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이면의 현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거임.
필자는 이렇게 생각함, 한국이 현재 문화컨텐츠로 폭주하고 있는만큼 국제적인 위상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함.
원래, 노벨상은 굉장히 차별적이고 편파적인 수상으로 유명한데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알려지지 않은 동방의 작은 국가에게 선뜻 문학상을 증여한다는 건
반대로 말하면, 국격이 올라갔음은 물론이거니와 K 컨텐츠가 확산되다 보니, 한국어 사용자가 급증했고 따라서, 한국어 자체가 가지는 정서나 분위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토대가 조성되었다고 봐도 되는 거임
이를 깊게 파고들면, 우리나라에서 대작이나 명작으로 평가받던 문학 작품이 재평가가 될 거란 소리기도 함.
한국의 음악과 방송이 세계로 확산되는 가운데, 문학이 대두되고 나아가 이름을 떨친다? 이 만한 시너지가 있을까 싶다.
따라서 확실한 건, 물이 들어올때 노를 저어야 한다는 것이고. 기회를 놓치는 머저리가 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mmen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