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46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15
    No. 1

    님 논리 그대로 돌려드리지요.

    단순하게 계산하겠습니다.

    일본 최저 임금 : 798엔 한화 8,733 원

    대한민국 임금 기준으로 기본급 8시간 주 5일 근무시 한달 : 8,733 x 209 = 1,825,197원
    상여금 기타 수당 제외한 순수급여.

    2016년 한국 최저 임금 : 6,030원
    대한민국 임금 기준으로 기본급 8시간 주 5일 근무시 한달 : 6030 x 1,260,270원
    상여금 기타 수당 제외한 순수급여.

    180만원 버는 일본인이 77,723 원 전기세 내서 172만 2268원 남는것하고

    126만원 버는 한국인이 40,120 원 전기세 내서 121만 9980 원 남는 것하고 어느 쪽이 비쌉니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2 23:29
    No. 2

    지금 그걸 비교라고 하신 것은 아니겠죠?
    비교는 동일 시점의 동일한 것으로 하셔야죠.

    최저임금 받아 생활하는 어떤 분이 어떻게 더 많은 최저임금 받는 일본인과 동일하게 주5일만 근무하면서 전기는 동일한 양을 사용하려 합니까?. 물론 한국 전기가 일본에 비해 더 싸니까 더 많이 사용해도 되기는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33
    No. 3

    최저임금 받는 사람은 일본인과 동일하게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말입니까?
    그럼 님이 제시하신 금액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2 23:42
    No. 4

    동일한 전력량 kwh 사용시 한국과 일본의 전기요금 비교입니다.

    본문에서는 심지어 일본 요금 계산할 때 일본의 부가치세(소비세)는 계산에 넣지도 않았습니다.

    아래 하늘짱님이 적절히 지적하셨듯이 일정 사용량을 넘어가면 누진 단계가 작은 일본이 한국 보다 더 요금이 적어지는 구간이 나오기는 합니다.
    한 여름 7,8월만이 아니라 년 평균하여 월 15만원 이상 전기요금을 납부하는 집은 그 정도는 낼 수 있는 집이라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49
    No. 5

    똑같은 이야기라니까요. 님이 말씀하셨잖습니까? 동일한 전력량을 사용하지 않는다.하였습니다.

    바꿔 말하면 일본인과 동일한 전력량을 사용한다는 것은 일본의 중산층과 한국의 상류층의 비교가 되거나 일본의 하류층과 한국의 중산층의 비교가 되는 자료라는 뜻입니다.

    일본 서민층이 감내하는 돈을 한국 중산층이어야만 감내할 만한 돈이 나온다면, 한국의 서민층은 일본의 빈곤층이 감내할 만한 수준의 돈을 지불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전기요금은 비쌉니까? 쌉니까? 같은 이야기를 몇번씩 하게 하지 마십시오.

    님의 이야기가 의미를 가지면 저 역시 의미를 가지며, 님의 이야기가 의미가 없으면, 저역시도 의미가 없습니다. 의미있는 쪽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없는 쪽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저는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36
    No. 6

    님의 댓글에 분명 일본인과 동일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라고 했고 일본이 더 비싸다 했으니 일본인과 한국인은 동일한 전기량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똑같은 한국 중산층과 일본중산층이라도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면 키로와트 단위로 환율을 고쳐서 비교하는 건 무슨 의미가 있는건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38
    No. 7

    제 댓글은 님 글과 판박이 입니다. 셋트죠.
    소용없다 하면 님 것도 똑같이 소용없는 것이 되고, 의미있다 말하면 똑같이 의미 있게 됩니다.

    부정하시겠습니까? 긍정하시겠습니까? 선택은 님에게 맡겨두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2 햇살이아빠
    작성일
    16.08.22 23:19
    No. 8

    단순히 단순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하늘짱
    작성일
    16.08.22 23:21
    No. 9

    단순 비교는 무리가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ninekimpd/220782191256 참고해보세요.
    500kwh 넘게 사용할경우 일본보다 비싸집니다. 전기요금 13만원 이상나오신분들은 일본보다 비싸게 내시는거네요.
    그런데 일본이 전기요금이 비싼편입니다.
    미국의 경우 이런 극단적인 경우도 있네요. 1138kwh를 사용하고 15불만 냈다네요. 65불 할인받은거지만 안받았다고 해도 80불로 9만원밖에 안되죠.
    http://jsagan.blog.me/220790323689
    한국의 경우라면 65만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2 23:32
    No. 10

    http://blog.naver.com/ninekimpd/220782191256 링크 잘 보았습니다.

