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Comment ' 7

  • 작성자
    Lv.98 ga******
    작성일
    09.06.17 05:04
    No. 1

    은서문은 소성. 편법으로 급속히 무공을 키웠지만 지금 혼란을 겪고있죠. 은서문이 숭인문 사조에게 묻죠. 자신의 수준을. 그때 사조가 이 혼란을 극복한다면 소성이 될 거라고 답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코질라
    작성일
    09.06.17 05:24
    No. 2

    천지회 멤버들은 따지기 무지 귀찮죠.
    필수 아이템인 견진아단이 워낙 캐사기라...
    어떻게 보면 대성 초입같은데 좀 다르게 보면 소성급 이렇게 바뀌는 지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7 천라
    작성일
    09.06.17 08:26
    No. 3

    은서문의 초성이 라는 것은 무공의 강함이 아니라, 무공의 단계에서 초성 아닐까요. 자신의 한계(두려움)을 극복하는게 초성 이고, 사물과 소통하는 단계가 중성이고 -- 그냥 종염방의 중성 진입 장면을 보고 생각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maya
    작성일
    09.06.17 08:37
    No. 4

    견진아단이 변수입니다. 사기아이템 맞는것 같구요. 제생각엔 마치 버서커모드 같습니다. 뿌리의 든든함이 없이 겉자란 형태지요. 천지회 똘마니들이 어찌보면 절정고수들 같지만 진짜 깨달음을 통해 절정을 이룩한 고수들한테는 한순간 쓸릴 수 있는 그런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후회는늦다
    작성일
    09.06.17 16:32
    No. 5

    은서문의 소성이라는 것은 그저 상징적이라고 봅니다. 무공 자체는 대성급이지만, 꺠달음이 없이, 견진아단에 의한것이었고, 지금 겪고 있는 혼란을 극복하게 되면, 숭인문의 기준으로 볼땐 이제 한단계 넘어선 소성이라고 보는거고요. 그렇다고 무공까지 소성은 아닐테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얼라리
    작성일
    09.06.17 16:53
    No. 6

    월 할아버지 께서 은서문한테 소성을 달성할 거라는 한마디를 하셨다고 은서문=약하다 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시는 것 같은데, 은서문은 장초인한테 패한 후 계속 약해지고 있는 정도지, 소성이라고 단정할 순 없죠~

    그건 그렇고, 이젠 숭인문에서 나오는 무공 등급에 대해서 뭐라고 말 할 수가 없네요... 밑에 문원님 글에서도 나름 열심히 페이지 까지 찾아서 댓글을 달았는데, 돌아오는 반응이 영~ 별로라서... ^^;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마디 하자면, 이 글은... 감상인가요? 게시판 운용에 대해선 잘 모르겠지만... 글 내용으로 보자면 감상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작성일
    09.06.17 17:56
    No. 7

    대성, 중성, 소성은 말 그대로 깨달음의 차이죠. 견진아단에 의한 깨달음은 이름과는 다른 거짓된 깨달음이기에 애초부터 소성이라 부를 수도 없는거구요. 6권 월노인의 이야기는 강함을 논한게 아닌 그 깨달음의 차이를 논한 겁니다. 견진아단에 의해 거짓된 깨달음으로 대성까지 근접했던(실제로 장초인과의 겨룸에서 알 수 있던 부분이죠) 것이 말 그대로 진짜를 만남으로 인해 허물어지고 소성에 든다는 것이죠. 그리고 숭인공 자체가 각자 깨닫는 것이 다릅니다. 그냥 대략적인 기준에서 나뉘는거지 딱 정해져서 나뉘는게 아닌거죠. 실제로 소성인 도무백 같은 경우 중성의 고수와 싸워도 쉽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죠. 즉, 같은 대성, 중성, 소성이라도 개인에 의한 차이는 존재하고 자로 재듯 나뉘는건 아니란거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