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31

  • 작성자
    Personacon Donovan
    작성일
    12.12.14 01:05
    No. 1

    으음...
    유료작은 퀄리티가 좋은 반면,
    무료작은 퀄리티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요?
    100원도 그것만 따지면 싼 가격이지만, 10편을 몰아서 보면 1000원이구요..
    유료서비스에 불만을 가지고 문피아에서 떠나는 분들로 더러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사생
    작성일
    12.12.14 01:31
    No. 2

    10편이면... 한 권 분량이 안 되지요 ㅇ_ㅇ??
    대여점 금액이 800원정도인것을 감안하면... 한 편당 못해도 만자정도가 되야 할 것이고,
    한 번 결제하면, 못해도 한 달 간은 계속 볼 수 있어야 하겠네요.
    그럼에도 찾아주시는 분의 글을 선택하는 최소한의 자유를 보장하자면, 앞의 몇 편은 무료로 해야 할 것이고요...
    그런데, 유료선정은 어찌하나요 ㅇ_ㅇ??
    글쓴이 본인이 한다면, 말 그대로 대중없이 유료물결이 칠 테고, 운영진 몇분의 검토만으로 하는 것도 문제가 있고, 그렇다고 일반 독자분들이 선정하기에는 이미 읽었으니, 안 본사람이 유료가 되든 말든 상관없다 할 수도 있을 테니 말입니다.
    고민이 되는 부분이군요 ㅇ_ㅇ;;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이멸
    작성일
    12.12.14 01:39
    No. 3

    유료연재를 구매시 실제책을 좀더 싸게 구매할수 있다면 좋겠지만..
    인삼님글이 독자층이 어떤지는 모르곗는데, 어른취향인 글이 아무래도 유료연재에선 더 유리하겠죠. 어른취향의 글이라면50%는 건지지 않을까요? 하여 계산해보면 5000조회수x편당100 x120회(1년연재량) 1년연재량은 한달에 100000자를 기준으로 했을떄. 음. 6000,0000원이군요. 제가 조회수를 너무 높게잡앗나 보네요. 하긴, 몇번씩 보는 독자도 있으니만큼 좀더 줄여야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 이멸
    작성일
    12.12.14 01:45
    No. 4

    인삼님의 글은 1페이지 맨아래 92화부터 15화를 평균내면 조회수가 14000이 넘고, 3페이지의 경우 평균 조회수가 40000 최소조회수가 30000입니다. 이중 중복조회수 몇이나 될지는 모르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우걱쩝쩝
    작성일
    12.12.14 08:38
    No. 5

    유료연재 상황을 잘 모르시는 것 같아 덛븥이자면 무료연재소설이 유료연재로 전환했을 시, 무료독자가 1/10정도만 넘어와도 그건 대박작품입니다.. 유료연재에서는 자칭 인기작가도 조회수 1000도 못넘기는 경우가 허다하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12.12.14 01:49
    No. 6

    약삼이 유료로 해서 90만원 번다면 제가 연재를 못하게 말릴 겁니다.
    900만원이라면 몰라도..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3 moonrise
    작성일
    12.12.14 02:08
    No. 7

    약삼님이 직업 작가. 90만원번다면 저도 기자회견 할겁니다 ㅋㅋ
    다만 현재 페이스플러스 알파 정도로 연재할 경우를 가정한 거죠.
    지금도 하루에 만자 한편씩 쓰려고 하시려는것 같고
    작가일만 하실 의향도 없으신것 같으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여우눈
    작성일
    12.12.14 02:05
    No. 8

    문피아가 과금정책을 어찌 가져올지는 모르겠습니다.

    편당과금을 당연히 작가들이 원하겠지만..
    조아라의 경우를 보면 정액제+쿠폰제가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죠. 12월이 절반뿐인데 1등은 월수입 600만원을 바라보고 있고..5등도 130만원이 넘고요. 그 아래야 물론 대부분 몇 만원 수준이겠지만요. 조아라에도 편당 과금제인 프리미엄이 있지만 이곳 조회수 역시 북큐브 조회수와 별반 차이가 나지 않고요.

