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2

  • 작성자
    Personacon 싱싱촌
    작성일
    15.02.10 21:10
    No. 1

    저어... 실례지만 서울 분이신가요?
    지방을 무슨 아프리카 밀림이나 황무지처럼 말씀하시는 거 같은데...
    우리나라가 면적대비 인구가 비정상적으로 많은거지 전세계적으로 보면 다른 지방도 딱히 인구 그렇게 적은 건 아녜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약관준수
    작성일
    15.02.10 21:11
    No. 2

    지방 수몰예정 지역 사람입니다만.. ^^;
    지금은 도시에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약관준수
    작성일
    15.02.10 21:12
    No. 3

    저희 동네엔
    노인정과 집만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두형
    작성일
    15.02.10 21:14
    No. 4

    신문은 안보셔서 모르는가 본데. 현재 출산율 1.2명정도 됩니다. 이추세면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서 인구수가 2000만명 대가 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두형
    작성일
    15.02.10 21:15
    No. 5

    거기다 일하는 나이대인 30대 에서 50대 사이의 인구수가 계속 줄고 노인들의 인구 비중이 엄청나게 커집니다. 문제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두형
    작성일
    15.02.10 21:18
    No. 6

    고령화가 왜 무섭냐면. 현재 노인 인구 비율이 30% 정도 잡아봅시다. 근데 이추세로 계산하면 60%가 노인들이 됩니다. 이렇게 많은 비율의 노인들을 더 적어진 젊은세대들이 감당해야 되는거죠. 세금도 그렇고 복지도 그렇고. 가뜩이나 경제도 안좋은데. 옛날에는 경제 성장률이라도 높아서 돈이 모이기라도 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가디록™
    작성일
    15.02.10 21:24
    No. 7

    그래서 정부가 독이 든 성배, 아니 성배도 아니고 그냥 요강 단지를 집어들었죠. 다문화 정책 말입니다. 우리나라 정권은 왜 자국민이 애를 왜 안낳는지에 대해선 생각도 없고 개선할 의지도 없으니, 급한대로 해외에서 사람을 '수입'하는 걸로 인구수를 때운다는 거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管産
    작성일
    15.02.10 22:48
    No. 8

    고령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보면 고령화는 진행되는데, 사회시스템이나 경제구조는 현행으로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서 문제들을 찾더군요. 근데 고령화가 진행되어 사회가 변화하면 당연히 사회시스템과 경제구조도 그에 맞는 방향으로 변해서 부작용을 완화하겠죠.
    고령화 사회가 되면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노인의 연령이 지금보다는 더 높아지겠죠. 이는 30년 전까지 큰 행사로 간주되던 회갑 등이 의미가 없어지고, 노인정에서 60대가 막내 노릇을 하는 것을 보면 쉽게 예측할 수 있죠.
    노동력 부족 문제의 경우, 어차피 국가적으로 노후대비를 못해주고 있기 때문에 고령화가 된다고 해도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노인이라도 소득이 얼마 안 되어서 일을 해야 할 수밖에 없기도 하고요. 과거 농업 사회, 산업 사회와 달리 정보지식 분야, 서비스 분야는 육체적 능력을 덜 요구하기 때문에 노인 노동력을 이용하는데 큰 문제도 없죠.
    이런 점들과 실제로 지금 은퇴연령과 국민연금 수급연령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2060년 정도에는 은퇴연령이 80세 이상일 수도.
    인구가 경제규모를 유지하는데 중요하기는 하지만 이건 국가 전체 차원의 문제이고, 개개인의 경제생활을 고려하면 고령화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겠죠.
    만약 겁주는 것처럼 노동력이 부족해진다면 청장년층의 근로소득이 더 늘어나서 노년층 부담으로 인해 조세 부담이 늘어도 큰 문제가 안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비영쾌신
    작성일
    15.02.10 22:24
    No. 9

    솔직히 우리 노인되서 문제인걸 알지만
    낳고 싶진않습니다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푸른달내음
    작성일
    15.02.11 00:23
    No. 10

    지방 학교들의 공동화는 지금 추세대로 시간이 지나면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라 이미 현실이 된 문제에요. 도시에서야 60학급 이상인 학교들이 상당수 있고, 한 동에 학교가 몇 곳씩 있는 경우도 있지만 지방으로 가면 1면 1교 유지 정책마저도 포기해야 하나 하는 소리가 이미 몇 년 전부터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요. 초등학교 전체 학급 수를 2, 3개로 줄여 운영하는 방법을 쓰거나 하는 식으로 학교를 유지해왔지만 그것마저 어렵게 되었다는 소리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신승욱
    작성일
    15.02.11 02:27
    No. 11

    2015년 2월 10일자 SBS8시뉴스 참조 바랍니다.
    경기도 용인이면 수도권인데도 저렇군요.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30585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2 흑색숫소
    작성일
    15.02.11 12:25
    No. 12

    걍 30년 정도 돈 벌다가 환갑 넘으면 동남아로 이민 가려구요. 물론 애낳을 생각도 없구요. 한국땅이 참 이래저래 살기 좋은 건 맞지만 여기서 묻힐정도로 좋진 않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