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Comment ' 12

  • 작성자
    절망했....
    작성일
    10.04.29 18:17
    No. 1

    데미지 제로가 되는게 아니라 잠시는 어느정도 막을수 있게 되는거죠.
    그 시간 동안에 사다인을 끝내지 못하면 다 죽게 되는거고요.
    남궁인은 환우오천존급의 무공을 읽히고 있다고 봅니다. 아마도 초연검(무상검결)이겠죠. 남궁세가의 독문절기이기도 하니.
    동급의 고수가 절연체를 가지고 있으면 사다인의 약점은 큰 문제가 되기 있겠지만 하수라면 문제가 될껀 없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5 모노레
    작성일
    10.04.29 19:42
    No. 2

    무상검결이었다면 사람들이 눈치챗겟죠 명색이 환우오천존 무공인데 말이죠 그 삼천지란때 소실된거같던데 남궁세가의 독문절기라기보다는 금혁이 준거였죠 무상검결 가지고있엇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묘일신
    작성일
    10.04.30 00:29
    No. 3

    독에다가 대나무+인원빨+남궁인이다 보니 밀린것 같은데 아마 독이나 대나무 가 없었으면 사다인이 관광태웠겠죠
    광해경 4권 보면서 유기문은 어떻게 은하유성검을 배웠는지 그게 제일 궁금하더라구요. 제일 유력한 용의선상으로는 불이곡의 노인들로 생각하고 있는데 설마 비급이라도 있는건 아닌지 생각이 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5 모노레
    작성일
    10.04.30 01:43
    No. 4

    묘일신// 말 그대로 어느날 유성을 봐서 만든겁니다 무무진경보면 그 어금령인가 아닌데.. 어쨋든 진경의 어느정도 경지에 다다르면 무언가를 보는데 그때 본걸 검으로 나타냅니다 진명은 바람을 봤고 설유란은 은하를 봤엇습니다 그래서 은하유성검의 탄생이죠 유기문또한 은하를 봐서 은하유성검 탄생인거죠 게다가 비급을 만들어서 쓴다고해도 선천지기 없으면 별로 좋은 무공도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십만마도의 목가장인데요 무선이 자신의 절기를 주었엇지만 별 대단한 가문도 아니엿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절망했....
    작성일
    10.04.30 07:58
    No. 5

    불고기꼬치//남궁세가의 독문절기였는데 금혁이 받은겁니다.
    북궁세가는 원래 혼원신공의 1도와 무상검결의 1검을 동시에 쓰는 가문입니다.
    만마궁주와 남궁세가주 둘의 무공의 근원이 삼천 중 검궁 북궁세가이죠.
    그리고 무선의 절기인 풍령비와 장법은 대단한 무공이 맞습니다. 단지 목가장주의 자질이 떨어져서 7성인가 8성정도 밖에 안 된게 문제였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묘일신
    작성일
    10.04.30 08:50
    No. 6

    불고기꼬치// 책에서 유기문의 진정한 힘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즉 은하유성검은 맛보기 정도 이죠. 그리고 일화는 은화를 본 것이 아니라 유성을 본 것이죠.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뭔가 큰 절기를 숨기고 있는 뉘앙스를 풍겨서 그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무무진경에서 보면 단리극과 일화는 한판 붙게 되는데 그 장면을 불이곡 노인들이 보게되는게 전 그게 혹시나 불이곡 노인들이 일화의 은하유성검 보고 기록해 놓은것을 유기문이 보지 않났나 싶어서 그런 말이 나온것입니다. 큰 절기로 난화수나 풍령비 같은 것을 숨기고 있을 수 도 있으닌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절망했....
    작성일
    10.04.30 09:57
    No. 7

    불고기꼬치//산화수와 풍령비가 강호일절의 무공인건 맞죠. 하지만 자질이 안 좋으면 완성할수 없다는게 문제죠.
    그리고 생각해보면 산화수는 무선이 창안한게 아니라 곡의 무공 중 하나군요. 그래도 완성하게 되면 10대고수 최상급은 될 수 있는 무학입니다.
    그걸 무선의 제자인 사신이 보여줬죠.