    해당 그래프에 의하면 월 15만원 이하의 요금에 해당하는 전력사용량일 경우 항상 한국이 일본에 비하여 전기요금이 싸군요. 전기 사용량이 폭증하는 것을 7,8월 정도이니 그외 10개월 정도는 항상 한국이 싸다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42
    No. 11

    그 7,8월이 문제잖아요.
    그리고 여름보다 겨울에 전기를 더 많이 쓰니 12,1,2월도 추가 되겠네요.
    이 5개월에 사용량이 집중되어 누진세가 문제가 되는 것인데, 280kw 가져와서 무엇을 말씀하시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 정도는 일반 가정에서 에어컨 사용하지 않더라도 넘어가는 수치 아닙니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3 00:01
    No. 12

    본문에서 인용한 일본 거주하는 분은 1인 거주하는 분인 것 같은데, 그 분 에어컨은 외출시에도 28~29도 정도로 켜놓고 사시는 분 입니다. 귀가 직후엔 21도 강, 온도 내려간 이후엔 26도.

    이거 너무 많이 인용해서 저작권법 위반에 걸리는 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0:07
    No. 13

    이해가 안되시나본데 전기 사용량이라는건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산업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4인가족 봄,가을 전기사용량이 342kw랍니다.
    에어컨 사용 하기 전에요.
    이것은 당연히 가족 구성원 숫자에 비례해서 올라갑니다.

    그 분은 에어컨을 제외하면 한달에 100kw는 사용할까 모를 정도겠네요.
    전기레인지는 없다고 하셨고, 요리를 전혀 안한다고 하셨으니 전기밥솥도 없을것이고.
    혼자 사시니 당연히 냉장고도 작은거 쓰실 테고, 김치 냉장고 같은건 있을 리가 없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8 하늘짱
    작성일
    16.08.23 00:29
    No. 14

    사람은 보고싶은것만 본다더니...같은 글을 봤는지 의심스럽네요.
    http://blog.naver.com/ninekimpd/220782191256

    일본보다 싸면 현재 전기세가 타당한건가요? 미국은 왜 이야기 안하나요? 한국에선 65만원이지만 미국에선 할인없이 9만원이라니까요.

    그리고 전기세 이슈가 생긴게 과도한 누진세와 더불어 산업용전기는 원가 이하로 공급하면서 가정용 전기는 과도한 요금을 받는다는겁니다.

    이는 링크에 나와 있는 그래프를 보면 쉽게 알수 있죠.

    봄가을에는 180 여름에는 270 겨울에는 230 밑으로 쓰는경우 한전 일반용 전기보다 싸지만 그이상일경우 비싸지죠. 4인가구 월평균 사용량이 366이라고 하니 28,000~34,000원을 더 내고 있습니다.

    전기요금 누진세의 취지는 잘사는 사람이 많이 쓰니 더 많이 내라는건데 시대가 변해도 너무 변했습니다.

    누진세가 만들어진 1974년도와 다르게 가정마다 텔레비젼, 세탁기, 전기밥솥, 인덕션, 전자렌지, 냉장고, 김치냉장고, 에어컨등이 없는집이 드물죠. 이번같은 폭염에서는 에어컨을 안 쓰고 싶어도 집에 아기, 나이든 사람, 아픈사람이 있을면 안 쓸수가 없습니다. 꼭 잘살아야 에어컨을 쓰는게 아니란거죠.

    이런분들에게는 누진세가 부담일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전기를 적게 쓰는 가정은 누진세가 만들어진 1974년도와 달리 저소득층이 아니라 일인가구 입니다. 혼자 사니까 전기를 적게 쓰는건데 소득에 상관없이 저소득층을 위한다는 누진세요금으로 일인가구가 전기요금 혜택을 받는게 이상하지 않나요?

    누진세 구간을 없애거나 약하게 조절하고 저소득층은 따로 추가 지원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4 카레도시락
    작성일
    16.08.23 06:55
    No. 15

    미국은 산유국인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6.08.23 07:41
    No. 16

    미국 산유국이지만 석유를 수입하는 나라기도 합니다.
    미국이 한국에 비해 석유가 싼 건 산유국 문제보다 세금 문제일 것 같습니다.

