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3

  • 작성자
    Lv.1 강달봉
    작성일
    03.11.08 16:49
    No. 1

    -_-;;오늘따라 제목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행인
    작성일
    03.11.08 16:57
    No. 2

    버들님의 흥!이라..귀엽네요 (발그레////)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소우(昭雨)
    작성일
    03.11.08 17:17
    No. 3

    으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용마
    작성일
    03.11.08 17:19
    No. 4
  • 작성자
    Lv.1 적월
    작성일
    03.11.08 17:19
    No. 5

    공적질인가... -_-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어린쥐
    작성일
    03.11.08 17:30
    No. 6

    요즘 글 올리는것들이 다~이상하군 왠지 안어울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검우(劒友)
    작성일
    03.11.08 17:43
    No. 7

    뭐, 뭐냐... 이 엄한 분위기는...-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3.11.08 18:27
    No. 8

    제목의 압박....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illusion
    작성일
    03.11.08 19:20
    No. 9

    저는 항상 안경을 깨끗이 닦는걸요?

    (퍼퍼퍼퍼퍼퍽!)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0 불멸유령
    작성일
    03.11.08 20:19
    No. 10

    윽....버들님의 콧바람 먼지가 날리네여 에잉~~~~ㅡㅡ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3 바둑
    작성일
    03.11.08 20:31
    No. 11
  • 작성자
    Lv.16 아자자
    작성일
    03.11.09 10:59
    No. 12

    콧바람에는 콧바람으로...흉!!!~~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太武
    작성일
    03.11.09 20:59
    No. 13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유래.....

    이 글은“손에는 손, 발에는 발, 화상(火傷)에는 화상, 타박상에는 타박상으로서 보상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이어진다.『구약 성서』중「출애굽기」에 인용되어 유명해진 말이지만, 본래는 기원전 약1600년 경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에서 비롯되었다.

    동해 복수법(同害復讐法)으로 일컫는 원시 형벌법으로, 그 이후 법규로서 용인되고 있었된 모양이다.

    오늘날 항간에서는‘눈에는 눈을’의 부분만을 따서“유사시에는 응분의 보복을”의 동치 반보(同値返報)의 논리로서 쓰이고 있지만, 그러나 그리스도는 마태복음에서 복수 따위는 하지 말 것이며, 오른쪽 뺨을 맞으면 왼쪽 뺨도 내라는 그 유명한 산상 수훈으로써 관용이야말로 미덕이라고 훈계하며 그 법규를 부정하였다.

    관용을 미덕으로 삼는 것은 유교나 그리스도에 한하지 않는다. 동양의 군자국에서도 역시 그랬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요는....결국은 이미 버려진...쓰잘데기 없는 엄한말이란 말입니다....
    이런 말은 이제 이 세상에서는 필요없는 쓰레기같은 말입니다....
    오른쪽 뺨을 맞으면....왼쪽뺨도 내라.....
    그런 행동따윈....신경쓰지 마세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