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9.03.04 07:47
    No. 1

    제가 유튜브 와 댓글 볼 때 파파고를 자주 이용합니다.

    우선 영어가 아닐 때 이용하고,
    영어문장이 짧으면 눈으로 쓱 훑으면서 이해할 수 있지만...길어지면 독해력이 높지 않아 바로 파파고로 봅니다. (웨일브라우저엔 마우스로 긁은후 클릭만 하면 바로 해석해줌)

    한 4~5년전쯤의 구글 번역보다 월등한 상태입니다.
    요즘은 구글번역 안써봤는데요. 아마 파파고랑 구글번역이랑 비슷한수준일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2

  • 작성자
    Lv.92 지나가는2
    작성일
    19.03.04 08:34
    No. 2

    파파고 자체에서 번역된 내용이 없으면 구글 번역 끌어오는 것 같던데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15 독특하안
    작성일
    19.03.04 10:25
    No. 3

    저는 파파고와 구글 번역을 둘 다 보는 편인데요.
    최근에 파파고가 확실히 개선된 건 맞는 것 같아요.
    처음 나왔을 때는 구글 번역보다 질이 많이 떨어져서 솔직히 조금 짜증날 때가 종종 있었는데요.
    요즘은 구글 번역보다 자연스러운 경우도 많고, 둘이 비슷비슷한 수준이 아닌가 싶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9.03.04 11:49
    No. 4

    예전에 왜 한글과 영어의 변역이 다른 언어에 비해 떨어지는가에 대한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결론은 영어를 일단 일본어로 번역한 후 다시 일본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제안이었는데요. 실제로 이 방법이 많이 쓰였습니다. 왜 그런가 하면 일본어와 영어의 번역이 월등히 높은 사례가 많기 때문에 번역의 질적 향상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아마 파파고는 무조건 한국어로 영어를 번역하다 보니 인공지능의 샘플 활용도가 높아진 점 때문에 번역의 질이 향상되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또한 인공지능 자체의 성능향상도 있었겠구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60 TIMEFORD
    작성일
    19.03.04 17:51
    No. 5

    글자수 제한만좀 풀어줬으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심해관광
    작성일
    19.03.05 14:56
    No. 6

    우리말도 번역할게 많아서 솔직히 별 차이를 못 느끼겠네요.
    문장들이 다 번역한 것 같은 문장들 뿐이라 서요...투덜투덜...

    요즘은 외국사이트 안다녀서 쓸일이 없었는데, 생각난 김에 좀 돌아다녀봐야겠습니다.
    어...그런데 이거 영어만 해당되는건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곽일산
    작성일
    19.03.05 15:53
    No. 7

    영어하고 중국어를 번역을 시켜봤는데...
    둘 다 이전보다는 번역의 수준이 향상되었습니다.
    중국어보다는 영어가 더 번역의 질이 우수한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심해관광
    작성일
    19.03.05 19:12
    No. 8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청광류
    작성일
    19.03.07 20:05
    No. 9

    예전 네이년 지식인 했던 것처럼 고수니 금메달이니 주는대신 열정페이 무료봉사 강요하며 파파고 번역봉사자들 모집하더니 그 후로 좋아졌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청광류
    작성일
    19.03.07 20:07
    No. 10

    어차피 기본적인 번역이나 AI나 이미 알고리즘은 다 공개되있는 상황입니다.
    데이터를 얼마나 많이 집어넣느냐가 성능을 가르는거죠.
    구글은 전문번역툴들에 api도 제공하고, 전세계 사용자가 많아서 앞서있었는데, 네이년이 대놓고 번역검토 자원봉사라며 한국인들 갈아넣으니 올라간거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