    묘일신님//비급이 아니라 일화도 무무진경을 익힌 고수이죠.
    무무진경을 익히게 되면 은하유성검이나 오행기, 공령의 길들이 제시되는거 같더군요.
    하나의 책을 해석하는 방식이 다르더라도 어느정도는 닮아갈 수 있는거겠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5 모노레
    작성일
    10.04.30 15:18
    No. 8

    절망햇// 사신도 진경을 익힌 사람일텐데요? 아 그러고보니 광해경에서 그 표국은 망햇나요? 십만마도에서 표왕죽으면서 한번에 망한건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묘일신
    작성일
    10.04.30 15:45
    No. 9

    절망했....// 뭔가 오해하신것 같은데요 제일위에 있는 댓글에 나오는 비급은 유기문이 은하유성검을 쓰는것을 보고 불이곡에 일존과 싸운 일화의 은하유성검이 기록되어져서 유기문이 배우지 않았나 해서 적은것입니다.
    그리고 무무진경을 익히고 공령에 도달해도 깨달음 없이는 은하유성검이나 오행기는 쓸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풍령비나 은하유성검, 오행기(계수, 경금, 무토, 이화, 을목)을 본격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하문이 단 으로 변해야 되는데 그 계기가 중문의 개연 깨달음이죠. 거기서 환마는 오행으로 만환을 혈마는 뇌(낙뢰)로 극패를 천마는 유속을 일화는 오행+유성 진명은 천마와 비슷한 유속을 보고 깨달음을 얻어서 금령으로 가게 되죠 그래서 저는 같은 깨달음을 얻지 못한이상 공령에 도달해도 쓰지 못할것이라고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생각해보니 유기문 진짜 괴물이 맞더군요. 은하유성검은 의형검강으로 무제가 마지막에 창안한 의형강륜과 같은 경지인것 같더군요. 근데 그것이 맛보기이면 강호비가행을 뺀 무무월드에서 손가락 5개 안에 들어 가는 괴물이네요 마지막으로 제가 생각하는 무무월드에 괴물베스트 five(강호비가행까지 도입하면 머리 아파서 뺐습니다) 1위는 망량
    2위는 성모 3위는 반여강 4위는 무선 5위는 유기문이 될 듯 합니다.(망량이 말한 3명중에서 무선이 제일 떨어졌고 반여강은 나왔고 마지막 한명은 성모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곰탱이퓨
    작성일
    10.04.30 17:42
    No. 10

    유기문 킹왕짱 무선보다 쎄보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절망했....
    작성일
    10.05.01 07:34
    No. 11

    묘일신//무슨 말을 하는건지는 알고 있습니다만 무무진경을 읽히면서 제시되는 깨달음이 그 공령, 오행기, 은하유성검 류라는 겁니다.
    은하유성검은 의형강륜과 같은 경지라고 보기엔 급이 낮은 편이죠. 도제보다 일도보다 아래니까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묘일신
    작성일
    10.05.01 09:17
    No. 12

    절망했....// 오행기,은하유성검은 깨달아 지는것이 아니라 중문을 열기 위해서 오행기와 은하유성검에 맞는 깨달음을 알아야 만들수도 쓸 수 도 있는거죠. 진명같은 경우는 일화에게 모든것을 들어서 쓸 수 있겠지만 암제나 초노는 오행기를 쓸 수 있지만 유성에 대해 생각해본적 없으니 은하유성검은 쓸 수 없는것입니다. 그리고 공령은 산 꼭대기라서 깨달음은 비슷하겠죠
    광해경에서 무제의 비급에서 마지막 심득은 의형강륜이라고 나옵니다.
    광해경과 무제에 비급에서는 의형검강에 대해 말은 똑같습니다. 의지로 검강을 만들어 낸다. 일화는 검을 무제는 팔비신륜을 만들어 냈죠.
    그리고 일화는 일존과 막상막하라고 생갑됩니다. 이유는 일존이 자신의 온 힘을 다해서 상대했지만 일화는 죽지 않았죠. 일존의 화령은 단점이 있는데 한번쓰고 나면 그 텀이 길다는 것이죠. 즉 일화가 진짜로 마음먹고 붙어보면 저도 모르겠습니다. 최소한 지지 않을정도라는것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