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22

  • 작성자
    Lv.40 땃쮜
    작성일
    17.08.08 18:12
    No. 1

    일부 공격적으로 말하는 사람들도 있고 욕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래도 대부분이 표절에 대해 분노하는 입장인데, 니들이 뭔데 끼어드냐라던가 니들이 소설쓰면 이렇게 쓸 수 있느냐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뿌리는 사람들도 있네요 -_-.
    누구보다 소설을 좋아하니까 그런 사람들이 이 소설 시장이 망가지질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작가를 비판하는 것이고.
    저분들 논리대로라면 메이저 리거급 축구선수가 아니면 다른 축구 선수들을 감평할 수도 없겠네요? 국회의원이 될 수 없다면 국회의원을 비난할 수 없나요?

    나 참... 진짜 말도 안 되는 어린 학생들도 안 펼칠 무논리 쉴더들... 정말 보는 사람이 다 답답하더군요.

    찬성: 8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0
    No. 2

    뭐.. 표절여부를 떠나서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서 함부로 말하는 사람들'이 싫은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겠죠.

    다만, 이제 '표절'을 왜 하면 안되는지, 그리고 표절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많은 분들이 알아보셨으면 좋겠네요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0 땃쮜
    작성일
    17.08.08 18:29
    No. 3

    물론 디시에서 온 사람들이 심하게 말 한 것도 잘못하긴 했습니다. 여긴 디시가 아니니까요. 그리고 우리나라가 옛날부터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희박했었고 그 당시에 자라셨던 분들이 모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찾아볼 생각도 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대응하는 사람들은 무시하면서 무조건 감정적으로 외쳐대는 분들은 조금 그렇더라구요... 본문에 있는 bsy 님한테도 무작정 윽박지르면서 대응하는 분들 보면서 너무...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0 땃쮜
    작성일
    17.08.08 18:30
    No. 4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하고 싶은 말만 하고... 너무 꽉 막히신 분들이 많아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40
    No. 5

    네.. 맞아요 ㅠㅠㅠ
    너무.. 비논리에, 비속어 섞어서 ..

    진짜 bsy2368님 말씀처럼
    '주장을 위한 주장'이 난무하더라구요 .. ㄷㄷㄷㄷ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변명은죄악
    작성일
    17.08.08 18:15
    No. 6

    그.. 표절시비 붙은 작품들이 처벌 받았나요? '왜 잡힌 범죄자만 처벌하고 안잡힌 범죄자는 처벌 안함?' 이 성립이 될려면 표절시비 붙은 작품들이 범죄자로 처벌을 받아야 성립되는 말인데요.. 범죄자가 아닌데 범죄자라고 말하는 건 좀 아닌 거 같습니다. 그리고 파르나르 작가 작품은 스카이림 제작사에서 고소를 하지 않는 이상 별다른 처벌도 없을 거구요. 오히려 지금까지의 상황만 보면 결국 후속조치로 '허가'해줄 겁니다. 지금까지 블리자드나 롤에서 허가받은 작품들이 유료연재 들어가기 전부터 허가받은 게 아니잖아요? 유료화 이후에 논란이 부각되니 그때 허가 신청 받은거구요.

    찬성: 0 | 반대: 8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2
    No. 7

    네, 뭐.. 처벌되든 안되든
    그건 솔직히 해당 작가님과, 원작자 간의 문제겠죠.

    다만.. 이제 중요한 건,
    '사전에 허락받지 않은, 원작의 2차 저작이 발생했다.'가 중요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뭐.. 세세한 부분에서의 지적은 다른 분들이 너무 많이 해주셨으니, 굳이 언급하지 않기로 하고?.. (모르시겠다면, 최근회차 댓글 2-3개만 쭉 훑어보셔도 충분하실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3
    No. 8

    이런 식의
    '사전에 허락받지 않은 2차 저작'이

    자유자재로 되는 게 사회적으로 허용된다고 하면,

    결과적으로는
    창작자들의 스스로의 목을 조이는 꼴 밖에 안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로 저도 개인적으로는
    표절, 소송 여부를 떠나서 계속 보고싶긴 합니다. +_+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5
    No. 9

    아, 그리고 한마디만 더 덧붙이자면,
    네이버에 '헌법'이나, '저작권법' 쳐보시면, 자세한 법률에 대한 지식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0 백린(白麟)
    작성일
    17.08.08 18:28
    No. 10

