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2

  •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5.03.15 01:29
    No. 1

    옳은 지적입니다.
    하지만 이 글을 읽어야 할 - 기본 설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게으른 작가들은 아마도 이런 글을 읽지 않을 것이고, 이 정도는 잘 지켜주는 분들에게는 이 글이 필요 없지요. 안타깝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心境
    작성일
    15.03.15 01:30
    No. 2

    축구 선수들이 공 찰 때마다 기름이라도 나와서 돈을 많이 받는 게 아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시스나에
    작성일
    15.03.15 01:47
    No. 3

    가끔은 판타지지만 너무 어의없는글은 화가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3.15 01:53
    No. 4

    어떤 자원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구 개발 부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텐데 소설에선 몬스터가 나오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국가에서 돈을 헌납해 주시죠. 게다가 그 금액이라는게 작가님들 경제관념을 의심하게 만들 정도로 터무니 없는... (일반 중급규모의 기업 N/I가 억대에서 많아봐야 십억대초반 선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3.15 02:20
    No. 5

    초능력자가 몬스터의 창궐을 막아준다면, 큰 가치가 없어도 사주는 게 맞지 않을까요?
    몬스터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or 초능력자에게 쥐어주는 비용.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5.03.15 02:24
    No. 6

    그건 공공재의 개념이라서 거의 불가능할 듯 해요. 막말로 다죽어도 자기만 살면 되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 돈이 있다면 차라리 그 돈으로 비싼 헌터를 고용해서 자기앞에 나타나는 놈만 죽이게 시킬텐데요.ㅎㅎ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3.15 02:34
    No. 7

    레이드물은 눈팅하다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개인이 사주는 경우는 못본 것 같은데요. 협회니 뭐니 하는 것들도 대부분 국가에서 관리하는 식으로 묘사되는 게 대부분이고요. 그게 아니더라도 초능력자 단체인데, 그 입지면 국가와 교섭하고도 남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지나가는2
    작성일
    15.03.15 08:59
    No. 8

    한 번에 수십 억, 수백 억씩 몬스터를 잡을 때마다 퍼주는 데 그런 헌터가 한 두 사람도 아니고 현재 세계 경제 규모로는 불가능하겠지요. 그런 코어든 핵이든 부산물이든, 입수한 다음에 공정해서 상품화하거나 에너지화 해서 판매하는 게 하루 이틀 사이에 되는 것도 아닐 텐데, 헌터들이 몬스터를 잡자 마자 입금이 착착 이루어지는 건 말도 안 됨. 아무리 국가 기관이라도 그런 현금을 조달할 여력이 있을리는 없을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니나노
    작성일
    15.03.15 10:21
    No. 9

    나귀족 이후로 작가님들 경제개념이 좀 이상해 진 것 같아요.
    무조건 갑질로 연결하려들고, 초반만 넘기면 몇천억은 우습죠.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4 wnsdlwns..
    작성일
    15.03.15 11:47
    No. 10

    너무 흔한 설정이고 생각도 없이 쓰는 작가도 많죠. 레이드물이 흔하고 그냥 넘어가서 그런가... 저도 보면서 항상 거슬리는부분이고 동감합니다. 기본이 수억에 수십수백억까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클라우드스
    작성일
    15.03.15 13:20
    No. 11

    남들도 그렇게 쓰니까 그게 당연하다 생각하고 쓰는 모양이에요.
    게임처럼 생각하고 그걸 현실이라는 껍데기에 덧씌워 현대판타지라는 장르를 쓰는 분들이 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가네스
    작성일
    15.03.15 13:35
    No. 12

    솔직히 판타지라는게 허구에 가깝기 때문에 어느정도 용인하고 보는 부분이 많지만 적어도 읽을때 그럴듯한 설득력과 납득이 가는 설명이 이어져야 하는데 그냥 밑도 끝도없는 내용은 애초에 읽히지가 않습니다. 적어도 소설내에 개연성은 있어야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