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22

  • 작성자
    Lv.17 夢ster
    작성일
    15.03.04 20:06
    No. 1

    스마트폰은 중계기지 무너지면 못쓰지만
    라디오는 전파가 통과 할 수만 있으면 되지요
    재난이 어떤 재난인지 모르지만
    지진이나 해일등
    도심 시설 파괴가 심하고 특히 이런 재난시 전력시설 파괴에 취약한 한국에서는
    라디오가 상당히 유용할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 호랑선생
    작성일
    15.03.04 20:09
    No. 2

    그것도 그렇긴 하지만 아무래도 스마트폰이 라디오의 상위호환이라는 부분이 가장 문제인것 같아요
    라디오는 라디오 하나의 역할만 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은 데이터를 못쓴다고해도 메모장의 역할, 라디오의 역할, dmb의 역할 등등 다양한 것들을 할 수 있다보니...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7 夢ster
    작성일
    15.03.04 20:10
    No. 3

    아니... 가만 생각 해 보니 제가 착각 했군요...
    스마트폰에 요즘 라디오 수신이 바로 되지 않던가요?

    제가 착각 한듯...
    죄송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 호랑선생
    작성일
    15.03.04 20:14
    No. 4

    헛; ㅋㅋ... 죄송할것까지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5.03.04 21:17
    No. 5

    스맛폰에 공유기가 없다면 라디오 안될건데요. 그거도 데이터 나가는거라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03.04 22:32
    No. 6

    맛폰은 이어폰줄로 안테나 효과를 만들기 때문에 데이터랑 상관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3 야채별
    작성일
    15.03.05 00:07
    No. 7

    스마트폰도 중계기 안 통하고 그냥 라디오 가능해요.
    대부분은 있음.
    울나라 같은 경우는 예전엔 그런 기능 불필요하다고 없앴었는데 요즘은 모르겠네요.
    암튼 다른 나라들 같은 경우엔 재난상황 대비해서 라디오 기능 넣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집파리
    작성일
    15.03.04 20:20
    No. 8

    라디오는 1회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계속 쓸수 있지만 스팟폰은 충전시켜야 되는걸 부각시키면 어떻나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 호랑선생
    작성일
    15.03.04 20:22
    No. 9

    오...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확실히 조난기간이 길어지면 라디오가 훨씬 유리해지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3.04 20:42
    No. 10

    대장 : 전쟁 상황을 알기 위해 라디오를 들어야겠어! 스마트폰 가져와!!
    쫄병 : 대장님, 스마트폰 배터리가 떨어졌습니다.
    대장: 이런! 안되겠군!! 라디오를 찾는 수 밖에!!

    썰렁한 개그물인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5 아라나린
    작성일
    15.03.04 23:57
    No. 11

    ㅋㅋㅋㅋㅋㅋ 너무 웃긴 상황...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르웨느
    작성일
    15.03.04 20:32
    No. 12

    성능을 많이 탑재한 기기일수록 잔고장이 잘 나는 것도 문제인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3.04 20:45
    No. 13

    EMP 폭탄 같은거 앞에서 전자기기는 그냥 여러가지 금속이 들은 플라스틱 덩어리가 되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03.04 20:45
    No. 14

    운석이 떨어지는 거로 가능하.........려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3.04 20:45
    No. 15

    맛폰에 바이러스를 심으시면 해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夢ster
    작성일
    15.03.04 20:55
    No. 16

    베터리가 그렇게 오래 가지 않을걸요?

    재난 상황에서 전력 확보가 과연 쉬울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흉갑기병
    작성일
    15.03.04 20:58
    No. 17

    이런 맥락으로 생각해볼때, 영웅본색2의 장국영 전화부스씬처럼 시절이라서 나올 수 있었던 명장면들이 참 많죠. 그 순간 스마트폰이 있었다면 아디하고 영상통화 했을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슈크림빵이
    작성일
    15.03.04 21:17
    No. 18

    재난 상황에 스맛폰 밧데리 하루도 안가서 아웃. 중계기지가 망가졌다면 그거또한 아웃.. 별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백수마적
    작성일
    15.03.04 22:25
    No. 19

    도시가 폐허가 될 상황이라면 중계국이 멀쩡하리라곤 생각 못하겠는데요. 중계국이 멀쩡하더라도 지진 같은 상황으로 매설된 케이블이 절단나면 그것도 문제가 되겠지요. 라디오든 스마트폰이든 '폐허가 된 도시'에서 찾아아 할 정도면 방송시스템, 전력, 수도, 인터넷, 기타 등등이 멀쩡할거란 기대는 힘들겠지요. 이상 최대한 비관론적으로 생각해봤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가디록™
    작성일
    15.03.05 07:12
    No. 20

    실질적으로 전쟁이 개시되자마자 적국은 특수부대와 미사일을 동원해 우리나라의 국가 기반 시설 및 주요 거점을 파괴합니다(물론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요). 그 기반 시설이라 함은 국회, 청와대, 마포대교 같은 '가'급 시설에서부터 댐, 발전소, 교도소, 공항, 기지국 등등까지 포함입니다.

    즉 전쟁 터지자 마자 거의 즉시 핸드폰은 먹통이 될 가능성이 꽤나 높은 것이죠. 박살난 기지국이 담당하는 지역에선 아예 전파가 터지질 않을 것이고, 아예 발전소까지 날아가 버린다면 충전할 길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것이 필요한 스마트폰보단, 심플한 라디오가 전쟁통에 더 적합한 매체이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5.03.05 10:55
    No. 21

    요즘 나오는 맛폰은 무선 충전기능이 있기 때문에 삽질 몇번 하면 무선 충전도 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도심 재난이면 주변에 구리선 찾기는 쉬울테고, 심지어는 간단한 회로도 폐부품 뜯어가며 만들 수 있어요.
    납땜을 못한다구요?
    불피위서 (1.5볼트 건전지 2개만 있으면 됩니다.) 금속 달군다음 폐부품에서 땜납을 모은뒤 하면 됩니다.

    깨어보니 10년뒤라던지 이러면 곤란하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쿠데타1
    작성일
    15.03.05 16:09
    No. 22

    요새 태양광충전되는 보조배터리도 많이 있어서 그런거 하나 찾아내면 될듯......라디오는 탑골공원이나 가야 볼 수 있는 시대라..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