    게다가, 한국 석유 수출합니다. 원유 수입해서 정제한 후, 일부는 수출하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형이보거든
    작성일
    16.08.22 23:21
    No. 17

    욕좀 먹겠는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2 23:38
    No. 18

    햔국이 더싸다 -> 글쓴이 욕먹음
    한국이 더비싸다 -> 우리나라가 욕먹음
    오잉?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마음속소원
    작성일
    16.08.22 23:52
    No. 19

    연간 사용량 따지면 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6.08.22 23:54
    No. 20

    정말 단순하시네요..단순하기가 단호박이십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맥시마
    작성일
    16.08.22 23:57
    No. 21

    나향욱 의문의 1승
    그리고 글쓴이분, 혼자서 사리판단이 안되시면
    뉴스를 보시거나 신문을 읽으시거나
    정 아니면 썰전이라도 좀 보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6.08.23 00:01
    No. 22

    일본은 특수한 경우입니다.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제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요금이 많이 올랐다고 하더군요. 자가 발전 비율도 늘었다고 하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사래긴밭
    작성일
    16.08.23 00:05
    No. 23

    가정용 전기 요금 외에 일본 산업용 요금도 가져오셔서 비교해보시면 어떨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0:03
    No. 24

    집에서 요리 안하는 1인 가족 전기 사용량을 들고 와서 뭐 어쩌라는 건지.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여름(7,8월)과 겨울(12,1,2)의 전기 사용 집중으로 인한 누진세 폭탄인 것인데 아무 관련도 없는 글을 쓰는 이유가 무엇인지요???

    우리나라 4인 가족의 봄,가을 전기사용량 342kw에(산업자원부 자료) 하루에 1800w에어컨 8시간을 튼다고 가정하면 650kw가 나옵니다.

    당연히 이 수치로 비교해야죠.

    대략 7만원 정도 우리나라가 비싸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3 00:22
    No. 25

    님게서 언급한 '우리나라 4인 가족의 봄,가을 전기사용량 342kw' 인 분은 전기 요금이 60,350원 이고, 여기에 추가로 '하루에 1800w 에어컨 8시간을 튼'분은 650kw로 전기 요금이 257,690원 이군요.

    하루 에어컨 8시간 사용할 정도의 분이라면 그 정도의 요금은 충분히 감당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런 분의 요금을 감면해 주면 한전은 그 손실분을 누구에게 전가할까요. 기업은 손해를 볼 수는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0:29
    No. 26

    손실이라뇨??? [부당이득]이죠.
    그 돈이 작년에 무려 12조입니다. 올해는 16조 예상되구요.

    그리고 기업이 손해요???
    당장 몇 년 전까지 그 기업들이 무슨 짓을 했는지 모르셔서 하시는 말씀입니까?

    한전에서 값싼 산업용 전기를 사가서.
    설비를 돌리며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기는 한전이 비싼 값으로 사줬죠.
    즉, 계속해서 기계를 돌리면 무한정 돈을 토해내는 상황이었습니다.
    그 돈은 누구로부터 나왔나요?
    전부 국민 세금이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5 말리브해적
    작성일
    16.08.23 17:10
    No. 27

    썰전에 보면 그 12조가 원유값이 내려서랍니다. 한전이 영업을 잘해서도 아니고 부당이익을 취한 것도 아닙니다. 한전 120조인가 있는 빚도 빨리 갚아야 합니다. 영업이익이 있으니 전기료 싸게 해라는 논지에서 벗어난 이야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0:34
    No. 28

    Sx x&x 같은 회사들이 그런짓을 했습니다.
    당시에 많은 민자 발전 회사들이 많이 생겨났죠.
    누가봐도 돈이 펑펑 솓아나는 사업이었으니깐요.
    지금은 그 회사들 어떻게 됐죠?
    해당 행위가 문제가 되어서 이제 한전에서 사주지 못하게 되자.
    공급 과잉으로 smp 가격이 폭락하여 전부 실적이 수십 %씩 하락하며 개판이 됐습니다.
    그 전에 이득이 어느 정도였는지 방증이 되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홀어스로스
    작성일
    16.08.23 00:10
    No. 29

