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24

  • 작성자
    Personacon 하늘송
    작성일
    18.03.03 13:57
    No. 1

    거인과 싸운다 같은 정도 갖고는 법적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엘프, 드워프, 오크 다 톨킨님 껀데 저작권 상관없는지 갑자기 궁금하네요.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데빌改
    작성일
    18.03.03 14:06
    No. 2

    엘프와 드워프는 톨킨이 만든게 아닙니다.
    톨킨의 설정이 많이 쓰이긴 하지만
    그전부터 있던 종족이고 톨킨이 어레인지했을 뿐이죠.

    찬성: 3 | 반대: 2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하늘송
    작성일
    18.03.03 14:20
    No. 3

    아 그랬군요. 제가 잘못알고 있었네요. 그럼 호빗은 쓰면 저작권 걸리겠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3 14:22
    No. 4

    네. 하지만 한국어표기법상 호빗으로 발음되는 영문기호가 많기 때문에 작정하고 쓰면 걸리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쓰지 않겠습니다.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데빌改
    작성일
    18.03.03 14:22
    No. 5

    호빗의 이름은 톨킨이 정한거라 저작권에 걸립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데빌改
    작성일
    18.03.03 14:22
    No. 6

    근데 대추토마토님이 말씀하신 부분은 처음 알았네요 ㅇㅅㅇ;;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3 14:31
    No. 7

    '미스릴' 또한 톨킨 고유의 명사입니다. 하지만 표기를 여러 방식으로 하게 되면 회피할 수 있죠.
    Mithril만이 고유의 identity를 침해하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참 많은 장르소설에서 미스릴을 사용하잖아요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데빌改
    작성일
    18.03.03 14:40
    No. 8

    아 그렇군요 ㅇㅅㅇ;;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하늘송
    작성일
    18.03.03 14:49
    No. 9

    미스릴도 고유였군요. 처음 알았네요. 그럼 블랙팬서의 비브라늄 저작권도 디즈니마블 소유?
    갑자기 게임에 자주 나오는 아만타디움 이런 희귀 광물들도 궁금해지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3 14:52
    No. 10

    비브라늄은 마블코믹스가 가지고 있죠.
    아다만티움, 혹은 아다만다이트 등의 금속은 라틴어 아다만트가 기원이므로 저작권이 없습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하늘송
    작성일
    18.03.03 14:57
    No. 11

    오;; 라틴어 기원이였군요;; 만물박사님 수준;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8 barbaria..
    작성일
    18.03.03 14:07
    No. 12

    엘프, 드워프, 오크 전부 다 신화에서 비롯된거라 저작권이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하늘송
    작성일
    18.03.03 14:21
    No. 13

    답변 감사해요. 바바리아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편곤
    작성일
    18.03.03 14:11
    No. 14

    톨키의 독창적인 종족 중에 사람이 자주 쓰는 것...
    엘프, 원래 엘프는 페어리 느낌인데, 인간과 유사한, 혹은 더 발달된 종족으로 이미지 체인지한게 톨킨입니다.
    발록, 가장 대표적인 악마인데, 사실 족보로 따지면 톨킨...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데빌改
    작성일
    18.03.03 14:18
    No. 15

    엘프의 전승도 여러가지입니다.
    인간과 비슷하면서 우월한 존재인 엘프가 톨킨의 오리지널이 아니에요.
    엘프의 기원인 북유럽의 엘프가 톨킨의 엘프와 비슷합니다.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3 14:48
    No. 16

    패러디는 분석하고 폭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유명한 무엇의 문제점을 부각시켜 풍자하는 것에 가깝죠. 유머러스하게. 단순모방을 패러디라 말하는 것도 우습고, 그 기준하의 패러디는 상업성이 없어야 합니다.

    오마쥬는 스스로가 평소 접했을 때 감동을 받아 그것에 존경의 염을 표하기 위해 일부 인용하는것을 말합니다. 스스로가 받은 감동을 다른 이들이 같이 느낄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것을 표절과 비유하는것은 천박할 뿐입니다.

    문장을 그대로 따라 쓰는 것은, 저작권이 소실된. 그러니까 작가가 죽은지 70년이 지난 글의 문장을 인용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역사적 명언 등을 주로 그렇게 하죠. 대문호의 유명한 저서를 그리하기도 하고.

    아이디어는 표절의 개념이 아닙니다.
    지금껏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고유명사가 아니라면 무엇이든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르소설이 존재할 수 있죠.
    그래서 스스로 느끼기에 숨기고자 한다면 표절, 밝히고 싶다면 오마쥬라는 말이 나오는 겁니다.
    스스로 너무 만족했기 때문에 그 아이디어로 글을 써 보고자 했다면 말이죠.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5 흰색코트
    작성일
    18.03.03 15:33
    No. 17

    아하...그러면 패러디 작품이라 부르는 것들도 오마쥬 작품이라 불러애 하겠군요?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8.03.03 15:22
    No. 18

    호빗, 미스릴 등은 저작권 쪽이 아니라 상표권 쪽이 문제일 듯 합니다.
    저작권은 단어 하나를 보호하지 않고 아이디어도 보호하지 않습니다.

    물론, 단어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과 비슷한 문장이 있는 경우 등, 표현 자체가 유사하다면 저작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단어가 상표권으로 문제가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해당 단어는 해당 단체의 지식재산이고 함부로 사용하면 해당 단체에서 문제삼고 있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생각하면, 문제가 될 듯 합니다.

    저작권이 남아있지 않는 경우라도, 저작권 침해 판단 기준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면, 표절로 문제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저작권상 적법한 인용은 면책이 된다고 합니다. 검색하면 나옵니다만, 학술 논문에 대한 내용인지, 소설에도 해당하는 내용인지는 모르겠더군요.