    편당 과금제에 메이저 작가들을 모시고 있는 북큐브를 보면 수입이 차이 나죠. 현역 무협 최고 작가 중 하나라 볼 수 있는 용대운 작가님만 간신히 현 조아라 1위 작가 수입을 넘볼 수 있겠네요. 물론 용대운 작가님이야 책 출간 수입도 있으니 다르지만요. 이에 뒤지지 않는 이수영, 좌백, 김정률 작가님들 작품들..조회수 많아봐야 1000대입니다. 이것도 편수이고 주 3일,5일연재이니 월 수입 해도 얼마 못 벌죠.

    작가님들 수입이야 작가님들이 잘 아실 거고 금강 님이 제일 잘 아시겠죠. 편당 과금은 지금까지를 보면 그야말로 일반 대여점 퀄리티의 10배가 넘는, 실질적으로 구매 가치가 있는 작품들을 써내는 작가만 살아남을 수 있고 대다수 현재 작가연재를 하고 계시는 분들의 글도 글쎄요..

    처음부터 편당 과금만 했다면 차츰 작품 자정효과 등 안정화를 가져올지 몰라도 일단 조아라에서 월정액 시스템을 먼저 내놓고 월수입을 저렇게 내고 있는 걸 작가님들이 알게 된 이상 무협을 제외한 작품들은 조아라로 거의 갈지 모르겠습니다. 처음엔 야설 수준이던 노블레스도 최근 보면 작품성 있는 것들이 거진 다 상위권을 갖고 있으니까요.

    뭐 일단 나와봐야 알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룰루랄라
    작성일
    12.12.14 02:07
    No. 9

    대략 북큐브 연재중인 고검환정록 수준으로 나오리라 봅니다. 직하인님과 인삼님의 조회수가 비슷하다고 보니까요. 사이트 안 옮겨도 되니 좀 더 나오겠죠. 제가 얼마전에 심심해서 고검환정록 년수입을 홈피 조회수만 계산했는데 연봉 2천이었습니다. 여기에 모바일에 출판까지 합치면 대략 2500 정도 될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12.12.14 02:17
    No. 10

    여우눈님이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조아라의 경우, 당연히 참고할거고 문피아도 많은 고민을 할거고 또 여러가지 과금 시스템을 병행해서 들여오게 될 겁니다.
    그 말은 한가지만 하지 않을 거라는 점입니다.
    다만, 작가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생각을 못하시는 듯 한데.
    한 사이트에서 5등이 130만 넘는다는 건... 작가에게 죽으라는 것과 같습니다.
    그 돈으로는 누구도 생활하지 못합니다.
    지금 절반이니까 많이 봐줘도 300일텐데요.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제가 장담할 수 있습니다.
    신인과 기성은 다른 대우가 되어야 하고 많은 고민을 해야만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여우눈
    작성일
    12.12.14 02:29
    No. 11

    물론 그렇죠. 그런데 현재 북큐브에서 연재했던 작품들을 출판하니 대여점에서는 반품 운동을 하고 있고(법적 조치로 해결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결국 유료연재작들은 우선은 출판 안 하는 걸로 해서 그걸로만 수입을 얻어야 하는데 현 상황에서 이게 기성작가들도 쉬운가 하는 겁니다. 다양한 과금 시스템으로 잘 나와서 잘 되면 물론 좋지만 현 축소된 시장 상황에서 과연 가능할지..
    조아라의 월정액+쿠폰제의 문제는 '물량'+'독식'+'내용파괴'겠죠. 어떻게든 많은 양 일일연재, 이삼연참 가는 게 유리하고..상위작 독식 구조 등 독자가 모르는 문제점들도 다 있을 겁니다. 이런 것들을 잘 생각해서 나왔으면 좋겠어요. 편당과금을 하지만 실질적으로 북큐브 편당 과금은 대여점 빌리는 값*3,4배쯤 되니까, 온라인이니까 돈 아끼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여우눈
    작성일
    12.12.14 02:36
    No. 12

    차라리 연재당 과금이 아니라 권당 과금이 나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권당 가격은 작가가 정해서 1000원~3500원 수준으로. 자기가 생각했을 때 권당 3500원 전자책으로 하면 독자들이 절대 안 볼 것이다 생각하면 대여점 대여 수준으로 1000원 가격 선택하고..3500원 해도 수익이 1000원보다 잘 나올 것이다 생각하는 유명 작가는 3500원 선택하고.. 비슷하게 연재당 과금도 차별적으로 하고. 용량과 연재일 철저하게 지켜서 연재일 여길 시 1회 무료라든가.. 사람이 생각하는 거야 다 비슷하니까 여러 방법을 생각하고 계시겠죠. 좋은 과금 정책이 나와 재밌는 작품이 많이 나오고 좋은 작가도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SSDHDD
    작성일
    12.12.14 04:05
    No. 13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물론 사이트는 돈을 벌겠지만 작가는 중노동에 작가생명 일찍 끊고 죽게 될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탈퇴계정]
    작성일
    12.12.14 02:30
    No. 14