    다른나라랑 비교하는거 자체가 무의미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양사(樣師)
    작성일
    16.08.23 00:23
    No. 30

    이게 웃긴 이야기죠.
    한때 한국이 휘발유 가격 상대적으로 낮다는 사기를 치기 위해서 산유국인 영국보다 싸다는 발표를 정부에서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영국은 산유국이기는 하지만 전세계에서 휘발유 가격이 가장 높은 국가들 중 하나입니다.
    일본과 비교도 어이가 없는 것이...
    일본은 다른 분들 댓글에도 나오지만 원전이 금지되면서 전기료가 상당히 올랐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제외하고서라도 다 알다시피 한전의 주요 발전 연료는 원전과 석탄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연료비가 싸기는 하지만 환경문제나 안전문제로 사용이 줄고 있는 연료들이죠.
    한국 국민들은 석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나 원전사고로 인한 위험등으로 전기요금 외에도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한국 발전 연료 원가가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도 낮은데 그런 사실은 무시하고 단순히 가격이 낮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진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입니다.
    더 웃긴 것은 실제로는 싸지도 않습니다.
    소득 수준이 한국보다 훨씬 높은 영국 미국 일본과 비교해서 싸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뭔 멍멍이 소리인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palmaris
    작성일
    16.08.23 00:29
    No. 31

    왠지 믿고 거르는 모 만화가의 아전인수랑 비슷한 수준의 논리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palmaris
    작성일
    16.08.23 00:34
    No. 32

    360~370이 월평균 사용량인데 이 수치도 정상수치라고 볼수가 없어요. 누진제 얻어맞을까봐 줄이고 또 줄인 사용량이거든요. 그런 상황에서 280? 웃음밖에 안나오네요. 게다가 일본과 우리를 제대로 비교하려면 단순 요금 비교가 아니라 소득대비 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인지를 비교해야 정확한게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雲漢
    작성일
    16.08.23 01:37
    No. 33

    여러분의 댓글에 답글을 작성했지만, 시간이 너무 흘렸군요.

    제가 생각하기로는 '총량'은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한전은 기업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참 적절한 이윤을 추구할 것입니다.

    댓글을 단 여러분은 아마도 같은 용량의 전기를 좀더 싼 가격에 구매 사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전은 당연히도 그 손실분을 다른 좀 더 힘 없는 사람들에게 전가할 것입니다.
    제가 만나 본 선풍기도 잘 못 돌리는 분들에게.
    어느 분이 한전의 손실이 아니라고 하셨는데... 한전 입장에서는 손실입니다.
    그렇다고 한전이 이익을 내는 것은 아니죠. 그냥 장부상 이익을...

    돈을 낼 여유가 있으면 돈을 냅시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1:53
    No. 34

    아니 작년 영업이익이 12조이고, 올해 16조가 예상되는데 장부상 이익요??
    혹시 집안에 한전 다니시는 분이 계셔서 하도 욕 먹으니 그렇게 실드를 치시는 겁니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2:04
    No. 35

    장부상 이익이라서 작년에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올해는 임원진들 100명 인당 수백만원짜리 해외 여행을 보내 줍니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02:00
    No. 36

    그리고 어떻게 한전이 선풍기도 못 돌리는 분들에게 [부당이득] 돌려준 만큼 뺏을 수 있다는 거죠?? 이해가 안가는 논리네요.

    님 머릿속엔
    기업들이 한전에서 싼 가격에 산업용 전기 사가서
    비싼 전기 만들어서 팔아도 세금으로 사줘야 하는 것이 맞겠죠.
    '대'기업이 잘 살아야 낙수효과로 우리도 잘 사니... 그렇죠?
    물론 지금은 금지되었지만요.

    그리고 산업용 전기를 '대'기업에 싼 가격에 공급해 주고 그 손실 만큼
    국민들이 누진세 내서 메꿔주고요. 그쵸?

    반대로 더워 죽겠다고 누진세 완화 해달라고 하면 그 [부당이득] 만큼
    기업이 손해를 볼 것이니 그것은 절대 안되구요. 그렇죠?

