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3

  • 작성자
    Lv.17 두별자리
    작성일
    15.05.01 17:17
    No. 1

    ....구구절절 옳으신 말씀입니다. 하지만 법인은 초창기에는 책임은 많고 해야 할 것 투성이죠. 그래서 그것들을 정상화시키면 어느새 인물의 교체 시기가 다가옵니다.(고인 물은 구정물이될 뿐이니까요.) 게다가 본인의 글도 써야 합니다.

    과연 하실분이 몇 분이나 있으며, 또 모두를 만족시킬 능력이 있는 사람이 있을 지도 의문이네요 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두별자리
    작성일
    15.05.01 17:25
    No. 2

    만약 법인을 한다면, 그런 분들이 뜻을 모아 열과 성을 다한다면 자연스럽게 그렇게 흘러갈 예정보다 대충 20~30년은 앞당겨 선진 문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저처럼 혼자서 독학으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할 작가들에게는 비가 내릴 때 필요한 우산처럼 도움을 줄 수 있겠네요.

    좋은 의견 잘 봤습니다. 독자, 편집자, 작가. 이렇게 원할한 싸이클이 생기기 위해서라도 법인은 반드시 필요하며 법인이 오로지 작가의 입장만을 대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 편집자 분들도 추대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 분석가
    작성일
    15.05.01 17:44
    No. 3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주 목적이 합법적인(세금포탈이 아니고) 절세와
    수익율 상승 입니다.
    귀찮으면 이것만 해도 되고요
    적성과 여유가 있으면 발언권이나 영향력 강화해도 되지요
    즉 이것은 선택사양 입니다.
    법인 이라고 해서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신데
    개인 법인은 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정보 노하우 이런것을 얻기 힘들었고 다 상담비나 조언료 를 줘야 했지만
    정부에서 지금은 공짜로 다 제공합니다.
    예전에는 찾기도 얻기도 어렵지만 지금은 요령만 알면
    누구라도 얻을수 있는 차이점이 있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수수림
    작성일
    15.05.01 17:38
    No. 4

    내는 세금은 싸질지 몰라도 소유 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인지하셔야 할 것 같네요.
    법인 소득이나 재산을 개인이 전용하면 횡령입니다.
    물론 안 걸리면 땡이지만 걸리면...
    어쩌면 그냥 세금 내는 게 이득일 지도요.
    인세 부분은 비정기적 수입이라 소득세 구조가 좀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업종 분류에 따른 기본 공제도 받을 테고요.
    그리고 월 2천이 순소득이면 월급장이 연봉 3억이 훨씬 넘는 정도입니다.
    당연히 세금 좀 내야겠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낙시하
    작성일
    15.05.01 22:58
    No. 5

    합법적으로 줄이자는데 취지가있는거같네요 합법적으로 절세하는게 잘못은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엔띠
    작성일
    15.05.01 17:40
    No. 6
  • 답글
    작성자
    Lv.9 분석가
    작성일
    15.05.01 17:53
    No. 7

    (수정 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수수림
    작성일
    15.05.01 17:40
    No. 8

    아! 그리고 법인 소득을 합법적으로 월급이나 혹은 배당 식의 형태로 개인이 받으면 그만큼 세금 따로 내야 합니다. 특히 인세는 3.3%의 원천 징수를 하기 때문에 매출을 속일 수도 없죠.
    이래저래 세금 피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정재훈
    작성일
    15.05.01 18:00
    No. 9

    김&장 이나 각종 인터넷강의업체, 서울우유, 여러 영농조합처럼 조합형태로 가시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관련 교육도 마찬가지로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시행하고요. 위 예들을 보시면 무언가 이득이 있어서 조합형태로 간다는 것을 짐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 솔직히 문피아 차원에서 농민들이 모여 영농조합이 되듯이 조합을 꾸리는 것도 좋을텐데요. 수수림님이 지적하신 바처럼 소득세는 피할 수 없으나 소득을 법인이나 조합에 유보해 여러해동안 놓았다가 받으면 세금절감이 큽니다. 1년 10억 신고와 1년 1억 신고를 10년하는 것의 세금 차이는 무척 큽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수수림
    작성일
    15.05.01 18:20
    No. 10

    이 경우 문제가 일인이 모든 수익을 발생시키고 형식적 법인이라면 문제가 없을 텐데 여럿이 수익을 발생시키고 이를 유보한다면 만에 하나 돈을 들고.... 자금 관리를 과연 누가 하느냐.
    믿을 수 있는냐. 이게 문제가 되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주판알
    작성일
    15.05.01 18:29
    No. 11

    서울 마을공동체도 괜찮아 보이던데요. 서울시에서 지원도 잘해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itriplee
    작성일
    15.05.01 18:34
    No. 12

    1인 법인 나머지는 다 바지로하고. 개인경비와 업무경비는 애매모호한데 다들 대개 사업경비로 처리하고, 작가는 소득이 들쭉 날쭉하니까 매달 받는 식으로 처리를 잘하고. 법인은 할수만 있으면 해도 좋은데, 여러 작가가 모여서 -아무리 친한 사이라고 해도- 하는건 안좋은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두별자리
    작성일
    15.05.01 20:26
    No. 13

    맞아요. 특히 돈 문제 같은건 처리할 수 있을 때 처리할 수 있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너무 돈 관련 얘기에만 주제가 몰린 감이 있는데 이는 그만큼 이를 다루는 것이 크다고 느끼시기 때문이 아닌 가 싶습니다. 그런 일은 개인적으로나 공적으로나 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는 예전 글에서도 밝혔듯이 공동체, 즉 지자체가 이상적인 정치의 형태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요. 그 롤 모델인 FC 바르셀로나를 소설내 주인공이 뛰는 팀으로 삼은 것도 그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걸 얘기만 할 것인지, 혹은 실행에 옮길 것인지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필요하겠지요.

    그럼 모두 굿밤 되시길^^!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