    해당 작품은 보지 않아서 표절 논란에 끼어들고 싶지 않습니다만, 홍정훈님 같은 경우 '고유명사' 하나를 사용했다가 2부를 내지 못하게 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번 일이 표절이라는 가정 하에(왜 가정이냐면 제가 그 소설을 안봤거든요.) 베데스다에 어떻게 알려지느냐따라 상황이 달라진다고 봅니다. 과거의 장르판처럼 수익이 미미한 상황이라면 모르겠는데, 지금은 수익이 꽤 나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사실 그동안 그냥 봐준 건 소송을 걸어봐야 실익이 없다는 면이 좀 컸습니다. 코트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저작권 침해의 경우 보통 $750~30,000 달러의 보상액이 책정되었고(민사), '고의적' 일 경우라도 $150,000가 사실상의 한계선인데, 그동안 장르판 수익이 그것에도 한참 미치지 못했으니까요. 그래서 소송이 귀찮고 걸어봐야 얼마 못 받으니 오히려 손해.... 라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장르판 수익이 좀 크게 나기 때문에, 누군가가 베데스다에 한국의 장르판 상황과 수익, 그리고 침해 내용 등(물론 저는 이 부분에 대해 판단하지 않겠습니다. 해당 소설을 보지 않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여기 쓰는 건 어디까지나 '표절이 맞다는 가정 하에서'입니다.)을 적어 보내면 개입할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500페이지 이상의 저작물에 대해 300자의 인용만으로도 표절로 판단하는 나라입니다. 좀 더 엄격하죠.

    찬성: 4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34
    No. 11

    우와... 진짜 무시무시하네요.
    괜히 미국이 아닌듯 .. ㄷㄷㄷㄷ

    그리고 저작권법 관련 소송기사를 몇개 살펴보니까,

    확실히.. 정당한 권리행사로서
    고액의 대가로 받았다는 기사는 찾기 어렵고

    '막대한 소송비용과 시간을 들여봐야 실익이 없기 때문에,
    암중에서 합의하여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런 식의 기사만 주르륵 있더라구요.
    역시 한국은 아직 갈길이 먼가 봅니다 ㅠ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0 땃쮜
    작성일
    17.08.08 18:38
    No. 12

    외국에서 유명한 것중에 쥐돌이 월드가 저작권 소송으로 벌어들이는 돈만 해도 어마어마하죠. 괜히 우스갯소리로 무인도에서 가장 빨리 탈출하는 방법은 모래사장에 미키마우스의 얼굴을 그리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는 것이 아니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41
    No. 1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그거 저작권법 수업들을 때 들어봤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앞으로 무인도에선

    SOS ? NO !!
    미키마우스?! Yes!!!! zzzzzz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어푸
    작성일
    17.08.08 18:44
    No. 14

    범죄자나 처벌은 일종의 비유인데요. 음, 혼란스럽게 해 드려서 죄송합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재미찾기
    작성일
    17.08.08 21:12
    No. 15

    잘못 이해하신 것 같은데 왜 이 작품에만 뭐라하느냐->왜 잡힌 범죄자만 처벌하냐
    이 말입니다. 범죄자 처벌이라는 단어가 실제적 처벌이 아니라 사람들이 비판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죠.
    안 잡힌 범죄자는 처벌을 안 하느냐->다른 표절작품들(크게 공개적으로 논란이 되지않은->안 잡힌)은 뭐라하지(비판하지) 않느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어푸
    작성일
    17.08.08 18:24
    No. 16

    어버버..... 일단 s1-s3 본소설(후략)은 제가 쓴 것이 아닌, 모 사이트의 유저님께서 쓴 것을 복사해 온 것입니다.
    그리고 저작권법에 표절,오마쥬,패러디 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렇기에 저작권법 적으로 저 세단어를 설명한 것은 일종의 비유가 되기 때문에 조금 오류가 있습니다. 양해해주세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6
    No. 17

    오!.. 제 글에 댓글을.. 영광입니다 ㅠㅠㅠ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26
    No. 18

    여튼 멋있으십니다!

    비논리에 논리로 맞서는!
    비속어 세례 속에서도 정중한 단어를 사용하시는 !!! 오예!!! 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어푸
    작성일
    17.08.08 18:28
    No. 19

    사실 상대를 비꼬는 표현을 쓴 기억이 있는지라 떳떳하게 논리를 펼쳤다는 말은 조금... 그 부분만 지워 주세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31
    No. 20

    아, 넵!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7 어푸
    작성일
    17.08.08 18:35
    No. 21

    사실 워낙 많은 댓글을 달다 보니 비논리적 댓글을 몇개 달아서 그런지 부끄럽네요.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김영한
    작성일
    17.08.08 18:42
    No. 22

    에이, 아닙니다!

    저도 bsy2368님이 다신 댓글을 전부 다 살펴본 건 아니지만,
    진짜 .. 존경할만 하시더라구요 ?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굿굿!!
    앞으로도 좋은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_+ 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