    후아..정말 먼나라 앨리스 얘기네요. 유료연재 하시는 분들 대단하신 것 같아요.+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티그리드
    작성일
    12.12.14 02:50
    No. 15

    조아라 월말에 수입들을 살펴보면 수입들이 상당합니다 5등까지는 전부 3-4백정도는 받는 걸로 알고 있고요. 쿠폰제 이후로 상당히 돈도 고르게 퍼저서 일단 30,40위 안까지만 들면 그럭저럭 만족스러운 돈이 나오지 않을까도 싶은데...
    라도 1위의 엄청난 정산금액. 저거 하나로도 나도해볼까? 라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건 어쩔수 없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사생
    작성일
    12.12.14 02:51
    No. 16

    이웃나라 먼나라군요 ㅋㅋ
    정말로 심도있는 고민이 되어야 할 것 같네요 ㅎ
    모두에게 좋은 결과라면, 약간 어폐가 있겠지만
    그런 결과가 있었으면 합니다.
    모두 파이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12.12.14 03:18
    No. 17

    1차로 10위권이 500이상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해서 그렇게 될 수 있도록 판을 짜는 중입니다.
    뭐가 달라도 달라야 할테니까요.
    5등이... 3,4백 버는 구조는 망하는 구조입니다.
    절대로 컨텐츠의 질을 논할 수가 없습니다.
    세계로 갈 수가 없는 상태고 작가의 등골을 휘게 만드는 시스템일 수밖에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SSDHDD
    작성일
    12.12.14 04:06
    No. 18

    "세계로 갈 수가 없는 상태고 작가의 등골을 휘게 만드는 시스템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로 갈 수가 없는 상태고 작가의 등골을 휘게 만드는 시스템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로 갈 수가 없는 상태고 작가의 등골을 휘게 만드는 시스템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로 갈 수가 없는 상태고 작가의 등골을 휘게 만드는 시스템일 수밖에 없습니다."
    강조를 위해서 댓글을 달아놓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서리월
    작성일
    12.12.14 03:22
    No. 19

    조아라 연재도 초반엔 거의 돈이 안됩니다. 일단 편당 평균 12kb 정도에 100편 정도는 되야 그때부터 제대로 된 수익이 들어옵니다. 하지만 역시 인기가 있어야겠죠.
    최신 편의 평균 조회수가 2천 이상을 기록해야 100만원 이상의 수익이 나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비애몽
    작성일
    12.12.14 10:29
    No. 20

    전 독자들이 많이 찾아올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작가의 삶이 제일중요하지만 우선 독자들이 많이 봐야 그 삶이 유지 되는거 아니겠어요?
    책과 달리 인터넷연제는 분량이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비판하자는게 아니라 책 1권의 내용이 인터넷연재하면 2권3권으로 늘어지는데 질이 떨어지는것도 생각하셔야죠. 책대여점에서 빌리는 요금도 가계월세. 책단가. 등등을 생각해서 요금이 합당한지 생각하는게 독자인데 늘어지는 내용을 책대여점보다 비싸게 보고싶어하는 독자가 얼마나 있을까 부터 생각해야합니다. 전 북큐브에서 보고싶은 작품은 많으나 어머어마한 편수를 보면 먼저 들어갈 요금부터 생각나더군요.. 제가 속물이라 죄송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3 사생
    작성일
    12.12.14 10:47
    No. 21

    음... 솔직히 말씀드려서, 책 내용이 2~3권으로 늘어난다는 말씀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글자 자수는 같을 테고, 책으로 내면서 표지, 각 부제를 다는 표지, 챕터를 넘어가면서 페이지를 다 채우지 않는 점, 등을 생각하면, 전 평소에 연재분보다, 책이 훨씬 용량을 채우지 못한다고 생각했거든요.
    말씀하시는 바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ps. 한 권 분량으로 유료화를 결제하자는 방식때문에 말씀하신 듯한데, 보통 책이 15만자라고 하니, 여기에서도 그만큼을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사생
    작성일
    12.12.14 11:22
    No. 22

