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3

  • 작성자
    Lv.30 반도외교부
    작성일
    25.02.07 16:54
    No. 1

    중국도 챗봇처럼 우월한 ai 기술을 보여줬기 때문이죠

    챗봇과 견주어도 나쁘지 않은 기술을
    수십억 단위로 만들었다고 하네요

    ai 기술을 만들려면 1000억 이상이 든다고 하는데

    중국이 인구빨로 각 잡고 100억씩 딱딱 들여서
    챗봇 10개급의 기술을 만들 수 있는 충격이죠


    한국보단 미국에서 더 충격이 큰 것 같습니다
    미중전은 지면 안되는 목숨줄이 달려있습니다

    미국은 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확보하고 싶어합니다

    중국이 짱짱해져서 ai 기술로 더 값싸게 먹고 들어간다면
    중국의 영향력을 막기 힘들어지는거죠


    자유민주주의에 대적하는 권위주의 경제체제라서
    미국 말을 안 들을 것 같고

    실제로 미국의 의견과 반대되는 행보를 보입니다
    (미국-반 베네수엘라, 중국-친 베네수엘라)

    중국은 함부로 건들 수 없는 군사 대국이고

    경제사회적으로도 직간접적인
    패권 경쟁을 벌이는 중이죠

    코로나19로 곤혹을 치르는 것도 있구요


    그래서 미국은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중국과 지구촌 경제 싸움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한편, 한국도 딥시크 검열에 동참했는데
    개인정보 유출 때문입니다

    지금 한국이 정치 상황이 좋지 못한데도
    검열에 들어간 것을 보면 정부부처에서도 심각하게 보는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水流花開
    작성일
    25.02.07 18:51
    No. 2

    2025년의 전망에 "AI에 의한 맞춤형 피싱"도 들어가 있더군요. 이 전에도 피싱에 당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앞으로 개인정보 유출과 더불어 더욱 정교해진 피싱에 당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반도외교부
    작성일
    25.02.08 04:21
    No. 3

    아 들어봤습니다, 가족 목소리처럼 속여서 돈을 뜯는다던가..

    그러한 사례를 보면 ai 기술은 부정적인 요소도 크겠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