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7

  • 작성자
    Lv.32 그래곤
    작성일
    20.12.19 12:53
    No. 1

    전 예술쪽 분야 회귀물은 못보겠더군요. 남의 창작품 베끼는건 악질이죠
    차라리 산삼 같은게 낫지 않나요? 그런건 누가 발견하던 운의 영역이니깐요

    찬성: 5 | 반대: 1

  • 작성자
    Lv.84 arbans
    작성일
    20.12.19 13:11
    No. 2

    저도 어디서 뭐 주워오고 이런건 상관 없는데 남의 창작물을 자기것처럼 얘기하는건 좀 보는 제 양심에 찔립니다.
    작곡한 것을 베낀다던지 소설을 베낀다던지 하는 것들이요..

    찬성: 3 | 반대: 1

  • 작성자
    Lv.61 손님온다
    작성일
    20.12.19 14:31
    No. 3

    희귀 영약, 무림기보 미리 차지하는 거 도둑이란 생각 안 들던데요.
    그게 재미 아닌가요.

    찬성: 5 | 반대: 1

  •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0.12.19 15:10
    No. 4

    알고 있다면, 당연히 그렇게 하지 않겠습니까?
    로또 번호를 기억하는데, 로또를 안 찍을까요?
    컵홀더 스토리를 알고 있는데, 컵홀더를 만들어 팔지 않을까요?
    회귀자가 몰라서 안 하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알고도 안 한다는 것은 이게 작위적이죠.

    찬성: 6 | 반대: 1

  •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20.12.19 19:39
    No. 5

    그래서 어떤 식으로든 제약이 있는 편이 좋죠
    치트키 쓰고 게임하면 재미없는 거랑 똑같음
    아예 대놓고 펑펑 써대면 그건 그거대로 재밌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4 연쇄뒷북마
    작성일
    20.12.19 21:27
    No. 6

    그래서 현판이나 판타지, 무협에선 덧붙이는 조건이 나쁜놈이 쓰던 기연, 돼지목에 진주목걸이같던 기연 이런거 더라고요.
    근데 현대회귀물에선 성공하기 전 인재에게 투자!같은 전개면 잘 보겠는데 내가 먼저 발명! 내가 먼저 사업! 같은 전개면 못보겠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palmaris
    작성일
    20.12.20 15:23
    No. 7

    그래서 차라리 발명가나 개발자가 가장 어려운 시기에 투자해서 이익을 같이 나누는 방식이 좋더라구요
    특히 원 역사에서 최초 발명은 했는데 개량할 자금이 없어 경쟁자에게 밀렸거나 투자자가 간섭질이 심해서 망한 케이스라면 서로 윈윈이죠

    찬성: 4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