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9

  • 작성자
    Lv.21 [탈퇴계정]
    작성일
    22.03.24 10:22
    No. 1

    생각하기 나름이지만, 대개 바둑 애호가들은 바둑자체가 상대돌과 끊임없이 싸우는 게임이라 생각하기에 바둑을 소재로 한 폭력영화는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바둑소설이나 바둑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은 이 점을 특히 염두에 두어야하지요. 근본적으로 바둑을 두는 사람들은 일반 노름꾼(화투 등)들과는 정신세계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해 두시면 어떨지요? 따라서 폭력성이 직접적으로 가미된 바둑소설이나 영화는 진정한 바둑애호가들에게 감동을 주기 어렵다는 점 지적해 둡니다. 언론사의 바둑 담당 기자분들이 '폭력이 가미된 바둑영화나 소설'을 그다지 평가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바둑을 웬만큼 두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아마도 저와 비슷한 견해(바둑소설이나 바둑영화에서 나오는 폭력성에 대한 선호도)를 가진 분들이 많을 듯....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21 [탈퇴계정]
    작성일
    22.03.24 10:29
    No. 2

    중국 최고의 애로소설이라 평가받는 금병매 는 바둑史에서 높이 평가받고 인정을 받는 귀중한 사료중 하나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내용이 어떤지에 앞서 그 소설(금병매) 속에는 바둑두는 장면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이로써 그 당시 (명나라 말기) 일반 대중들이 두었던 바둑 규칙이나 방법 등등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바둑을 소재로 하여 금세기 최고의 바둑애로소설을 써보고자 노력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물로 나온 원고가 '춤추는 참미녀' 그런데 이건 저를 아는 몇몇 분 정도에게만 선물로 드리고자 교보문고에서 맞춤형으로 인쇄제작하였습니다. 즉 맞춤형이기에 대중적으로 판매되기 힘들고, 실제로 교보문고 홈페이지에서 '춤추는 참미녀(여기서 '춤추는'과 '참미녀' 사이를 반드시 띄우거나 아니면 작가 이름 리징이상훈 을 쳐야만 겨우 뜹니다) 를 검색해 보기에도 어렵습니다.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21 [탈퇴계정]
    작성일
    22.03.24 10:35
    No. 3

    문피아 강호정담을 찾아오시는 분들께 약속드립니다. 딱 다섯분께 위 바둑 에로소설 '춤추는 참미녀'를 증정해 드리겠습니다. 제 이메일주소 [email protected] 으로 이름, 휴대폰번호, 택배받을 주소 보내주십시요. 선착순 다섯분께 모두 보내드리고 만약 신청하신 분들이 5명 미만일 경우, 그 나머지 책들은 약속을 지켜드린 다는 의미에서 무조건 문피아 강호정담 담당자에게 보내드리겠습니다. 이 바둑소설을 읽어보시고 난 다음, 바둑을 소재로 한 성인소설(춤추는 참미녀)이 어느 정도 수준인가만 스스로 느껴보신다면 더이상 바랄 나위 없겠습니다. 원래 10분께 드리고자했지만 너무 많이 드리면 희소가치가 떨어질까 염려되어... 만약 거부감만 들지 않는다면 이곳 문피아 성인소설란에 무료로 게재할 의향도 좀 있습니다.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21 [탈퇴계정]
    작성일
    22.03.24 10:44
    No. 4

    참! 그리고, 바둑을 소재로한 소설(혹은 시나리오)을 쓸 때에는 최소한 바둑실력이 타이젬 4단 정도 는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하의 기력을 가지고도 바둑관련소설을 쓰거나 영화로 만들 수야 있겠지만, 진정한 바둑매니아들에게 어필되기 힘들겁니다. 바둑에는 뭔가 알 수 없는 미묘한 기운이 존재하는 바, 이것은 마치 무협 고수들끼리 통하는 뭔가가 있다는 것과 비슷할 걸로 추정.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21 [탈퇴계정]
    작성일
    22.03.24 10:46
    No. 5

    그리고, 바둑을 소재로 한 소설이나 영화는 흥행에 참담하게 실패하여 망하는 예가 거의 없는데 (제가 아는 한 이제까지 없었음) 그 이유는, 바둑매니아들이 엄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큰 성공은 못 거두어도 최소한의 평작은 때릴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바둑을 소재로 한 소설과 영화의 매력이자 장점입니다.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76 co****
    작성일
    22.03.24 22:13
    No. 6

    오궁도화라고 다른 플랫폼 소설 추천드립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1 손님온다
    작성일
    22.03.25 22:35
    No. 7

    덕분에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水流花開
    작성일
    22.03.26 07:15
    No. 8

    전에 가와바다 야스나리가 쓴 바둑 소설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제 줄거리도 기억 안 나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水流花開
    작성일
    22.03.26 07:16
    No. 9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1081361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