    음... 그런데 정액제라는 측면에서보면, 한 달간 정액을 끊은 사람이, 모든 유료연재작품을 봤다고 했을 때, 그 정액금액만큼에서 유지비를 제외하고 모든 작가분들께 나누는 방식이 되는 건가요?
    그러면, 정액을 끊은 사람이 몇몇의 작가의 책만 봤을 때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그냥 전체 유료언재작가에게 일정 금액이 들어가나요, 아니면 정액비를 실제 책을 읽은 몇몇 작가에게 나눠주는 건가요 ㅇ_ㅇ??

    저라면, 정액제를 끊었을 때, 아까운 맘에라도 거의 왠만한 책은 다 볼것 같지만서도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12.12.14 12:03
    No. 23

    1/n 늘 배분은 그렇게 되는 겁니다.
    안 본 사람까지 주는 경우는 존재할 수가 없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3 사생
    작성일
    12.12.14 12:19
    No. 24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프로그래머님의 노고에 애도를 표해야 겠네요;;
    그런 식으로 짜시려면 꽤나 피곤하실듯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김말
    작성일
    12.12.14 17:10
    No. 25

    10위권까지 월 500이라..아 물론 목표가 높은건 좋습니다만, 너무 목표를 높게 잡는거 아니신지? 너무 목표만 크게 벌려놓는것도 별로 생산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문피아는 이제 시작인 상태고, 아직도 인터넷연재보다 출판을 목표로 하는 작가도 많고, 타사이트에서 그것만 보려고 찾아올만큼 유명한 작품도 몇개 없습니다. 수익구조를 어찌할지는 모르지만, 조아라랑 달리 사이트에서 최소한의 유지비용만을 걷고 모두 작가에게 분배한다고 쳐도 하루아침에 가능한 수익구조는 아닌거같네요.. 솔직히 10위이내 월500아니면 다 죽는거라고 말하는건 지금 상황에 너무 배부른 소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조아라 노블레스 소설 물론 우스운 소설도 있고, 랭킹에 든 소설도 가볍고 이상한 소설도 많은게 사실이지만, 그게 시스템의 승리고, 어떤면에서 보면 대중에게 먹히기 때문에 그리 인기가 있고 돈을 많이 버는거라는 생각도 해야합니다. 유료연재를 시작할때 무협장르를 빼면 굳이 문피아에서 연재를 시작할 동기도 아직 부족하다고 보고요. 일단 처음은 언제나 그렇듯이 약소하게 시작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조아라도 처음에는 1등이 월 100안밖이던때가 있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은소현
    작성일
    12.12.14 17:38
    No. 26

    '마눌삼님 어전에서 보다 당당해질 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
    월 90만원이 당당해질 수 있는 금액인가요?......+_+
    저 곧 40되는 여성입니다. 궁금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moonrise
    작성일
    12.12.14 20:05
    No. 27

    다시 말하지만 현재 연재량 유자하면서 벌 수 있는 금액입니다;;;
    평소 생활 그대로에 꽁으로 90만원이 나온다면 기분좋지 않나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은소현
    작성일
    12.12.14 20:07
    No. 28

    그게 왜 꽁?으로 인가요?...ㅡ.ㅡ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3 moonrise
    작성일
    12.12.14 20:21
    No. 29

    인삼님은 지금도 하루에 만자씩 쓰겠다고 공언하셨거든요. 그러니까 생활패턴은 달라지지 않으면서, 기존 근로수익도 그대로인데, 거기에 90만원이 더해지는 거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은소현
    작성일
    12.12.14 20:27
    No. 30

    하루 만자 인삼님이 쓰는 것이 쉬워 보이십니까?
    놀면서 쓰고 계실까요?
    과연 어떻게 만자를 쓰고 계신지 생각해 보셨나요?
    ㅡ.,ㅡ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3 moonrise
    작성일
    12.12.14 20:34
    No. 31

    물론 그런 뜻으로 꽁이라 말한건 아닙니다 (_ _) 그렇게 들렸다면 죄송하네요.
    어쨌든 인삼님은 무료로도 하루에만자씩 쓰시고 거기에 일과를 변경하지 않아도 90만원이 들어온다는 의미였는데
    오해하셨다면 전부 제 탓입니다. 이 죽일놈의 언어중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