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8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12.19 11:36
    No. 1

    진짜 외계인 잡아서 고문이라도 하나? 기술의 발전이 너무 엄청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5.12.19 11:49
    No. 2

    이거 실험 성공한지 꽤 지난 이야기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광양자, 원자 혹은 이온에서만 실험 가능하고(분자는 안됨),
    거리도 짧..(수십~백수십 킬로미터?)고,
    빛보다 빠르지 않은 상태에서만 가능하구요.

    그리고 시간차는 엄연히 존재합니다.
    아직까지는 실리콘 기반의 물질을 이용해서 스위칭 시키는
    한 세기가 훨씬 더 넘은 (두 세기?) 기술을 이용하기에 최소 몇십 나노초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큐빗을 읽어들이는데 최소 몇십 나노초가 필요합니다.

    제가 아는건 수박 겉핥기식 지식이고, 수식은 당연히 모릅니다 -_-;;
    =3=3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흉갑기병
    작성일
    15.12.19 12:05
    No. 3

    앤서블이 가능하다고 sf팬들 사이에서는 떠들석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페르딕스
    작성일
    15.12.19 14:30
    No. 4

    양자역학이든, 상대성이론이든, 시작은 관측에서 시작하는데, 결론은 판타지...
    증명이 어느 정도 되니까, 인정할수 밖에 없지만, 중간단계가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전문 용어라서...
    양자 얽힘은 양자는 소실성 측정밖에는 불가능한 양자의 특성때문에 나온 건데, 도대체 측정 전의 상태를 어떻게 증명한다는 건지 이해가 안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12.19 15:40
    No. 5

    몇 달 전에 본 것 같네요.
    아인슈타인이 무덤에서 땅을 치고 후회할듯.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12.19 17:53
    No. 6

    하지만 EPR역설과 양자얽힘은 절대로 쓸모있는 정보를 전달하지는 못한다고 했던 것 같은데.
    때문에 하드SF로 가면 못 써먹는 소재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5.12.19 18:56
    No. 7

    엄격히 따지면 그렇겠지만, 판타지에선 어느정도 써먹을 수 있지 않을가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5.12.19 22:29
    No. 8

    그렇긴한데 판타지에 쓰려면 증명이 안 되어도 쓸 수 있지 않나요 ㅎㅎ
    아니, 애초에 이론적 배경이 없어도 가능한게 판타지인데...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