으로 사용할듯 싶고요. 인공장기등의 연구에 많이 사용될듯 싶네요.

    다만 생명윤리의 문제로 인공장기쪽에는 상당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인공관절이나 인공근육등과는 다르게, 내장쪽에서는 거부감이 심하겠지요, 거기서 더 나가면 두뇌쪽으로 올라갈테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3.09.26 23:06
    No. 8

    생명공학이 충분히 발전하면 DNA를 설계하여 사람과 99%이상 비슷하게 작동하나 결과적으로 사람은 아닌 생명체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복제인간에 대한 윤리 문제가 대두될 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