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4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5.05.14 00:44
    No. 1

    능력있는 분이 등장하실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5.14 00:45
    No. 2

    ㅇㅅㅇ;;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아칵
    작성일
    15.05.14 01:07
    No. 3

    이런건 구글이 아니라 도서관을 가셔야 합니다. 강의 계획서 보면 주교재 말고 참고 교재를 살펴보시면 공식이 있을겁니다. 아니면 선배나 친구들에게 물어보면 됩니다. 단체 카톡에 물어보면 빨리 찾을 수 있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도파뮤즈
    작성일
    15.05.14 00:56
    No. 4

    은나노 금나노... 죄송함다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5.14 01:00
    No. 5
  • 작성자
    Lv.55 이경훈
    작성일
    15.05.14 01:58
    No. 6

    무슨 말이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탈퇴계정]
    작성일
    15.05.14 05:23
    No. 7

    E(에너지, 에너지 밴드갭)=hv(v= '브이'가 아니고 '누'라고 읽는 그리스 문자, 진동수), ν=c(빛의 속도)/λ('람다'라고 읽는 그리스 문자, 파장), UV spectrophotometer에서 측정하는 값들 중에서 Peak들의 위치 확인 후, 그 Peak들의 파장값을 확인 하셔서 v값을 구하시고 h('하'라고 읽는 플랑크상수)를 이용하셔서 에너지 값을 계산하시면 그것이 밴드갭 에너지가 됩니다. ^^ peak가 명확하지 않으면 에너지 차이가 크지 않은 여러 개의 밴드갭이 섞여있거나 에너지 준위가 안정되지 않다고 볼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공명을 표현할 수 있는 함수로 피팅해야 하는 것이라서 그것까지 교수님께서 원하시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후자는 원자들이 이루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파악할 수 있으실텐데, 학부생이시면 교수님께서 Peak를 찾고 밴드갭을 찾는 수준까지만을 요구하실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대학원생이시면 피팅하는 정도 까지는 하셔야 할 듯 하고요. ^^;; 박사과정이시면 은나노 입자의 원자들이 만들어 내는 구조 등을 추측하셔서 브로드한 Peak들 까지 분석을 해 내시는 것이 인정받는 지름길.....(자유전자를 가진 금속에서의 밴드 갭 분석 모델들이 있을 거에요. ^^;;) 전 재료 전공은 아니고 물리 전공입니다. 단위나 공식 또는 문자들에서 차이가 있을 수도..... ^^;; 학부생이라는 가정하에 맨 앞 설명들을 달았으니 내가 그런것도 모를까봐? 하고 기분상해 하지 않으셨으면.....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탈퇴계정]
    작성일
    15.05.14 06:00
    No. 8

    ForDest님이 사용하신 측정장비가 흡광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비인 듯 합니다. 파장 하나하나씩 바꿔가면서 측정해줘야 하는 ...... 엄청 불편한데..... ForDest님께서 석사과정 이상이시라면 측정기 바꿔 달라고 하셔야 할 듯.... 600~700만원 정도면 수초 안에 uv에서 ir영역까지 0.1nm 간격으로 측정해주는 장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업무 효율에 관련된 것이니 필히 요청하세요.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탈퇴계정]
    작성일
    15.05.14 06:26
    No. 9

    아... 소재쪽이라고 하셨으니 전자볼트 단위로 에너지를 얘기하는 것을 선호하시겠네요 1240(1239.***)/λ를 하시고 뒤에 eV만 써 주시면 되십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탈퇴계정]
    작성일
    15.05.14 07:24
    No. 10

    ^^;; 엑셀파일을 뒤늦게 확인 했네요. 그렇게 듬성듬성 측정하시면 안되고요. 1nm 단위로 측정하세요. ^^ Abs가 절대값을 의미하는지 흡수를 의미하는지 모르겠지만, 측정값이니까 절대값을 따로 표기할 필요는 없을 테니, 흡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라고 가정하고 얘기할게요. 흡수를 의미한다면 Peak가 있는 부분이 앞에 설명했던 식의 파장 값이 될 거고, 모드는 흡수로 두었어도 투과율을 측정한 것이라면 Valley가 있는 부분이 밴드갭을 나타내는 파장이 될 거예요. 여러 개의 광자에 의해 전자가 높은 에너지 레벨로 올라갈 만큼 spectrophotometer의 광원이 쎄지 않을 테니까요.
    대략 봤는데, test1은 450nm부근에서 벨리가 있고, test2는 400nm와 450nm 사이에, test3도 400nm와 450nm사이에 있는데, test2보다는 test3의 경우가 400nm에 더 가까이에 벨리가 있네요. Ag Speherical NPs의 경우를 보면 다른 것들과는 달리 역상으로 되있는 것이 Abs가 절대값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측정기에서 내부적으로 연산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절대값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서.... ^^;;) 그래서 test1,2,3이나 Ag Speherical NPs는 형광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 장비의 Abs 모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지 않으니 확답은 드릴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흡수율 측정 모드에서 투과율 수치를 측정 하셨다면 test1,2,3은 벨리가 있는 위치의 파장이 에너지 밴드갭에 해당하고, Ag Speherical NPs는 Peak위치에 에너지 밴드갭이 있는 겁니다. 세 테스트들 중에 테스트 2, 3이 Ag Speherical NPs과 유사한 곳에 밴드갭이 있게 되네요.
    Ag Speherical NPs가 형광체라는 제 예상이 맞고, Ag Speherical NPs가 비교군이라면 테스트 2가 가장 근사한 곳에 밴드갭이 있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추측이 난무하는 답변이었습니다. 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8 Emc
    작성일
    15.05.14 07:34
    No. 11

    저걸 수동으로 일일히 조작해서 그려야 한다면 정말 너무 힘들꺼같은데 말이죠... ㅠㅠ
    재료공학쪽은 다른걸까요 화학물질 성분비나 순도분석할떄는 진짜 기계로 1nm 단위의 그래프피크분석이 안되면 어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8 Emc
    작성일
    15.05.14 07:34
    No. 12

    사실 그게 되어도 섞이면 깔끔하게 안나오니까 또 고생하는게 일인데말이죠 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탈퇴계정]
    작성일
    15.05.14 08:44
    No. 13

    측정기 회사의 홍보력 부족이지싶네요. ㅋ~ 관련 측정기 검색해 보면 죄다 겉보기 번지르르한 그 분야에 특화된 측정기만 나와요. ㅜㅜ 분광기 장비에 익숙하지 않으면 보통 장비 이름을 보고 사시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일하기 싫을 때 시간 때우기나 머리가 복잡할 때 머리 비우기에는 그런 장비가 좋을것 같아요. 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Emc
    작성일
    15.05.14 05:46
    No. 14

    우왕... 피크값을 액셀로 찾는군요... 저희 실험실에서는 그냥 기계로 그래프가 나왔었는데(...)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