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질문답변

궁금함을 질문하고 답변하는 곳입니다.



Comment ' 4

  •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일
    03.12.11 01:09
    No. 1

    하하.. 또 만나네요.
    우선 질문에 앞서서 물론 재반지식은 여러 경로를 통해
    어느정도 쌓았을 테지만.. 언어가 가지는 그 수단 자체내지는
    의미를 되새겨보면 질문이 필요치 않을거라 보여집니다.
    만독이라함은 만가지 독을 의미하지만 중국, 즉 시대적인
    편승에 의한 습성이 굳어진 나라인 중원에서는 만이라는 숫자
    자체를 오나변한 의미로 보고 있습니다.
    십전이란 말도 있고 숫자 구(9)라는 의미도 남다르고 천이나 만이라는
    숫자는 완벽을 넘어 신격화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거기에 불침이라는 말은 불침이라는 말은 해하지 못하다 침범하지
    못하는 뜻으로 보면됩니다. 완벽한 독내지는 강한 독이 침범하지
    못하는 뜻으로 해석해야지 피가 아닌 독이 혈관을 돈다고 표현한다는
    것은 억지를 떠나 말도 안되는 억측이며 상상도 못할 도단입니다.
    혈관을 피가아닌 독이 흐른다라는 말을 어디서 듣거나 들었는지 모르나
    단지 표현의 이해성을 그리 이해했다면 너무 심각하군요.
    만독불침지체라는것은 독이 침범하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지
    그 자체가 독인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가끔 독성이니 독성지체니 하는 말은 단지 피대신 독을 혈관하
    한다는 것과는 또 다릅니다. 아무리 무협이 튀기기식 소설이라도 근본
    적인 사실을 벗어날수는 없습니다.
    다만 독도 허공에 그 기운이 떠돌면 생명체를 해하는 기운이 되는것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기운을 극대화한 무력을 갗추다라는 연관성을 지닌
    것에 불과하지 않을까요?
    사람의 근본은 팔십프로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또 육할이
    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피대신 독이 심장을 통해 돌고 그것이
    인간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체가 될수는 없는것입니다.
    다시한번 무협백과를 통해 이해하시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일
    03.12.11 01:13
    No. 2

    엇 오타가 심합니다. 술때문에 수정합니다.

    ..... 중원에서는 만이라는 숫자 자체가 완벽한 의미로...

    거기에 불침이라는 말은 .. 한번만 중복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둔저
    작성일
    03.12.11 08:33
    No. 3

    만독불침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수많은 독이 침범하지 못한 다는 것입니다.
    뭐, 원리는 여러가지가 있겠죠... 바닷물에 잉크 한 방울이 떨어져도 순식간에 정화되듯이 내공 만땅이어서 그렇다던가 아니면 독공을 극한까지 익혀서 오히려 체내에 들어온 독을 외부로 되돌릴수 있다던가...

    그리고 독인, 독성 등등으로 몸에 독이 흐르는 존재~가 나오는데 그때 독이 흐른다는 말에 혈관에 피가 아닌 비상이 흐르고 있다~라는 식으로 해석하시기 보다는 독이 섞인 피로 해석하시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예? 그러면 어떻게 생물학적인 작용이 가능하냐고요? 그러니까 독인이죠. 독혈이 흐르면서도 정상적으로 살기 위해서는 피뿐만이 아니라 신체의 각 장기를 비롯해서 신체가 그야말로 깡그리 바뀌어야 할겁니다. 그래서 무협에서도 몸에 독 흐르는 놈은 별로 없잖아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흡영경장
    작성일
    03.12.11 22:37
    No. 4

    동용님과 둔저님의 답변갑사합니다.
    질문/답변란에서 이제 자주 뵈게 될것같네요.
    궁금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라서요.^^
    제가 잘못 안것 같습니다.만독불침이 아니라 독중독인(이것도 맞나 모르겠네요)이가 보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