    저작권 침해 등 지식재산권 침해가 걱정되신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
    표절 쪽은 일단 자기 기준에 따라 판단하시되, 글을 읽는 독자 중에는 더 엄격한 판단 기준을 가진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3 15:59
    No. 19

    작가들이 통칭하는 저작권과 저작권법에 해당하는 저작권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지적재산권 전체를 통칭 저작권이라고 부르기 때문이죠.

    위 질문들의 경우는 단어는 상표권 침해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상표권은 등록한 것에 한해 보호받기 때문입니다.
    모든 글은 출판과 동시에 WIPO에의해 지적재산권이 부여되고 보호받습니다.
    그래서 통칭 '저작권이 있느냐 없느냐'로 이야기 할 때의 저작권은 이 지적재산권에 해당합니다.
    국내법상의 저작권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8.03.03 16:31
    No. 20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표권으로 일부 권리는 인정되는 듯 합니다.

    등록하지 않았지만 상표권을 주장하는 경우에는 TM, 등록한 경우에는 R 기호를 쓴다는 것 같습니다.

    THE HOBBIT 은 https://www.uspto.gov/ 에서 검색해보니 등록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영화와 관련한 상표권일 것 같습니다.

    상표권의 경우 "창작성"은 저작권의 경우와 달리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windows 나 apple 이 상표권이 될 수 있을 정도니까요.

    지식 재산권에는, 특허권, 저작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이 있는 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4 00:27
    No. 21

    소설 속 단어로는 상표권 침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상표권이란 말 그대로 다른 상품과의 차별성을 두는 표기법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소설 속 '삼성', '아마존' 등이 상표권 침해라고 보지 않는 것과 같죠.

    실 생활에 쓰이는 말과 국내법상의 표기방법의 차이에서 오해하신 듯 합니다.

    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저작권이라는 말은 지적재산권 전체를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지 저작권법이 그 저작권의 일부를 보호할 뿐입니다.
    법률에 의해 단어의 뜻이 축소된 경우라고 봐야 하고, 저작권과 상표권을 분리하는 등의 일은 보통 이런 경우에 필요치 않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8.03.04 07:53
    No. 22

    해당 단어에 상표권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소설 속 단어에는 상표권 자체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맞을지도 모릅니다.

    THE HOBBIT 의 경우는, 영화로 만들면서 영화 제목에 상표권을 등록한 것 같습니다. 상품과 서비스 항목이 상당히 많았지만, 소유자가 The Saul Zaentz Company 이더군요.

    호빗, 미스릴 등은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저작권에는 해당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해당 단어 자체는 저작물이 아닐 듯 하고, 해당 단어를 사용한 것 만으로 원작과 실질적 유사성이 있다고 하기에도 부족할 겁니다.

    해당 단어가 지식재산권으로 법의 보호를 받을 때, 어떤 법의 적용을 받을지 궁금합니다.
    지식재산을 특허나, 저작권, 상표권 등으로 나누어 보호하지 않고 그 자체로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하는 법이 있습니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8.03.04 08:48
    No. 23

    국내법상 상표권 보호는 국내 등록한 경우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단어들이 법적으로 보호받는 경우는 하나, 톨킨 엔터프라이즈사에서 베른조약을 근거로 저작권을 주장하게 되면 미국내에 등록된 상표권 및 사후 70년이 되지 않은 소설의 저작권을 근거로 법정싸움이 진행되겠죠.

    어차피 법리해석의 범위는 매우 넓으며 그 연장선에서 볼 때 '미스릴', '호빗', '발록' 등은 상표권 등록으로 인한 권리보다는 '잿빛으로 빛나는 강철보다 단단한 금속', '키가 작고 유쾌하며 발의 가죽이 두꺼워 신발을 신지 않는 종족', '신적인 힘을 지닌 채찍, 철퇴, 도끼 등을 사용하는 불의 정령' 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름과 이야기로, 저작권법에서 보호될 겁니다.

    해당 시비가 국내에서 벌어진 적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단언할 수 없는 일이죠.

    따지자면 장르소설에서 이미 유명해진 누군가의 소유물일 명사를 가져다 쓰는 것에 소송을 걸고 처벌을 받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돈이 되지 않고 피곤하기 때문에 그 누구도 소송을 걸지 않을 테니까요.

    예를들어

    사래긴밭님이 글을 출판하고 그 글에서 '호빗'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하여 그 특징을 서술했다고 할 때, 그 '호빗'을 상표권 등록하는 일 자체에 지난한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명확히 동일한 조건의 '호빗'이 아니라면 보호받을 수 없을 것이구요.

    저작권법에 의해 스토리와 명명을 보호받는 것 또한 입증하려면 법리적 해석을 제한하고 유도할 지루한 싸움이 필요할 겁니다.

    결국 단어가 보호가능한 근거는 저작권법에 있고, 무단도용으로 인해 처벌받기는 매우 힘들다고 정리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모든 것에 앞서 소설과 관련된 모든 창작물의 보호는 저작권으로만 보호받는다고 알아도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정담에서 법리적 해설과 적용을 두고 갑론을박할 일은 없고, 우려되는 점에 관한 질문에 이러한 대담이 오가는 것은 부적절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요약하자면

    1.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하는 법은 없습니다.

    2. 등록제인 상표권으로 인한 보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3. 설령 법적 문제가 있더라도 친고죄인 특성상 소송당할 일은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립빠
    작성일
    18.03.08 01:14
    No. 24

    표절 관련 판결을 봐야됨. 아무리 톨킨이 어쩌고 누가 만든 고유의 뭐다 해도 이미 문학작품들 속에서 많이 쓰고 있는것들은 법정가도 무죄임. 많이 쓴다는 기준이 판사마음이지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