    님 1번 찍었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9 주판알
    작성일
    16.08.23 10:40
    No. 37

    클린 정담 만들자고 하시는분이 이러시면 안되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08.23 11:19
    No. 38

    네 제가 너무 흥분했네요. 죄송합니다.
    위 댓글 보니까 돈 좀 내라니... 관종 느낌도 나는데 어그로 끌렸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6.08.23 07:01
    No. 39

    인제보니 관종이구만..덧글도 아깝다. 으이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나신교주
    작성일
    16.08.23 02:41
    No. 40

    장부상 이익이라...어디서 약을팔고있노.
    니 한전 직원이가.멍멍이 소리도 저정도면 국보급일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수오
    작성일
    16.08.23 05:23
    No. 41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국가가 공기업을 굴리는 것은, 공기업이 다루는 분야가 시장경제의 논리에 지나치게 휘둘릴 경우 국민의 생활에 손해가 된다 싶은 부분을 보전해주기 위해서인데......

    뭐 다 떠나서 이 글은 한국의 1인 가구가 누적세 두드려맞는 4인 가구나 일본의 1인 가구와 비교해서도 크게 이득이 된다는 해석도 가능하겠네요. 가정을 이루어서 누진세에 고통받는 것보다 혼자 사는게 더 이득이라...... 참 경제적인 결론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하얀늑대.
    작성일
    16.08.23 06:55
    No. 42

    세상눈에 어두우신것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innovati..
    작성일
    16.08.23 09:02
    No. 43

    단순히 이런비교가 아니라 여름철 에어컨 사용량시 비교를 해야죠. 우리나라 전기가 문제삼는건 누진세잖아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받는 최저임금이 디르고 소득이 다르고 물가가 다른데 이렇게 단순 비교하는건 넌센스네요. 어그로라고 밖에 안보여집니다. 일본은 세계2위3위 경제대국이고 우리나라는 10위입니다. 대충 그걸 감안하고 비교해야죠. 그리고 미국하고는 왜 비교안해요? 얼마나 우리나라 전기세가 비싸면 가정용 전기소비량이 선진국보다 밑이겠어요? 다 누진세가 무서워서 그런거아닙니까? 그러면서 우리나라 통계청은 산업용과 합산해서 1인당 전기소비량이나 내고 국민우롱하는거죠. 이런생각 가진다는거 부끄럽지 않으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innovati..
    작성일
    16.08.23 09:05
    No. 44

    우리나라도 1인셍활하는 원룸 생활자는 에어컨 틀어도 전기요금 적게나옵니다. 누진세가 문제입니다. 저는 아무리생각해도 씀이님이 어그로라는 생각밖에 안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6.08.23 10:04
    No. 45

    누진세가 문제라고 한전도 인지하고 있고, 국회의원조차 인지하고 있는데
    이상한 비교를 하면서 괜찮다는 식의 논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수 차례 기사에도 '한국은 이미 누진세 때문에 각 가정에서 절약 하는 수준이다.' 라고 발표되어 왔습니다. 그 절약 하는 수준이여도 '누진세 폭탄' 이 발생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기준을 자기 기준으로만 생각 하시면 안됩니다.

    가령 아기 있는 집은?

    어른도 더워서 죽을려고 하는데 아기 있는 집안은 당연히 수십만원 내라는 건가요?

    우리때만 해도 학교에 에어컨 없이 선풍기로 버텼습니다.
    근데 그때는 이런 폭염은 아니었거든요.
    그걸 간과 하고는 '요즘 애들은 정신이 나약해' 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상호존중과 배려 없는 토론 만큼 무의미 한 것도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0 슬로피
    작성일
    16.08.23 19:23
    No. 46

    나 작년에 퇴근후 잠깐잠깐, 주말에 피크때만 틀어도 3만원은 나왔어요...
    원룸에서요. 꼭대기층에 단열이 좀 안되는감이 있긴했지만..
    이사했으니 여기 전기세도 한번 봐야겠네요.
    7월도 작년에 비해 많이 틀었다고 생각했는데 28도로 틀어서 구천원나옴...
    평소는 2~3천원?
    누진세가 진짜 불합리하게 높은게 겨울에 본가 심야전기비만 40만원나옴.
    심야라고 팔아놓고는 전기세 진짜 ㅎㄷ;;
    물을 많이 빼쓴 것도 아니고 온도를 높인것도 아니고...
    사람들 집에있는 저녁부터 좀 틀었을뿐인데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