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7

  • 작성자
    Lv.41 공돌이푸
    작성일
    21.05.08 06:57
    No. 1

    이 양반아 같은건 라이트한 판타지면 그리불편하진 않은데 좀. 묵직한거면 비추

    양반 어원 생각해서 법사 기사 이 법사가요? 대충 이런식으로 신조어 만드는건 오케이
    영감, 양반 이런건 어원이 너무 한국적이라 확깨네요

    형수님 제수씨는 영미권에서 잘 안따져서 그렇지 따지는데는 많이 따지니까 별 상관 앖을것 같네요
    단, 귀족이 친구부인을 제수씨라 부르면 어색하겠죠
    ~~부인 이런식으로 예의를 갖추지 않을까 싶네요

    찬성: 3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2 9회말2아웃
    작성일
    21.05.08 11:14
    No. 2

    저랑 비슷한 생각이시네요.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크리포
    작성일
    21.05.08 08:07
    No. 3

    전 판타지에서 '마님'(영주부인)을 부를때 이상하던데요.
    게다가, 기사들이 장원도 없이 월급제로 표현되는것도 이상합니다.
    기사는 월급이 아니라,장원으로 병사를 충원하는 판타지소설을 볼때,
    기사단장/부단장/자식들(차남째부터)은 기사작위를 물려주고, 준귀족 신분으로 표현되어야하는데,
    소영주라는 표현을 하거나, 도련님(병사/기사들이 부를때)이라는 표현이 거부감/거리감이 들던데요.

    찬성: 3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22 9회말2아웃
    작성일
    21.05.08 11:15
    No. 4

    디테일한 설정이 중요한데, 깊이 들어갈 수록 어려워지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1 크리포
    작성일
    21.05.08 08:26
    No. 5

    드라마에서도 대기업 회장 자식들도 사회생활 하게되면 직급으로 부르던데(사장/본부장등)
    소설에서는 둘째/셋째 아들로 표현되어서 이상하기는 합니다.
    그이외에도, 몇가지 더 있었는데,
    생각이 안나네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1.05.08 16:29
    No. 6

    스토리, 대사만 재미있으면, 사소한 단어 같은 것은 그냥 넘어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6 묘한인연
    작성일
    21.05.09 06:15
    No. 7

    한국화라 보는게 맞지 않나요?
    외국소설을 그대로 직역하면 표현 방식이 우리랑 안맞는 경우가 많을텐데 일종의 의역이라 생각해서 전 별로 상관하지 않아요.
    단.판타지인데 사자성어 나오면 좀 그렇긴 하더군요.
    거기에 사투리까지 쓰면.털썩...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