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Comment ' 9

  • 작성자
    지문
    작성일
    09.08.06 02:37
    No. 1

    비평란에 올리시는게 더 좋지않을까 하는생각이 드네요 ㅎ
    저 중에선 샤를마뉴 대제는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지만; 카롤루스 대제로 세계사교과서에서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머나먼고향
    작성일
    09.08.06 03:05
    No. 2

    무협소설에서 흔히 나오는게 천축인데 천축이라면 인도를 말하는 것인데 달마가 벽안이니... 아니면 벽안의 천축인이니 이런말이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10여년전 인도에 직접 가보기전까지는 인도인이 푸른눈인가? 하고 생각도 했었습니다. 웬걸 인도인들이 갈색이나 검은 눈이더군요.
    특히 구무협에는 상당히 심한 오류가 많습니다.진시황이나 제갈량이나 달마나 장삼봉이나 양귀비나 무조건 천년전의 인물로 나왔습니다.좀 오래 되었다 싶으면 대충 천년전의 인물이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黑月舞
    작성일
    09.08.06 11:46
    No. 3

    카롤루스 대제 혹은 샤를 대제가 옳은 표현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1 자쿠
    작성일
    09.08.06 14:09
    No. 4

    너무신경쓰면 안되용 ㅋㅋㅋ 발음에 대해서 신경쓰면 쓸수록 바보가 되어버릴수 있습니다. 가령 영어로 타이거가 독일어로 티거가 되고 우리가 아는 다윗대왕의 이름 역시 다비드, 데이빗으로 발음되어 집니다. 즉 라틴어를 바탕으로 하는 수많은 언어가 각은 철자라도 다른 언어로 쓰여질수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헤라클레스라고 발음하는 그리스 영웅도 미국에서는 허큘리스라고 말하지요.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더 등등 이러한 변화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러니 너무 구별하지 마세요. 따지다 보면 한계가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1 자쿠
    작성일
    09.08.06 14:18
    No. 5

    라틴어로만 따지면 틀렸지만 영어로 보면 맞을수도 있는 것입니다. 같은 예로 카이사르라는 고대 라틴어가 르네상스시기 이탈리아어로는 체사르, 독일어로는 카이저, 영어로 시저가 되어 버립니다. 그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징벌자
    작성일
    09.08.07 00:09
    No. 6

    별생각없이 글과 댓글을 읽으며..
    옳은지 그른지는 모르겟지만, 참 똑똑한분들 많구나..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HAWX
    작성일
    09.08.07 12:04
    No. 7

    별자리 어미 변화는 저도 몰랐던 거네요 -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면피용
    작성일
    09.08.07 18:27
    No. 8

    와~ 좋은 것 배웠습니다. 작가분들이 좀 더 신경써주시면 좋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별작
    작성일
    09.08.07 18:51
    No. 9

    작가들이 이런 거 신경써서 써주면 좋겠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