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7

  •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6.11.03 21:14
    No. 1

    저도 써봤는데
    200자까지만 인공지능 번역이고, 그보다 긴 문장은 통계번역인거 같더군요.

    긴 문장은 이쪽이 낫다고 봅니다.
    https://demo-pnmt.systran.net/production#/translation

    여기도 인공지능 번역인데, 2000자까지 번역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곽일산
    작성일
    16.11.03 22:25
    No. 2

    시스트란 번역기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인공지능 번역이라고 알고 있는데...
    영어로 문장을 입력하고 한국어로 번역되는 것을 보니 여전히 문제가 많네요.
    오히려 한국어에 강점이 있는 네이버 번역기의 성능이 더 낫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6.11.04 00:01
    No. 3

    어 그래요? 짧게 테스트 해봐서 그런가 전 네이버랑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좀 더 테스트 해볼걸 그랬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곽일산
    작성일
    16.11.04 09:32
    No. 4

    제가 쓴 영어문장을 번역하는 것만으로 테스트를 했을 때...
    시스트란보다는 네이버 번역기의 성능이 더 좋게 나오네요.
    표본이 적어서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확실히 말할 수는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6.11.03 23:00
    No. 5

    PC기반 웹상의 네이버번역기랑.....모바일 파파고 번역기랑 같은건가요?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6.11.03 23:56
    No. 6

    파파고 번역기는 200자까지는
    http://labspace.naver.com/nmt/

    여기 번역이랑 같고 200자 후로는 웹의 네이버 번역기와 같은 걸로 압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CS보니
    작성일
    16.11.04 10:00
    No. 7

    아직 완전하진 않아도 곽일산님 말씀처럼 기술이 많이 발전했음을 느낍니다.
    앞으로 어디까지 어떻게 발전될 지 궁금하네요. ^^

    찬성: 0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