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9

  • 작성자
    Lv.25 Scintill..
    작성일
    15.05.09 15:58
    No. 1

    마법이 등장하는 판타지에는 중세를 고증하는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3 HolyGrou..
    작성일
    15.05.09 16:04
    No. 2

    무의미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마법이 등장하는 판타지니 뭐니 해도 그 세계관의 근간이 되는건 인간이죠. 비록 현실의 인간과는 그 능력이 다를지는 몰라도 적어도 비교대상은 되기때문입니다.
    판타지라고 해서 아무런 개연성없이 이뤄지는건 아니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Scintill..
    작성일
    15.05.09 16:17
    No. 3

    제가 말하는 무의미함은 마법이 있음에도 중세의 시대상을 반영하려는 그 고증입니다.

    오히려 마법이 있는 세계에 중세 시대상을 도입하는 게 개연성을 파괴하는 결과를 불러올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09 16:35
    No. 4

    케이스 바이 케이스지요. 중세의 시대상과 잘 어우러질 수 있는 마법도 있습니다. 애초에 오해의 여지가 너무 많은 말씀을 하신 게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09 16:06
    No. 5

    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만 어떤 말씀을 하시려는지는 잘 알기 때문에 굳이 길게 대댓글은 하지 않을게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5.05.09 16:54
    No. 6

    기사가 말에서 떨어졌을 때 무거운 갑옷 때문에 일어서지 못한 유일한 시기는 14세기 중반인데, 풀 메일(full mail)에서 플레이트 아머(plate armor)로 넘어가는 과도기였던 이 시기에는 관습적으로 이 두 갑옷을 겹쳐 입었기 때문이다 ..

    아래글에서 댓글을 달았지만 검색하면 바로 나오네요. 풀플레이트메일의 무게는 약 23kg전후였고, 이정도만 되어도 제작기술이 미흡하면 상당히 무겁고 행동이 버거울수 밖에 없는데, 잘 만들어진 경우에는 무게를 전신으로 분산시켜 행동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고 하는군요. 관습적으로 체인메일과 겹쳐 있었던 14세기 무렵에는 합이 50kg이 넘었을 테니 상당히 무거울 수 밖에 없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09 17:34
    No. 7

    제 글은 '판금갑옷의 진실'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는 바는 아니었습니다. 어쨌든 문학에서 소재로 삼을 때 그 세계에서 어떤 식으로 과장할 수 있다는 것도 한 번쯤 생각해 보자는 이야기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5 하영민
    작성일
    15.05.09 23:03
    No. 8

    땅에서 기민하게 움직일 수는 있겠지만
    전력질주하는 말에서 그걸 입고 떨어지는 건
    완전히 별개의 문제라고 봅니다. ㅇㅅㅇ;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10 00:51
    No. 9

    그러고보니 굳이 '전력질주하는' 말에서 떨어질 것도 없이 그냥 말에서 떨어진다는 것만으로도 일어설 수 없을 지경이 되기 쉽겠는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5 하영민
    작성일
    15.05.10 03:35
    No. 10

    그렇지요.
    현대의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보호장비를 갖추고 말을 타다가도 떨어지면 골절인데..
    그 당시의 20~40kg짜리 장비들을 갖춘 채 떨어지면, 그것도 균형을 잃고 떨어지면 그자리에서 즉사할 가능성도 있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5 하영민
    작성일
    15.05.10 03:38
    No. 11

    괜히 등자가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로 획기적인 도구인게 아니지요.
    어릴 때부터 십수년간 마상기술과 검술을 연마한 기사조차도,
    말이 전력질주하다가 펄쩍 뛰는 바람에 떨어지면 그자리에서 즉사할 수도 있으니..
    [당시 의료기술까지 생각해보면...]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 竹槍
    작성일
    15.05.10 14:32
    No. 12

    등자에 발이걸려서 완전히낙마하지못하고 질질끌려가면 더끔살 ㅜㅜ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 竹槍
    작성일
    15.05.10 14:36
    No. 13

    https://www.youtube.com/watch?v=Pz7naZ08Jd4
    이동영상을보면 14세기 플레이트 앤 메일도 그다지 무겁지는 않았던모양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5.05.09 17:02
    No. 14

    단순합니다. 영화에서 그렇게 표현하니. 사람들이 그렇게 받아 들인거. 사실과 상관없이 사람들은 영화나 드라마의 내용을 믿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민비를 예로 들수 있죠.. 공산당이 싫어요 했던 아이도 있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09 17:35
    No. 15

    글을 쓰는 입장이라면 이런 소재를 어떤 식으로 표현할지를 더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작가'로서의 관점으로 말이죠.
    별개로 이런 이야기들이 오가는 것만으로도 재미는 있어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6 태윤(泰潤)
    작성일
    15.05.10 12:01
    No. 16

    기사가 마나를 다룰줄 안다면 가능할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여울람
    작성일
    15.05.10 13:42
    No. 17

    플레이트 아머 입고 달리는 말에서 떨어지는 영상. (40초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WMuNXWFPewg
    어느정도 수준으로 달리는 말에서는 괜찮은 듯 싶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 竹槍
    작성일
    15.05.10 14:31
    No. 18

    역사적기록으로도 낙마 부상때문에 골골대다가 죽은사람도 몇 있고
    정몽주가 이성계일파 제거하려고 노리다가 실행한 것도 이성계가 사냥하다 낙마했고 이 부상이 심하다고 판단했기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론 부상이 별거 아니었는지 아니면 부상을 참았는지 바로 개경으로 귀환해버려서 정몽주로서는 암담해졌습니다만. 어쨌든 낙마하면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겠죠.
    게다가 문제는 기사가 낙마할 경우 대부분의 상황이 전쟁터에서 돌격하다가 라거나 한창 싸우고 있을때라거나 라는거죠. 혼자말달리는것도아니고 열을지어서 달리거나 아니면 반대편에서 오는 적기병대와 창을맞대고 싸운다는건데 이상태에서 떨어지면 뒤따라오는 아군말발굽에 짓밟히거나 아니면 반대편에서달려오는 적의 말발굽에 짓밟히거나 그도아니면 적진한가운데에서 낙마해서 적병사들한테 창칼소나기를 맞거나 라는경우라는건데 어느쪽이든 목숨부지하긴 힘들듯. 그래서 안장에 몸을 묶고 나가는 경우도 왕왕있었죠. 이경우도 문제가 있긴했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5.10 14:34
    No. 19

    영상 잘 봤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